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0

        10.
        2025.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laxy evolution studies require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galaxies at different redshifts. In this work, we build supervised machine learning models to predict the redshift and physical properties (gas-phase metallicity, stellar mass, and star formation rate) of star-forming galaxies from the broad-band and medium-band photometry covering optical to near-infrared wavelengths, and present an evaluation of the model performance. Using 55 magnitudes and colors as input features, the optimized model can predict the galaxy redshift with an accuracy of σ(Δz/1+z) = 0.008 for a redshift range of z < 0.4. The gas-phase metallicity [12 + log(O/H)], stellar mass [log(Mstar)], and star formation rate [log(SFR)] can be predicted with the accuracies of σNMAD = 0.081, 0.068, and 0.19 dex, respectively. When magnitude errors are included, the scatter in the predicted values increases, and the range of predicted values decreases, leading to biased predictions. Near-infrared magnitudes and colors (H, K, and H −K), along with optical colors in the blue wavelengths (m425–m450), are found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rameter prediction. Additionally, the number of input features is critical for ensuring good performance of the machine learning model. These results align with the underlying scaling relations between physical parameters for star-forming galaxies, demonstrating the potential of using medium-band surveys to study galaxy scaling relations with large sample of galaxies.
        4,200원
        11.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천연 성분인 천연추출 복합물을 함유한 세정용 화장품의 소취성에 대한 효능을 검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20~50대 성인 21명으로, 헬스기구(로잉머신)를 이용한 액티비티를 시행한 후 사전 피부 측정을 시행하였으며, 실험군은 연구제품으로, 대조군은 물로 세정을 시행하여 사전·후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체취 등급 결과, 물로 세정 하였을 때 체취 등급은 17.10%의 유의한 개선율(p<.05) 을 보였으며, 연구제품으로 세정 시 90.76%의 유의한 개선율(p<.05)을 보였다. 또한 시료 사용 직후 실험 군이 대조군에 비해 체취 등급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체취 강도를 측정한 결과, 물로 세정 하였을 때 체취 강도는 7.99%의 유의한 개선율(p<.05)을 보였으며, 연구제품으로 세정 시 38.12%의 유의한 개선 율(p<.05)을 보였다. 또한 시료 사용 직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취 강도가 유의하게 개선되었음을 확 인하였다(p<.05). 이와 같은 결과로 천연추출 복합물을 함유한 세정용 화장품은 인체의 체취 등급과 체취 강도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후 체취 개선을 위한 천연 추출물 화장품 소재개발이 활성 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2.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tection and sizing of defects are very important for structure life management base on fracture mechanics.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techniques based on the induced current field measurement are newly developed.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btained by these techniques for artificial surface defects. In the case of the RICFM technique, the potential drop distribution around a surface defects was measured as a smaller potential drop than that in a place without a defect. This potential drop showed a minimum value at the defect location, and the absolute value of this minimum value increases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defect. In the case of the FEF technique, the potential difference distribution for surface defects was measured as a maximum at the location of the defect. This maximum value showed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defect.
        4,000원
        13.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적으로 친환경 해충 방제를 위해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는 연구가 화학농약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제충국 식물은 살충제용 피레트린의 원료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한국에서 재배된 식물의 추출물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된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된 두 가지 제충국 품종에서 피레트린을 추출하는 방법을 비교하였다. 또한, 분리된 피레트린 함유 추출물의 주요 식물 해충 에 대한 효능을 조사하였다. 피레트린 함량은 프랑스에서 수입한 '계통' 품종에 비해 '달마시안' 품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달마 시안 품종의 피레트린 추출물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추출된 피레트린의 양은 추출에 사용된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 며, 95% 에탄올을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수준(6,064 ppm/100 g 꽃 건물중)이었다. 총 피레트린 함량과 피레트린 I/II 비율은 만개기에 수확한 꽃 에서 가장 높았다. 추출물의 in vitro 생물검정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의 LC50 값은 34 ppm, 배추좀나방 유충은 69 ppm, 뿌리혹선충 유충은 0.1 ppm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에서 재배된 달마시안 꽃의 에탄올 추출물이 식물 해충 방제를 위한 천연 살충제 개발에 유용할 수 있음을 나타냈 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된 T. cinerariifolium var. 달마시안 꽃 추출물이 국내에서 식물 해충을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으로 방제하는 데 잠재력이 있음을 보였다.
        4,200원
        1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들어 평균 온도가 평년보다 높게 경과함에 따라 노지 작물에 발생이 많은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담배 나방의 발생소장을 2023년 전북 익산의 노지 고추포장에서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파밤나방은 4월 중순부터 채집되기 시작하였으나 채집량은 적었고 6월 중순, 7월 중순, 9월 상순, 9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은 5월 중순부터 채집되기 시작하여 6월 상순, 7월 상순, 8월 상순, 9월 상순, 11월 상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8월 하순이후 발생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담배나방은 5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순, 8월 상순, 9월 상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10월부터는 채집량이 적은 경향이었다.
        1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상추는 수요가 연중 지속됨에 따라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주로 생식으로 이용되며 수확간격 이 짧아 해충 다발생시 약제방제가 어려운 작물이다. 최근 검은무늬밤나방이 약제방제가 소홀한 포장에서 잎을 광포식하여 빠른 시간내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은무늬밤나방의 온도별 발육특성을 구명하여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검은무늬밤나방은 시설재배 상추에 발생한 유충을 채집하 여 실내 사육 후 항온조건(15, 20, 25, 30℃)에서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각 태별 발육기간은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유충은 보통 4회 탈피하였다. 25℃에서 알기간은 2.5일, 유충기간 10.0 일, 전용기간 1.0일, 번데기기간 7.0일로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20.5일 이었다.
        1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제주도내 키위 시설재배지를 대상으로 계절 초기 볼록총채벌레 발생 경향을 확인하 기 위해서 토양 표면의 잡초, 토양 표면 상단으로부터 60cm, 키위나무를 유인한 덕 상단 15cm에서 10일 간격으로 발생 조사하였다. 하우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잡초 10종을 채집하여 조사한 결과, 갈퀴덩굴, 광대나물, 개불알풀, 별꽃, 뽀리뱅이, 황새냉이 6종에서 볼록총채벌레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계절 초기 월동 성충의 비산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토양 표면 60cm 위쪽에 설치한 황색 끈끈이트랩에서 2월 하순~3월 중순부터 볼록총채벌레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시설하우스 내부(덕 상단 15cm)와 외부(측장 높이)에 설치한 황색 끈끈이트랩을 비교해보면 시설 내·외부의 볼록총채벌레의 밀도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시기가 유사하였다. 종합적인 고찰을 통하여, 발생 양상을 고려한 적절한 방제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20.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뇌혈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시변자계 기반의 비접촉식 직물센서를 설계하여 뇌혈류 신호 검출 및 감성평가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직물센서는 40 denier의 은사를 30합사 한 후 컴퓨터 기계 자수하여 코일 형 센서로 구현하였다. 뇌혈류 측정 실험을 위해 코일형 센서를 경동맥 부위에 부착하고, ECG (Electrocardiogram) 전극과 RSP (Respiration) 측정 벨트를 부착 및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초음파 진단기기를 사용해 도플러 초음 파 검사(Doppler Ultrasonography)를 수행하여 혈류 속도를 측정하였다. 피험자에게 Meta Quest 2를 착용시키고, 실 험을 위해 조작된 영상 시각 자극을 보여주면서 혈류 신호를 측정한 후 시각 자극에 대한 감성평가 설문지를 작성하 도록 하였다. 측정 결과,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통해 측정된 혈류 속도 신호에 변화가 생길 때 직물센서로 측정한 신호도 함께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코일형 직물센서를 이용하여 뇌혈류활동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감성평가를 위하여 ECG 신호와 PLL 신호(직물센서 신호)에서 추출한 HRV를 계산해서 비교한 결과, 시각 자극으로 인한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활성화에 따른 비율의 변화에 대해서는 직물센서로 측정한 신호와 ECG 신호를 이용해 계산한 값이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변자계 기반의 코일형 직물 센서를 통해 뇌혈류 변화 측정 및 감성 모니터링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