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GelMA)를 합성하고 이를 기본 하이드로겔 렌즈 혼합물과 함께 교 반한 후 제조된 렌즈의 물성을 비교 분석하여 고기능성 소재로서의 적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GelMA) 합성에는 젤라틴(A형),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olution, PBS), methacrylic anhydride(MA)를 사용하였다. 또한, 주재료인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와 광 개시제인 2-Hydroxy-4′-(2-hydroxyethoxy)-2-methylpropiophenone(Irgacure 2959), 교차결합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를 각각 사용하였다. 제조된 렌즈의 물성 분석을 위해 광투과도, 굴절률, 함수율, 접촉각을 평가하였다. 결과: GelMA의 합성은 EDS를 통해 확인되었다. 제조된 렌즈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가시광선 투과도는 91.33~ 71.02%, 굴절률은 1.4383~1.4365, 함수율은 39.08~39.04%, 접촉각은 70.83~70.43°로 나타났으며, GelMA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굴절률이 증가하였다. 결론 : GelMA 첨가 시 하이드로겔 렌즈의 함수율과 습윤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굴절률 증가에 효과적이 며 UV-B 및 UV-A 영역을 차단하는 기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GelMA가 첨가된 하이드로겔 소 재는 고굴절률 및 시기능성 렌즈 소재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abidocera pavo Giesbrecht, 1889 and L. sinilobata Shen and Lee, 1963, belonging to the detruncata group in the genus Labidocera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using a Norpac net (0.2 mm mesh size). Labidocera sinilobata, known to be endemic species in estuary of Chinese rivers, is the first record in Korean waters. In Chinese waters, this species has only been briefly documented and illustrated. In the stud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fully redescribed with careful examination of the fine epidermal structure using a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addition to their illustrations and compared with species of the detruncata species-group.
‘파워가드’는 ‘6TS72S’ב07-9-47’ 교배조합에서 계통 분리 하여 선발하였다. 2007년 풋마름병 저항성 대목 품종인 ‘B 바리아(다끼이)’와 ‘B블로킹(다끼이)’ 간 교배를 실시하여 F1 조합을 작성하였고, 여기에 시듦병 저항성 유전자를 집적하기 위해 저항성 자원인 ‘07-9-47’과 다시 교배하였다. 매년 2세대씩 풋마름병 인공 접종을 실시하여 저항성 개체를 선발하였으며, 시듦병 저항성은 분자표지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후대검 정으로 우수계통을 선발하고 2009년과 2010년 1년 2세대 진전으로 형질을 고정하였다. 2011년 풋마름병과 시듦병 등에 저항성을 보이며 균일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F6세대의 고정계통을 최종적으로 육성하였고 이를 ‘파워가드’라고 명명하였다. ‘파워가드’는 풋마름병 뿐만 아니라 시듦병(I3), 고구마 뿌리혹 선충(Rex), 토마토 모자이크 바이러스(ToMV), 줄기 마름병 (Asc1), TYLCV(Ty3)에 복합내병성을 가지고 있다. ‘파워가드’의 생장형은 무한형이며 과형은 원형이며 평균과중 40 g 정도, 당도는 4.2 oBrix 정도이다.
‘티와이썬’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한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저항성 품종이다. 모계로는 TYLCV에 저항성으로 알려진 자원 ‘08-9-59’를 도입, 세대진전하여 사용하였으며 부계로 사용한 ‘원예9002호’는 1997년 ‘트러스트’ x ‘모모타로 요쿠’ 교배조합에서 계통 분리하여 2002년까지 내병성 검정 및 계통 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2010년 두 계통을 이용한 교배조합을 작성하였으며 2011년 내병성 분자마커 검정, 2012년 대만 AVRDC에서 담배가루이를 이용한 TYLCV 저항성 유묘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YLCV에 저항성이며 반신 위조병(Ve), 시듦병(I2, I3), 고구마뿌리혹선충(Rex), 세균성반점 병(Pto), 줄기마름병(Asc1), 토마토모자이크바이러스(ToMV)에 복합내병성으로 인정되어 ‘티와이썬’이라고 명명하였다. ‘티와 이썬’은 무한생장형에 과형은 원형이며 평균과중 240g 정도, 당도는 4.2°Brix 정도이다.
2015년부터 2016년 동안 우리나라 공항에서는 수입검역과정에서 금지식물로 폐기된 실적이 17만건에 달하며 그중 인천국제공항은 12만건 이상으로 가장 높다(농림축산검역본부 PIS, 2016).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반입되는 휴대 금지식물에서 금지해충(과실파리류, 나방류 등) 유입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금지식물에서 발생하는 해충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가 부족한 실점이다. 이에 2018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인천공항으로 반입되는 휴대식물 및 해충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7,948건의 휴대식물에서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98국가에서 316 품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91건의 휴대식물에서 해충이 검출되었으며, 익은 바나나 14건, 망고스틴12건, 구아바 12건, 망고 11건, 람부탄 9건, 슈가애플 8건, 파일애플 4건, 고추 3건 등에서 검출되었다. 반입국가는 베트남이 4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순이였다. 검출해충은 깍지벌레과와 가루깍지벌레과가 포함된 노린재목이 7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파리목은 11건이며 그중 오리엔탈과실파리가 1건이고, 개미류가 8건을 차지하였다.
나무이는 감귤그린병, 제브라칩병과 같은 식물병원균의 매개충이 되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해충그룹으로서, 귤나무이(Diaphorina citri Kuwayama)는 감귤산업에 큰 피해를 주는 감귤그린병(Citrus Huanglongbing Disease)을 매개하여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기후 온난화로 귤나무이가 유입될시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에서도 하우스 재배 감귤에는 충분히 월동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감귤연구소, 2015).제주도지역이 경우, 묘목 수입에 의하여 전파될 가능성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내 유입 대비를 위한 예찰방법 및 동정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제주도 지역을 2016년부터 현재까지 43지점을 조사한 결과, 18종의 나무이와 14종의 기주식물을 확인되었다. 또한 실내사육을 통해서 생육단계별 생태사진과 동정에 필요한 암수 생식기 표본, DNA 염기서열을 확보하였다. 현재까지 운향과를 기주로하는 나무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귤나무이 또한 발견되지 않았다.
최근 2년간(2015~2016) 인천공항에서 금지식물로 폐기된 실적은 13만건에 달하며(PIS, 2016) 많은 해충이 휴대식물 을 통해 유입됨을 확인하였다.(식물검역기술개발사업보고서, 2015) 휴대식물반입과 더불어 금지해충의 유입가능성 또한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인천공항으로 반입되는 휴대식물 및 해충조사를 위하여 2017년 3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199건의 휴대식물을 조사한 결과, 92개국 38품목에서 해충이 검출되었으며 구아바, 망고, 망고스틴, 람부탄 순이었다. 반입국가는 중국이 4262건으로 가장 많았지만 해충검출은 베트남이 54건으로 가장 많았다. 해충은 총 150건에서 검출되었으며 깍지벌레과와 가루깍지벌레과가 포함된 노린재목이 87건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그 중 금지해충은 오리엔탈과실파리 3건이었다.
본 연구는 토마토 코이어 자루재배시 습해의 원인을 구명하고 습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미니찰을 고시하고 단동형 2중 플라스틱하우스에서 실시 되었다. 배양액은 Yamazaki 토마토 전용배양액을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공급시간은 해뜨고 1시간 후 시작하여 해지기 2시간 전에 종료하였다. 자루당 I자형 찢기 및 L 자형 찢기는 6개씩 15cm 길이로 찢었으며, 밑 찢기는 3 개씩 15cm 길이로 뚫었다. 배액구 위치에 따른 배지무게는 포습 24시간 후 I자형 찢기는 14.2kg, L자형 찢기는 13.8kg, 밑 찢기는 12.8kg로 밑 찢기가 가장 가벼웠다. 포습 24시간 후 1일 관수하여 무게를 측정한 결과 I 자형 찢기는 14.5kg, L자형 찢기 14.2kg, 밑 찢기 13.3kg 로 역시 밑 찢기가 가벼웠다. 이것은 밑 찢기에서 배지 내 함수량이 가장 적은 것을 의미한다. 부정근 발생정도 는 I자형 뚫기 및 L자형 뚫기에서 160 및 170개 발생하였으나 밑 뚫기에서는 53개 발생하였다. 뿌리의 건물중 (5주)은 밑 찢기가 57g으로 I자형 찢기 23g 및 L자형 찢기 25g과 비교해서 2배 이상 높았으며, 뿌리길이도 밑 찢기가 31.4cm로 다른 찢기 방법과 비교하여 길었다. 상품수량은 밑 찢기가 26.5kg/20주 로 I자형 찢기 19.7kg, L 자형 찢기 24.0kg와 비교해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따라서 U자형 베드에서 코이어 자루배지를 이용하여 수경재배를 할 경우 배액구는 밑 찢기로 만들어야 습해를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TCFs) were fabricated by dip-coating single-wall carbon nanotubes (SWCNTs) onto a flexib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The amount of coated SWCNTs was controlled simply by dipping number. Because the performance of SWCNT-based TCFs is influenced by both electrical conductance and optical transmittance, we evaluated the film performance by introducing a film property factor using both the number of interconnected SWCNT bundles at intersection points, and the coverage of SWCNTs on the PET substrate, in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images. The microscopic film property factor was in an excellent agreement with the macroscopic one determined from electrical conductance and optical transmittance measurements, especially for a small number of dippings. Therefore, the most crucial factor governing the performance of the SWCNT-based TCFs is a SWCNT-network structure with a large number of intersection points for a minimum amount of deposited SWCNTs.
We analyzed molecular and enzymatic properties of three cholinesterases (ChEs; ClAChE1, ClAChE2 and ClSChE) from Cimex lectularius. The ClAChE1 and ClAChE2 were generally present as a membrane-anchored dimeric insoluble form in the brain and ganglia. In the case of ClSChE, monomeric and dimeric soluble forms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enzymatic properties, three ChEs were functionally expressed using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ClAChE1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than ClAChE2 to acetylthiocholine iodide (ATChI) substrate. Kinetic analysis using two choline substrates (ATChI and butyrylthiocholine iodide) demonstrated that ClAChE2 had higher catalytic efficiency but lower substrate specificity than ClAChE1. Inhibition assay was conducted by using three inhibitors (BW284C51, eserine, Iso-OMPA) and two insecticides (chlorpyrifos-methyl and carbaryl). Two ClAChEs revealed high sensitivities to BW284C51, eserine, chlorpyrifos-methyl and carbaryl, but were not sensitive to Iso-OMPA. This inhibition profile confirmed that both ClAChEs are categorized as ChEs. Interestingly, the salivary specific cholinesterase did not show any measurable activities to choline substrates, confirming its non-synaptic function in C. lectularius
In this study 300 weaned pigs (Landrace × Yorkshire × Duroc, 23±3 d of age, 5.56± 1.21 kg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fungal (Aspergillus oryzae, FSP-A) and fungal + bacteria (Aspergillus oryzae + Bacillus subtilis, FSP-B) fermented soya proteins on their blood hematology, enzymes and immune cell populations. Pigs were allotted to 5 treatments, each comprising of 4 pens with 15 pigs. Basal diets consisted of 15% soyabean meal (Control diet) while for treatment diets SBM was replaced with 3 and 6% of each FSP-A and FSP-B,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from 0 to 14 day after weaning and then a common commercial diet was fed from 15 to 35 day. Blood was collected on 14 and 35 day of experiment and analyzed for hematology, aspartate transaminase (AST), alanine transaminase (ALT) and immune cell populations. At d 14, lower RBC count, Hb and HCT values and higher AST values were noted in pigs fed FSP-A diets when compared with Control and FSP-B fed pigs.Also at d 14 pigs fed 6% FSP-A had lower NE (P<0.05) when compared with those fed 6% FSP-B. The level of FSP influenced the RDW on d 14 and MCHC, MO and MPV on d 35. In addition on d 35, pigs fed 3% FSP-A had lesser NE than those fed 6% FSP -A and Control diet, while pigs fed 6% FSP-B had the highest number of MO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lasma AST and ALT values on d 35. Thu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FSP either by fungal or fungal + bacterial sources had an influence on the blood hematological status and the populations of immune cells.
A total of 240 weaned pigs (Landrace ×Yorkshire × Duroc, 22±3 d of age, 5.16±0.90 kg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feeding level of microbial fermented soya protein on their blood hematology, enzymes and immune cell populations. The microbial (Aspergillus oryzae + Bacillus subtilis) fermented soya protein (FSP) was used. Pigs were allott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each comprising of 4 pens with 15 pigs. Basal diets consisted of 15% soya bean meal (Control diet); while for treatment diets SBM was replaced with 3, 6 and 9% FSP.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from 0 to 14 day after weaning and then a common commercial diet was fed from 15 to 35 day. Blood was collected on 14 and 35 day of experiment and analyzed for hematology, plasma aspartate transaminase (AST), plasma alanine transaminase (ALT) and immune cell populations. Increasing the level of FSP in the diet of pigs linearly decreased distribution of red blood cells (P<0.01), MPV (P<0.05), MO (P<0.05), EO (P<0.05) and BA (P<0.05) on d 14. Linear and quadratic decrease in the RBC (P<0.05), Hb (P<0.05), HCT (P<0.01), PLT (P<0.001) and EO (P<0.05) and linear increase in the MCHC (P<0.001), MPV (P<0.05), WBC (P<0.05) and NE (P<0.05) on d 35 was noted. Pigs fed with 6% FSP had lower (P<0.05) levels of AST and ALT on d 14, while the levels of ALT and AST on d 35 did not differ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Thus the results suggest that microbial fermented soya protein affected the hematological indices, immune cell populations and plasma enzymes in weaned p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