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ait training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improvement of hemiplegic patients' functions for balance and gait velocity.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were determined to be 10 each hemiplegic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troke or brain damage six months or longer earlier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subjects were evaluated before the experiment using Tetrax and 10M gait tests, received gait training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were evaluated after the experiment in the same method as used in the evaluation before the experiment.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gait training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 control group that was treated by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received gait training thereafter,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and differences in changes after the experi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s in order to compare the two groups with each othe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bearing, balance and gait velocity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p<.05).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weight bearing and gait veloc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p>.05), bal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5). Weight bearing, balance and gait velocity change rat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In conclusion, it was indicated that gait training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s effective for enhancing stroke patients' weight bearing rates, balance abilities and gait velocity.
        4,000원
        3.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muno-MemBlot is a technique for detecting, analyzing, and identifying proteins, similar to the Western blot technique but differing in that protein samples are not separated electrophoretically but are spotted through circular or slot templates directly onto the membrane. Recently we developed a new Immuno-MemBlot (IMB) method applying immunoreactions and coloring procedures directly in the wells of MemBlot apparatus, which were connected by canals to perform drainage for reagent application and buffer irrigation. This IMB method was designed to get theimmunoblot results more rapidly and clearly than the previous immunoblot ones.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analytical accuracy of IMB using different biological assay. In the sensitivity test of IMB the monoclonal antibody can clearly detect the 30 ng (about 12 pM) of Mucocidin peptide (35 mer), and is also available to detect at least 10 ng (about 4 pM) of Mucocidin peptide (35 mer). The IMB was effective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methothrexate (MTX) assay for cellular apoptosis. And more, this IMB is useful to screen large number of specific samples with ease and accuracy in a short time. In the screenings for the presence of Mucocidin in saliva the quantitative comparison is conspicuous among 48 persons depend on the different conditions ofgender, drinking and smoking habits, and oral diseases.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even though the target proteins were partly degraded, a specific epitope can be detected if a monoclonal antibody was still reactive. Conclusively, these data suggest that the IMB can be useful in the primary qualitative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roteins in various fluids, i.e., blood, saliva, tear, urine, etc.
        4,200원
        4.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분자 물질 용액에 감자 절편을 침지시의 탈수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1) 비정상 상태(unsteady state)에서의 확산 식을 초기시간에 대해 단순화시킨 모델, (2) 침지시간별로 수분확산계수와 평균화산계수를 비교하여 탈수현상을 설명하고자 한 모델, (3) 물질이동에 대한 Fick의 제2법칙을 무한평판의 조건에서 전체 시간에 대해 전개한 모델 등 3가지 모델을 가정하여 검토한 결과 PEG용액에 감자절편을 침지했을 때 물질이동의 동력학적인 해석은 Fick의 제2법칙에 근거한 모델이 잘 적용되었으며 수분의 확산계수를 추정한 결과 8×10exp(-7)∼4×10exp(-6)㎠/s 범위였다.
        4,000원
        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식품위생관련 세균의 불활성화를 위한 가열처리 조건(온도. 시간)을 최적화하다. 균주의 생육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은 P.aeruginosa가 0.9155(P<0.05). E. coli는 0.8997(P<0.05).S. typhinurium은 0.9690(P<0.01), E. aerogenes는 0.9393(P<0.05) 및 V. parahaemolyticus는 0.7905로 나타났다 가열처리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주의 생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육억제에는 반응온도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가열처리 조건에 따른 균주의 불활성화를 종합하여 superimposed contour map을 작성한 결과. 55.62∼60℃에서 19.25∼30분간의 처리가 균주으 불활성화 최적조건이었다.
        4,000원
        6.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abilization of amylolytic enzyme such as β-amylase of barley, β-amylase of wheat, β-amylase of sweet potato, α-amylase of Bacillus licheniformis, α-amylase of Aspergillus sp. and α-glucosidase of Aspergillus awamori was attained by modification with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The pH stability of modified enzyme was increased at pH 9 for β-amylase of sweet potato, pH 3∼5 and 8∼11 for β-amylase of barley, pH 2∼3 and 7∼12 for β-amylase of wheat and pH 6 for α-glucosidase of Aspergillus awamori. Thermal stability increased 17.6% for α-amylase of Aspergillus sp. at 60℃ for 10min, 30% for α-amylase of Bacillus licheniformis at 100℃ for 5min and 4.5% for α-amylase of sweet potato at 60℃ for 10min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enzymes.
        3,000원
        7.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판 식혜에는 설탕과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및 여러 사이즈의 말토올리고당, 한계덱스트린이 함유되어 있다. 그 중 한계덱스트린은 0.09%, 밥알은 0.2%를 나타냈다. ^1H-NMR분석 결과, 한계덱스트린은 α-1, 4-결합 및 α-1, 6-결합이 15 : 1 의 비율을 나타냈다. Pullulanase 처리로, 말토오스에서 글루코오스 10 잔기 이상의 말토올리고당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냈다. 한계덱스트린은 여러 아밀라아제 처리 결과, 전통 식혜보다 가수분해율이 훨씬 높았다. α-글루코시다아제와 타액 α-아밀라이제를 공동작용시킨 경우는 62% 가수분해되었다. 그러나, 밥알의 가수분해율이 매우 낮았다. 그래서 전통 식혜에 비해 한계덱스트린의 비피두스인자로서의 효과는 적고, 밥알의 식이섬유 작용은 커졌다.
        4,000원
        8.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혜에 함유된 이소말토올리고당과 밥알에 30unit/ml의 α-아밀라아제, 글루코아밀라아제, α-글루코시다아제, β-아밀라아제를 가하여 작용시킨 결과 글루코아밀라아제 외에는 일부밖에 가수분해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인체의 효소인 α-아밀라아제와 α-글루코시다아제를 함께 작용시켜도 25%이상 가수분해하지 못하므로 비피두스균의 활성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밥알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식이섬유로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9.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강한 남녀노인 244명을 대상으로 영양소섭취 실태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남자노인들은 여자노인들에 비해 사회경제상태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사회경제상태는 남자노인의 영양소 섭취에는 큰 영향을 미치치 않았으나. 여자노인은 단백질과 칼슘, 철분, 나이아신 및 섬유소의 섭취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어 사회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이들의 섭취가 많았다. 영양소 섭취실태는 열량의 경우 남자노인이 평균 1, 528 kcal, 여자노인이 1, 292 kcal로 각각 권장량의 평균 79.1%와 65.5%를 차지하여 권장량에 부족되게 섭취하고 있었다. 권장량의 2/3이하로 섭취하여 문제가 되는 영양소는 남자노인은 칼슘과 비타민 A로 나타났으며 여자노인은 칼슘, 비타민 A 및 riboflavin로 여자노인들이 남자노인들 보다 식사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연령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의 변화는 남녀노인에서 악간 다른 양상을 보여서 남자노인들은 75∼79세 까지는 섭취량이 어느 정도 유지되다가 80세 이후에 영양 섭취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여자노인은 이러한 섭취량의 감소현상이 더 빨리 나타나서 75∼79세의 나이 단계부터 영양소 섭취량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났다. 노인들의 영양소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쳐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저하되었으며, 남자노인의 경우는 신장이 여자노인의 경우는 사회경제상태와 체중, BMI가 영양소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10.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잎 중의 가용성 invertase를 탈이온수로 추출한 후 황산암모늄 0, 4∼0.6 포화획분에 의하여 조제하였으며 이의 효소화힉적 성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pH 6.0과 40℃ 였으며 pH 6.0∼8.0 범위와 40℃ 이하에서 안정하였다. Protease 및 단백질 변성제 처리에 의하여 활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glycosidase에 의해서는 저해를 받지 않았다. 본 효소는 sucrose와 inulin 등의 β-fructofuranoside 결합을 가진 기질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전형적인 β-fructofuranosidase의 성질을 나타내었다.
        4,000원
        1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ssess forest healing programs to middle-aged people in Korea with metabolic syndrome as a method to control the syndrome through prevention and health improvement rather than treatment. In order to develop healing programs in the urban forests for metabolic syndrome patients, environment condition of the forests and moods of participants were compared. Thermal environm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phytoncides were analyzed by the site. Saneum Healing Forest had a lower temperature but a higher humidity than Seoul Forest. Seoul Forest had higher PMV and PPD levels than Saneum Healing Forest, providing patients with freshnes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seasonal factor of autumn. As for the total emissions of phytoncide, mountain forest generated more than urban forest. Nine components out of investigated twenty turned out to be generated more in the urban forests. The atmospheric composition of phytoncid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at are released from vegetation, was analyzed at both sites. Profile of Mood States (POM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healing program. The POMS suggested that forest environments reduce stress and increase comfort, calm, and feelings of refreshment. The tendency towards positive mood state in the forest recommend that middle-aged Metabolic syndrome patients participate in healing programs in the for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