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8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Zeugodacus) scutellatus Hendel]는 개화 중인 호박 꽃을 뚫고 호박꽃 내부에 산란한다. 부화한 유충은 씨방과 배주를 가해하여 꽃을 낙화시켜 간접적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피해를 유발하는 호박꽃과 실파리에 대한 생태보고는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본 실험은 호박꽃과실파리 에 대한 전북 전주, 진안 두 피해지역을 조사하여 지역별 고도에 따른 발생정 도와 호박 암, 수꽃의 피해정도를 규명하였다. 진안지역에서 채집한 270개의 꽃 중 22.25%인 60개의 꽃에서 호박꽃과실파리에 관한 피해가 나타났고, 전주 지역은 채집한 161개 중 27.3%인 44개 꽃 피해를 보였다. 이와같이 전주, 진 안의 피해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비교적 전북지방 고위도지역인 진안 평균 기온이 저위도인 전주보다 낮기 때문이다. 총 431개의 호박꽃 개체 중 104개 꽃에서 피해가 확인되었고, 그 중 수꽃 91개체, 암꽃 13개체로 수꽃에만 가 해한다는 기존보고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낙화된 꽃에서 채집한 유충은 항 온실(24±2℃, RH 70%)에서 발육기간과 용 기간을 조사하였고, 난부터 유충까 지는 7.88±0.88이였고, 용 기간은 12.49±0.76이였다.
        8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사과 해충의 발생 양상을 예측하고 적응 대 책을 수립하여 이에 따른 사과 재배 지대별 해충발생 변동 예측 시스템을 구 축하기 위하여 경기 포천, 수원, 경북 영주, 전북 정읍의 사과원에서 주요 나 방류를 대상으로 발생변동을 조사하였고 지역별 장기간의 기온자료와 사과 주요 나방류 해충의 발생변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지역별 사과 해충군 특성 파악을 위해서 2008년 6월부터 10월까지 각 지역 에서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한 주요 나방류해충의 초발생일을 조사한 결과 타 지역에 비해 온도가 0.96℃-3.58℃ 높은 정읍지방에서 복숭아순나방 등 3종 모 두 초발생일이 빨랐다. 지역별 기온 관측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지난 40년간 포천, 수원, 영주, 정읍에서 각각 1.18℃, 2.06℃, 0.95℃, 0.61℃ 증가하였다. 1996년부터 2008년까지 12년간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사과 주산단지인 경북 영주지방에서 주요 나방류 해충의 1세대 성충 50% 채집일을 조사한 결 과 복숭아순나방은 2.4일, 복숭아심식나방은 2.3일, 사과굴나방은 2.0일 빨라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1996년부터 2008년까지 영주지방의 기온관측 자료를 분석 한 결과 12년간 평균온도는 0.24℃ 증가하였고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굴나방의 온도발육 모델을 바탕으로 동일 기간의 예상 1세대 성충 50% 우화일은 복숭아순나방이 3.0일, 복숭아심식나방이 2.1일, 사과굴나방이 1.5일 빨라진 것으로 예측되어 실측치와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비슷한 경향을 나 타내었다.
        8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보푸란에 대한 배설량 저해 반응을 토대로 약제 처리 방법 별로 실제 벼멸구 한 마리를 죽이는데 필요한 약량을 구하여 이미다클로프리드와 카보푸란의 처리 방법에 대한 처리 방법 별 실제 살충 효과 양을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 이미다클로프리드는 약제를 뿌리에 처리, 약제 침투에 의한 살충 효과를 나타 내는 처리 방법이 효과가 가장 좋았다. 다음은 잎 침지처리에 의한 접촉 효과 가 좋았으나 감수성에서는 미량국소 처리에 의한 살충 효과 발현에 필요한 양과 별로 차이가 없었다. 카보푸란은 미량국소처리의 약제 직접 접촉 방법이 상대적으로 효과가 가장 좋았다. 처리 방법 별 약제 필요량을 뿌리 처리와 잎 침지 처리에서 시간 별 조사한 결과는 이미다클로프리드의 약제 처리 효과는 처리 약 4일 후에, 카보푸란은 처리 약 2일 후 약효가 충분히 발현됨을 보여 주었다. 벼멸구 개체 살충 필요 약량에 의한 저항성 비는 이미다클로프리드 의 경우 뿌리처리와 잎 침지처리에서 약 50, 미량국소처리에서 약 80을, 카보 푸란의 경우 각각 약 4-6배를 나나냈다
        84.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져서 서로 유전적 유상성이 멀 것으로 생각되는 두 계통 제주계통과 횡계 계통의 배추좀나방 개체별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1과 2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유전자 염기서열 내에 염기의 다양성이 존 재하는 곳이 몇몇 확인되었다. 위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염색체의 유전자 변 이도를 그려본 결과, Ace1 유전자의 변이가 더 높아 지역 계통 간 변이율을 비교할 때 Ace1 유전자가 지역 계통 군집 분류 마커로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 어 유전자 마커로 선발하였다. Ace1 유전자 변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계통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횡성과 둔내 그룹, 태백, 임계, 횡계 등 고령지 배추생산단지로 한 그룹, 홍천, 평창과 제주도의 안덕 등이 군집 분석에서 그 룹으로 분류되어 생물검정 결과로 군집 분석한 것과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 다. 이는 배추좀나방이 지역성 특성을 갖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지역 월 동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배추좀나방 관리는 중부내륙지 역(홍천, 횡성, 둔내), 고령지 지역(평창, 임계, 횡계, 태백), 덕유산지역(무주), 제주지역(안덕, 성산)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생각된다.
        8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of the foxglove aphid, Aulacorthum solani Kaltenbach, were studied at 12.5~25℃ with 60~70% RH under 16L:8D and the results were put together to build a life table. The longevity of foxglove gradually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below 25℃. Also total fecundity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and highest fecundity was 74.1 nymphs per female at 15℃. However, daily fecund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up to 20℃ showing 2.9 nymphs per day and thereafter decreased. Net reproduction rate (R₀) was highest of 58.7 at 15℃. The intrinsic rate of increase per day (r<SUB>m</SUB>) and the finite rate of increase per day (λ) were highest of 0.27 and 1.32, respectively and the doubling time (Dt) was shortest of 2.52. the mean generation time (T) was 10.99 at 22.5℃.
        3,000원
        8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Aulacorthum solani (Kaltenbach) was studied at temperatures ranging from 12.5 to 27.5℃ under 65±5% RH, and a photoperiod of 16:8 (L:D). Mortality of 1st~2nd nymph was higher than that of 3rd~4th nymph at the most temperature ranges whereas at high temperature of 27.5℃, more 3~4th nymph stage individuals died. The total developmental time ranged from 16.9 days at 12.5℃ to 6.6days at 22.5℃, suggesting that higher the temperature, faster the development. However, at higher temperature of 25℃ the development took 7.4 days.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 and effective accumulative temperatures for the total immature stage were 0.08℃ and 162.8 day-degreeslated development. The nonlinear shape of temperature rewas well described by the modified Sharpe and DeMichele model. When the normalized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s of developmental times for each life stage were fitted to the three-parameter Weibull function, attendance of shortened developmental times was apparent with in 1~2nd nymph, 3~4th nymph, and total nymph stages in descending ord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² ranged between 0.86 and 0.91.
        4,000원
        87.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7년에 경남, 전남의 10개 지역에서 채집한 벼멸구와, 중국의 호남성, 절강성, 복건성 및 베트남 남부인 Ninh Thuan, 북부인 Ha Tay에서 채집한 벼멸구를 실내에서 4-8세대 사육하면서 10가지 살충제에 대해 미량국소처리로 약제반응을 조사하였다. 카바메이트계인 fenobucarb(BPMC)에 대한 국내계통의 약제저항성 정도는 감수성 대비 평균 20배로 베트남(12배)과, 중국계통(7배)보다 저항성이 더 높았다. Carbofuran은 베트남 남부지역인 Ninh Thuan에서 34배의 높은 저항성을 보였으며, carbosulfan은 중국계통에서 평균 8.2배로 저항성 초기 단계를 보였다. 유기인계인 diazinon에 대해서는 전 채집계통에서 4배 이하의 낮은 저항성을 보여 방제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인 imidacloprid에 대해 국내 10개 채집계통 중 5계통이 100배 이상의 저항성을 보였고, 베트남 계통은 평균 307배의 저항성을 보였다. Clothianidin에 대해서는 베트남에서 28배의 저항성을 보여 점차 저항성이 발달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thiamethoxam에 대해서는 1.9~22.3배까지 다양한 반응을 보여 동일 기작에 의한 교차저항성 발달이 우려되었다. 합성피레스로이계인 etofenprox와 페닐피라졸계인 fipronil, dinotefuran은 감수성계통과 반수치사약량이 비슷하거나 낮아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에 대한 대체약제로 활용 가능성이 높았다.
        88.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멸구는 1년에 5세대를 경과하는데, 제1회 성충은 4월 중순, 제2회 성충은 6월 중순, 제3회 성충은 7월 중순, 제4회 성충은 8월 중・하순, 제5회 성충은 9월 하순~10월 상순경에 발생하고, 제3회 성충 이후에는 세대가 약간 겹친다. 주로 4령 약충태로 휴반・보리밭・제방 등에서 월동한다(백 등 1963). 3월 중순부터 제1회 성충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휴반에서 보리밭으로 이동하여 1세대를 경과하고, 제2회 성충은 묘판이나 본답으로 이동하며 이 시기에 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한다(백 등 1963). 최근 온난화의 영향으로 이들 월동 세대의 밀도가 증가하여 국지적으로 줄무늬잎마름병이 대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정밀한 Phenology 분석을 통하여, 정확한 발생예찰 및 지역별 계통의 특성을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여겨진다. 이들은 주로 4령약충기에 월동처로 이동하여 개밀 등에서 월동한 후에 이듬해 보리밭, 본답 등으로 이동하므로, 이들의 효과적인 관리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먼저 온도별 약충의 발육기간을 조사하여 Lactin1, Lactin2, Briere1, Briere2, Logan, Taylor 등이 제시한 온도발육모델 함수에 적합시켜 보았으며, 각각의 파라미터 값을 구하였다. 모델의 정확성을 제시해 주는 r2 값은 Lactin2의 모형에서 가장 높은 r2 =0.97 정도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이들 각 령기별 각각의 온도발육 모델에 대한 파라미터 값은 온도별 발육기간의 역수를 취하여 Table Curve Ver. 4.01에서 구하였다.
        89.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구온난화의 정도를 평가하고, 이들이 국내종 해충인 애멸구의 월동1세대의 발생시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남 밀양, 진주, 전북 익산, 경기 수원, 강원 철원 다섯 개 지역의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애멸구 유아등 예찰자료를 10년 단위로 시기별로 비교하였다. 비교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항온기를 사용하여 애멸구 약충의 온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고, 한편으로는 유효적산온도(Degree-day)를 계산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언어로써 Microsoft Visual C#을 이용하여, 당해연도 11월 초순부터 이듬해 5월 말까지의 온도자료를 입력받아, 애멸구 약충의 령기별 발육영점온도 이상의 유효적산온도를 누적하여 최초 우화시기를 계산함으로써 연도별 누적 밀도가 50%에 최초도달하는 시기의 지역별 편차를 구하였다. 온도는 기상청에 기록되어 있는 자료를 다운받아 사용하였으며, 가설로는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의 애멸구의 Phenology는 일정하다는 전제하에 연도별 Degree-Day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겨울철 온도는 5개 지역을 종합한 결과, 지역별로 미세한 차이가 있었지만 겨울철 우리나라의 기온은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평균 약 1.0℃ 상승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아등에 유인된 애멸구의 초기누적50%밀도는 1960년대와 2006년도에 약 12일 정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5~7일 정도 차이가 나타났다. 이것은 Degree-Day 개념으로 접근한 방식이 앞으로 진행될 온난화의 영향을 평가하는 기준 잣대로도 유효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90.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pellent and acaricidal activities of eucalyptus oil, permethrin, and DEET against Leptotrombidium pallidum larvae, which are a vector transmitting tsutsugamushi disease, were evaluat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using a filter paper impregnated method. The LD₅₀ values of eucalyptus oil and DEET were 0.025 and 0.018 ㎎/㎠, respectively while that of permethrin was higher than 0.2 ㎎/㎠. In the repellency test of these materials at 6.14 ㎎/㎠, eucalyptus oil gave complete repellency, and the larvae crossed the treated zone killed. But permethrin showed 60% repellency at 9.20 ㎎/㎠ and the mites croosed the zone were not killed. The percent repellency of DEET at 0.53 ㎎/㎠ was 8.3 and 2.8 times higher than that of permethrin and eucalyptus oil, respectively.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emulsifiable concentrates-pump sprayers containing the eucalyptus oil as an active ingredient were assayed. The emulsifiable concentrates containing 1% and 3% eucalyptus oil showed weak mortality at 1 hour after treatment, while all ones containing more than 6% oil produced 100% activity against L. pallidum larvae. The mortality also increased as exposure time to the concentrates incre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tential of eucalyptus oil highly expected to be used as a control or repellent agent against L. pallidum larvae may be very high.
        4,000원
        91.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월동 애멸구 성충의 본답으로의 정확한 이동시기를 예측하기 위하여, 실내에서의 온도발육실험 자료와 야외 온도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실내에서의 온도별 발육시험 결과, 애멸구의 발육 최적온도는 25~27℃였으며, 알기간은 6.2~6.5일, 약충기간은 14.9~15.8일 이었다. 애멸구 월동성충의 최고채집일은 5월 1일(2006년), 4월 26일(2007년)이었으며, 1세대 성충은 6월 7일(2006년), 5월 28일(2007년)부터 채집되었다. 월동 애멸구는 일중 최고기온이 25℃가 되는 날 많이 채집되었으며, 애멸구 1세대 성충은 1m보다 50cm 높이에서 많은 양이 채집되었다. 월동 애멸구는 주로 논둑이나 포장 주위 둑과 호밀밭에 분포하며, 이후 5월 중에는 밀도가 급격히 낮아지며 약충이 조사되는 곳은 호밀밭 뿐이었다. 호밀밭에서 성충밀도가 높아지는 시기는 5월 하순 이후이며, 이들이 벼를 이앙한 곳으로 이동하였다. 1세대 성충의 밀도가 높아지는 것은 6월 상순경이었다. 유효적산온도를 이용하여 1세대 성충의 최초이동시기를 환산한 결과 2006년도에는 6월 5일로 실측치보다 2일정도 빨랐고, 2007년에는 6월 3일로 실측치보다 6일정도 늦어 실측치와 이론치의 차이가 있었으나, 이는 온도조건 이외에 풍향 및 습도 등 애멸구의 활동에 미치는 기후조건의 영향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유효적산을 이용한 애멸구의 최초 이동시기 추정은 애멸구의 발생 예찰 및 방제를 위하여 이용이 가능한 한 가지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9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Schizaphis graminum (Rondani) was studied at various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15 to 32.5℃, with 65±5% RH, and a photoperiod of 16L:8D. Mortality of the 1<SUB>st</SUB>-2<SUB>nd</SUB> and the 3<SUB>rd</SUB>-4<SUB>th</SUB> stage nymphs were similar at most temperature ranges while at high temperature of 32.5℃, more 3<SUB>rd</SUB>-4<SUB>th</SUB> stage individuals died. The total developmental time ranged from 13.8 days at 15℃ to 4.9 days at 30.0℃ suggesting that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faster the development. However, at higher end temperature of 32.5℃ the development took 6.4 days.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 and effective accumulative temperatures for the total immature stage were 6.8℃ and 105.9 day-degrees, respectively and the nonlinear shape of temperature related development was well described by the modified Sharpe and DeMichele model. The normalized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s of developmental period for each life stage were fitted to the three-parameter Weibull function. The attendance of shortened developmental times was apparent with 1<SUB>st</SUB>-2<SUB>nd</SUB> nymph, 3<SUB>rd</SUB>-4<SUB>th</SUB> nymph, and total nymph stages in descending ord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² ranged between 0.80 and 0.87.
        4,000원
        9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construct a life table and development model Schizaphis graminum (Rondani), its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were studied at various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15 to 32.5℃, with 65±5% RH, and a photoperiod of 16L:8D. Adult longevity of the greenbug gradually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below 32.5℃. Total fecund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all temperatures except at 32.5℃. Daily fecundity gradually increased from 25.0℃. It was 3.6 at 27.5℃ and as temperatures either went down or up, it decreased to 1.4 at 15.0℃ and 0.4 at 32.5℃. Net reproduction rate (Ro) was highest with 47.6 at 25.0℃. The intrinsic rate of increase per day (r<SUB>m</SUB>) and the finite rate of increase per day (λ) were highest with 0.4 and 1.5 at 30.0℃, respectively and the doubling time (Dt) was shortest with 0.98 at 32.5℃. The mean generation time (T) was 8.41 at 30.0℃.
        4,000원
        94.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의 성충 발육과 산자수를 , 상대습도 60-70%, 광주기 16L:8D 조건에서 조사하고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은 까지 수명이 일로 온도의 상승에 따라 성충기간이 짧아졌으며, 산자수는 에서 40.8마리로 최고치를 보였으나 까지 산자수 차이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다만 에서는 8.4마리로 고온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의 일일 산자수는 에서 5.1마리였고, 와 에서는 모두 2.8마리로 온도가 높거나 낮아지면서 일일산자수가 적어졌다. 온도별 총 산자수를 이용하여 작성한 산자 모형을 보면 에서 51.0마리로 최고값을 보인다. 또한 약충 발육시 사망률과 성충 수명, 산자수를 이용하여 생명표를 작성하였는데 복숭아혹진딧물은 Ro가 에서 36.5, 은 0.4, Dt는 1.6, 기간증가율은 1.5, 세대기간은 8.1로 가 복숭아혹진딧물 증가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 나타났다.
        4,000원
        98.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tradifon에 저항성인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계통을 얻기 위하여, 1995년 3월 경북 안동의 농가 사과원에서 채집한 월동성충을 실험실에서 Tetradifon으로 4개월 동안 누대 도태시켰다. 5회 도태시킨 계통(Td5계통, 저항성배수 371.8배)으로써 Tetradifon 저항성의 유전양식과 8종의 살란성 살비제에 대한 교차 저항성 정도를 生妹殘留法(wholeplant residual method)으로 검정하였다. 난(RS 교배, Td5femaleSmale, 또는 SR 교배, SfemaleTd5male)의 log농도-미부화율 선이 S계통 보다는 Td5계통에 치우쳐 있어 점박이 응애 난의 Tetradifon에 대한 저항성은 우성으로 유전된다고 할 수 있으며, 저항성의 우성도는 RS난이 0.998이고, SR난이 0.262이어서 이 저항성의 유전에는 세포질적인 요소 또는 어미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RS 교배의 경우에는 완전우성으로, SR 교배의 경우에는 불완전우성으로 유전되는 것 같다. Td5 계통은 clofentezine . benzoximate . chlorfenson에 대해서 교차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fenazaquin . pyridaben . flufenoxuron . tebufenpyrad . fenothiocarb 등에 대해서는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99.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밤나방 유충을 실내에서 5세대 동안 인공사육하여 탈피할 때마다 두폭의 최대치를 측정하여 영기별 생장율을 구한 결과 2령 유충의 생장율은 1.43 이었고, 3령은 1.55, 4령은 1.48, 5령은 1.54, 6령은 1.76이었다. 한편 두폭 평?치의 대수를 Ycnr, 령의 수를 X축으로 하여 회귀직선식을 구한 결과 LogY=-0.819+0.1872X(=)었고 Dyar의 법칙과 동일한 기하급수적 생장을 하였다. 각영기별 두폭의 평균치와 Dyar의 법칙과 적합도는 1령 유충이 94.7%, 2령은 98.3, 3령은 98.7, 5령은 94.6 6령은 92.2%었다. Dyar의 항수 (K)는 1.54였다.
        3,000원
        10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implications of pest management system for agrarian improvement institute. We analyzed the informations about the pest management by listening to opinion of farmers and researchers including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d it’s affliated organization. In result, They evaluated that the agriculture development institutes very well progressed pest management researches in principle. However, some chronic bottleneck problems still existed such as pesticides resistant pests, lack of effective control methods. For designing proper direction, these problems should be considerated preferently.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