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ation workers, especially those dealing with Uranium isotopes, can potentially intake Uranium -containing materials through their respiratory and digestive systems.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n the Measurement and Calculation of Internal Exposure” from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SSC), those who intend to work in or enter the nuclear facilities with a risk of exceeding 2 mSv exposure per year should be examined the internal exposure. However, when it comes to in-vitro bioassay, Uranium intake through drinking water can affect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reported in ICRP Publication 23 (Report on the Task Group on Reference Man) that the reference man excretes Uranium in the urine (0.05-0.5 μg/day) and feces (1.4-1.8 μg/da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set the 90.5 ng/day as the 238U background of workers handing Uranium based on the daily Uranium intake of Koreans. In this research, we examined the possible effects of Uranium in drinking water on internal exposure by analyzing the concentration of Uranium in bottled waters from various water sources sold in the domestic market and a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The 238U concentration results of analyzing 11 bottled waters and 1 purified water, were ranged from 0 to 10.2 μg/L. All the results were satisfied the standard of 30 μg/L according to “Regulations for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and Inspection” ena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owever, various concentrations were shown depending on the water sources. Assuming that these concentrations of water are consumed by drinking 1 L per day, the internal dose assessment result is 0 to 0.94 mSv. On the other hand, if it is assumed to be inhaled, it can be an overestimated because the dose coefficient of inhalation, Type M is higher than that of ingestion, f1=0.02 which are the values recommended by ICRP Publication 78 (Individual Monitoring for Internal Exposure of Workers) when the Uranium compound is unspecified. In case of two workers at KAERI, the daily excretion of urine was 151 and 120 ng/day respectively in the first quarter monitoring. However after changing the kind of drinking water in the second quarter monitoring, it dropped to 17.4 and 15.4 ng/day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Uranium background in urine can be analy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kind of drinking water consumed by each worker. Depending on the Uranium concentration of drinking water, the internal exposure dose assessment can b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Therefore, the Uranium concentration and intake amount according to the kind of drinking water should be considered for in-vitro bioassays of Uranium handlers. Furthermore, if necessary, the Uranium isotope ratio analysis in urine and the handling information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In addition, in order to exclude the effect of intake through the digestive system, replacing the kind of drinking water can be considered. The additional analysis such as in-vivo bioassay and 24 hours urine analysis rather than spot samples can be also recommended.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Deep Borehole Disposal (DBD) for its capability of minimizing disposal area, detailed research about DBD operation system design should be conducted before the DBD can be implemented. Recently, DBD operation system applying wireline emplacement (WE) technique is under study due to its high flexibility and capability of minimizing surface equipment. In this study, a conceptual WE system, and operation procdure is introduced. The conceptual WE system consists of 3 main stations, which from the top are hoisting station (HS), canister connection station (CCS) and basement (BS). In HS, WE is controlled and monitored. The WE is controlled using wireline drum winch and sheaves, and load on wireline is measured using a load cell. HS also has a pressure control system (PCS), which monitors internal pressure of the system, and a lubricator, which act as housing for joint device, allowing the joint device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orehole. The joint device is used to connect the disposal canister to wireline for emplacement/retrieval. In CCS, a rail transporter brings a transport cask containing disposal canisters, then the transport cask is connected to the hoisting system and a PCS in the BS. The main component located at canister station are a sliding shielding door (SSD), and a slip. The SSD is used to prevent canister from falling into borehole during the connecting operation and prevent radiation from BS to affect the workers. The slip is located beneath the SSD and is used to hold the disposal canister before it is lowered into the borehole. In BS, PCS is installed to prevent overflow and blowout of borehole fluid. The PCS consists of wireline pressure valve, christmas tree and BOP, which all are a type of pressure valve to seal the borehole and release pressure inside the borehole. The WE procedure starts with transporting transport cask to CCS. The transport cask is connected to lubricator, and PCS. Joint device is lowered down to be connected with disposal canisters, then pulled up to check the load on the wireline. After the check-up, SSD is opened, and disposal canister is lowered into the borehole. When desired depth is reached, joint device is disconnected and retrieved for next emplacement. In this study, the conceptual deep borehole disposal system design implementing WE technique is introduced. Based on this study, further detailed design could be derived in future, and feasibility could be tested.
국가와 시대를 불문하고 역사 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항상 강조되고 있다. 이미 한국에서도 역사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는 있지만 학교 수업만으로 학생들에게 역사를 제대로 이해시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학생들에게 수업 참여를 이끌어 내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20년 전부터 게임을 활용한 교육의 효과가 입증이 되었고, 개방적으로 변모해가는 현재 교육계에서는 게임 기반 교육에 대한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게임 기반 교육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입증된 효과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고력 향상과 추경험적 역사 체험, 그리고 ESN 보고서에서 소개한 게임 기반 교육의 문제점과 교육의 참여한 교사들의 불편 사항 등을 개선 및 적용하여 상업적으로 개발된 게임을 평가하여 게임 기반 교육에 활용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선정 조건은 뚜렷한 시대 배경과 확실한 고증 및 역사 왜곡의 유무를 기준으로 하였고, 선정한 게임에 대한 평가 지표로 역사적 사고력, 추경험적 역사체험, 장르적 이점, 시간 분할 요소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한 게임 외에도 다양한 역사 게임과 개발 단계에서부터 교육을 목적으로 한 기능성 게임을 통해 게임 기반 교육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를 기원한다.
대류열전달은 겨울철 온실 열손실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일반적으로 복사열에 의한 손실보다 더 크다. 스크린의 대류열전달계수를 자연상태에서 측정한 연구가 수행된 바는 있지만 상하면의 재질이 동일하고 공극이 없는 스크린에 대해서는 적용을 할 수 없는 방법이다. 이러한 재질의 스크린은 한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류열전달 특성을 파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극이 없는 3가지 종류의 스크린에 대해 대류열전달계수를 구하였으며, 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복사열수지 이론에 근거하여 산정방법을 개발하였다. 실험장치에 스크린을 설치하고 일사량, 장파복사량, 대기온도, 스크린 및 흑색천의 표면온도, 풍속 등을 측정하였다. 스크린의 표면온도와 주변온도의 차이에 따른 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하였다. 풍속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온도의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계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에서 겨울철 야간에는 열손실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여름철 주간에는 차광을 위한 목적으로 스크린을 사용하고 있다. 온실의 냉난방 에너지 절감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스크린의 장파복사 방사율과 흡수 율은 온실에 설치할 적절한 스크린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며 이러한 특성값들을 정확하게 측 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외부 환경조건에서 스크린의 장파복사 특성의 측정과 관련된 연구가 일부 수 행된 바 있지만 모든 종류의 스크린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고 공극이 있는 스크린 자재에만 적용이 가능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순복사계 및 야간복사계를 사용하여 온실 스크린의 장파복사 흡수량과 방사량을 측정하고, 방사율, 흡수율 및 투과율을 결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성값의 측정은 공극이 0인 4가 지 종류의 스크린 자재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자재가 장파복사 방사량이 흡수량보다 높게 나타났다. PE, LD-13, LD-15 and PH-2의 장파복사 방사율은 각각 0.439±0.020, 0.460±0.010, 0.454±0.004, and 0.499±0.006 범위로 나타났다.
In the summer season, natural ventilation is commonly used to reduce the inside air temperature of greenhouse when it rises above the optimal level. The greenhouse shape, vent design, and position play a critical role in the effectiveness of natural ventilation. In this stud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roof vent designs along with side vents on the buoyancy-driven natural ventilation. The boussinesq hypothesis was used to simulate the buoyancy effect to the whole computational domain. RNG K-epsilon turbulence model was utilized, and a discrete originates (DO) radiation model was used with solar ray tracing to simulate the effect of solar radiation. The CFD model was validated using the experimentally obtained greenhouse internal temperature, and the experimental and computed results agreed well. Furthermore, this model was adopted to compare the internal greenhouse air temperature and ventilation rate for seven different roof vent desig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side-to-outside air temperature differences of the greenhouse varied from 3.2 to 9.6oC depending on the different studied roof vent types. Moreover, the ventilation rate was within the range from 0.33 to 0.49 min-1. Our findings show that the conical type roof ventilation has minimum inside-to-outside air temperature difference of 3.2oC and a maximum ventilation rate of 0.49 min-1.
겨울철에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많은 온실에서 보온커튼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적절한 보온커튼을 선택할 때 판단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이 없는 실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보온재의 보온 특성에 대한 정량적인 값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BES를 사용하여 보온커튼의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일중 및 이중 PE필름 피복에 대한 관류열전달계수의 실험값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증하였다. 검증된 모델을 사용하여 문헌에서 제시된 각종 열적 특성을 가진 보온커튼에 대한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하고 비교분석하였다. 개발된 시뮬레이션 모델은 다양한 보온커튼의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제시된 관류열전달계수는 보온커튼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비교하는데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담관 낭종은 담관에 발생하는 선천성 담관 확장증을 의미하며, 담도계에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담관 낭종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담석 형성, 담관염, 췌장염이 있으며, 무엇 보다도 담관암이 발생할 수 있어서 낭종 절제술 같은 외과적 절제가 치료 원칙이다. 담관 낭종을 수술한 후에도 담관 낭종 의 불완전 절제로 인해 남아있는 낭종에서 담도계 암이 발생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저자들은 담관 낭종으로 수술받은 후 일부 남아있는 췌장내 총담관 부위 낭종에서 수술 15년 후 담관암이 발생한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 증례는 담관 낭종의 치료로써 완전 절제의 중요성과 정기적인 추적 검사의 필요성을 일깨워준다고 볼 수 있다.
담관낭종은 담도가 비가역적으로 확장된 선천성 질환으로 담도암의 발생 위험으로 인해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임신 중에는 호르몬의 영향 및 확대된 자궁, 증가된 복압 등으로 담관낭종이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임신 중에는 생리적 변화로 나타나는 임신 자체의 증상과 낭종에 의한 증상을 구분하기가 어렵고, 임신 중 시행할 수 있는 영상 검사가 제한되어 있어 담관낭종의 진단이 지연됨으로써 산모와 태아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수술로 인한 태아와 산모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고려할 때, 즉각적인 외과 수술보다는 담관낭종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출산 시까지 산모와 태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단계적인 치료 전략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임신 중 담관낭종에 의해 발생한 황달 및 복통으로 내원한 26세 산모에서 투시 조영술 도움 없이 내시경 초음파를 이용한 담도 배액술을 시행하여 증상 완화와 함께 최대한 임신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후 성공적인 출산 및 산후 회복기를 거쳐 담관낭종을 수술적으로 제거한 1예 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점토 내 Cs을 제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알킬사슬의 길이에 따른 Cs의 탈착특성을 연구 하였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Alkyl trimethyl ammonium bromide를 사용하였고, 소수성 알킬사슬은 octyl-, dodecyl-, cetyl- 으로 변화시켰다. 소수성 알킬사슬이 길어질수록 montmorillonite 내 계면활성제의 흡착량이 증가하였고, 계면활성제의 층간 흡착으로 층간거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s의 탈착률도 알킬사슬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고 cetyl 그룹을 갖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최대 99±2.9%의 Cs 제거율을 나타냈다.
Recrystallization behavior has been investigated for commercial purity AA1050 (99.5wt%Al) and high purity 3N Al (99.9wt% Al). Samples were cold rolled with 90% of thickness reduction and were annealed isothermally at 290, 315, and 350oC for various times until complete recrystallization was achieved. Hardness measurement and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EBSD) analyses, combined with Grain Orientation Spread(GO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recrystallization behavior. EBSD analysis combined with GOS were distinctly revealed to be a more useful method to determine the recrystallization fraction and to characterize the recrystallization kinetics.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increased, recrystallization in AA1050 accelerated more than that process did in Al 3N. Both AA1050 and Al 3N showed the sam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n value of the Johnson-Mehl-Avrami-Kolmogorov equation(JMAK equation), i.e., n values increased as annealing temperature increased. Activation energy of recrystallization in AA1050 is about 176 kJ/mol, which is comparable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grain boundary migration in cold-rolled AA1050. This value is somewhat higher than the activation energy of recrystallization in Al 3N.
본 논문에서는 온실작물 생육에 적절한 미기상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찾아내기 위하여 TRNSY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온실의 구조 및 환경인자와 에너지공급기술들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연구논문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실에너지 관리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에너지시스 템과 기술들에 관하여 검토하고 이들에 대해 TRNSYS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시한 효율분석에 관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사용가능한 에너지자원과 다양한 외부기상조건에 따른 에너지절감기술들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뮬레이션 모델들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사용자가 정의하는 인자들을 사용하여 하이브리드 농업시설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TRNSYS 프로그램의 주요 구조들을 찾아내었다. 문헌검토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TRNSY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온실의 에너지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 중요한 결론들을 도출하였다. TRNSYS 프로그램은 앞으로 온실의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데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