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8

        18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the broilers that are exposed to extreme heat stress by control of inverse lighting times with night restricted feeding of extreme heat diet(EHD1, 2: extreme heat diet) containing different amount of soy oil, molasses, amino acids and vitamin C on short chain fatty acid and blood lipid profile. 300 broiler chickens(Abaica strain) were randomized into four dietary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a randomized block design on the day they were hatched. The four dietary treatment groups were: T1(EHD 1, 10:00~19:00 Dark, 19:00〜10:00 Light), T2(EHD 2, 10:00〜19:00 Dark, 19:00〜 10:00 Light), T3(EHD 1,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T4(EHD 2,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The body weight gain of the broilers was highest in T2, and high in order T1, T4, T3(p<0.05). Weights of the lymphoid organ, thymus and bursa of Fabricius were high in T1, T2 as compared to T3, T4 but spleen was lower in T4 than T1, T2, T3(p<0.05). Bloo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glucose were higher in T1, T2 than T3, T4(p<0.05). LDL-C was high in orderT4, T3, T2, T1 but HDL-C showed the opposite trend(p<0.05). Blood concentrations of IgG, IgG and IgM were higher in T1, T2 than inT3, T4, but the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m. In T1 and T2, Lactobacillus in the feces increased, but total aerobic bacteria, E.coli, coliform bacteria was decreased rather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in T3 and T4(p<0.05). Concentrations of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total SCFA in cecum were high in order T2, T1, T3, T4, but butyric acid, isobutyric acid, valeric acid, isovaleric acid were lower in T1, T2 than in T3, T4 (p<0.05).
        4,200원
        183.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effects of abomasal infusions of casein, glucose or starch on milk produc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dairy cows. Four lactating cows (559±41.9kg) fitted with 100 mm ruminal cannulas were used in a 4 × 4 Latin square experiment. The cows were given access ad libitum to grass silage and received 6.2 kg dry matter (DM) of a mixture of rapeseed meal (5.3kg/d DM) and barley grain (0.9kg/d DM) as a basal diet (CON), the basal diet plus intra-abomasal infusions of 270 g sodium caseinate (CAS), 300 g of glucose (GLU) or 243 g of starch (STA) starting at 09:00 h each day. Abomasal infusion of different nutrients did not affect (p>0.05) grass silage intake and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rumen pH, ammonia N and volatile fatty acids). As unexpected, milk yield and composition data did not differ between CON and the treated groups (p>0.05). Most of plasma amino acids were not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the abomasal infusions of CAS, GLU or STA except for histidine, tryptophan and glycine. Although histidine, known as the first limiting amino acid in dairy cows fed grass silage based diets, was significantly (p=0.003) increased by CAS, we failed to result in a clear increase in milk yield and protein yield. This discrepancy between plasma AA profiles and milk production could be presumably explained by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total amino acids in the present study (2,039μmol/l).
        4,000원
        184.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혈액 속의 글루코우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포스파젠 고분자로 만들어진 진단막을 제조하였다. 혈액 속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장애성분들이 글루코우즈의 농도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러한 물질들 중, ascorbic acid (AA)는 기준 플라즈마 용액보다 3~9% 정도 높은 K/S 결과치를 나타내었고, tolbutamide (TA)는 기준용액보다 11~13% 정 도 낮은 K/S 결과치를 나타내었고, triglycerides와 bovine serum albumin (BSA)은 기준용액 보다 20~25% 정도 낮은 K/S 결과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위의 물질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장애성분들이 포스파젠 고분자 진단막을 이용한 혈당측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4,000원
        18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blood flow at microvascular network. The role of the blood viscosity and the yield stress of blood on the flow at the microvascular network was examined to find the condition of hemostasis. When the yield stress was less than 0.005Pa, there was no stagnant region in the capillary network used in the study. However, when the yield stress increased to 0.05Pa, stagnant areas began to appear, which grew and expanded rapidly with further increase in the yield stress. From the blood viscosity profile of a patient, one can estimate the yield stress of blood, from which the risk of hemostasis can be determined.
        4,000원
        18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한국 성인의 혈압에 따른 안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30,893명(남자 15,735명, 여자 15,158명, 연령 20∼89세)의 검진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은 안과적 시야변화나 녹내장성 유두함몰이 없고,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의 병력이 없는 경우로 선별하였다. 자료는 ANOVA,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에 따른 안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이 높을수록 평균안압과 고안압율이 유의하게(p
        4,000원
        187.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화분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화 직후, 육계병아리에게 천화분추출물을 급여한 후, 혈액의 생화학적 성상 및 항산화능을 비롯한 각종 생체기능에 관여하는 생물학적 수치들을 검토했다. 시험사료 급여 14일간의 각 처리군 별 사료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효율은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otal cholesterol농도는 천화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락했다. HDL-cholesterol농도는 천화분 0.2% 및 0.3%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LDL-cholesterol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천화분 첨가군 모두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천화분 처리군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장 TG농도는 0.2% 및 0.3% 천화분 첨가군 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glucose 농도는 전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FFA농도는 천화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락하였다. 혈장 AST, ALT, ALP 및 LDH의 활성치는 천화분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천화분 처리군들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처리군 별 혈장 Albumin, Globulin, Total protein의 농도는 전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장 total cholesterol은 천화분 0.2% 및 0.3%군들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장 및 간장의 TBARS량은 천화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천화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SOD 및 CAT의 활성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부화 직후의 육계 초기사양에서 천화분 추출물은 에너지이용과 체내 산화물질의 제어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육계 병아리의 질병예방과 성장촉진을 위한 프로그램에 응용가능성을 시사해준다.
        4,000원
        18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Sprague-Dawley 흰쥐 16마리를 이용하여 흰쥐 복강 및 피하지방 감소 후보 항체가 체중, in vivo 타장기 안전성 및 혈액성상 등 영양생리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무처리구(control), 비면역항체 처리구(NAb), 면양을 이용하여 기 개발된 흰쥐 복강(AAb) 및 피하지방 감소 후보항체(SAb)를 복강 주사하였을 때 주사 후 1주차에 SAb 처리구에서 사료 및 물 섭취량의 일시적인 감소가 나타났으나 그 이후에는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보아 항체의 효과보다는 개체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흰쥐 체중의 경우 항체 주사 처리 전․후 및 실험구 간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SAb 처리구에서 나타난 주사 처리 후 1-2주 동안 일시적인 체중 감소 현상이 발생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후보 항체 주사 시 흰쥐 AAb 처리구는 control과 비교해서 생체 신장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하지만, NAb 처리구의 신장 무게 역시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p<0.05) 결국 AAb 처리구의 신장 무게 감소는 주사에 의한 스트레스 또는 개체 간의 변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신장을 제외하고는 후보 항체에 의한 주요 장기들(심장, 간장, 폐 및 비장)의 무게에는 실험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후보 항체에 의해 혈중 glucose, triglyceride 및 total cholesterol 농도에는 실험구 간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각 혈액대사물질의 농도는 일반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이용된 흰쥐AAb 및 SAb는 in vivo 영양생리대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항체로 판단된다.
        4,200원
        189.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icide resistance and activation of the metabolic detoxification enzymes of female Culex pipiens pallens by the blood meal were assessed using a micro-application bioassay and micro-plate enzyme activity assays. Four group of Cx. pipiens pallens were used, a susceptible non-engorging group at seven days after emerging, SNE7 Cp; a resistant non-engorging group at seven days after emerging, RNE7 Cp; a resistant engorged group at one day after blood feeding and a resistant engorged group at seven days after blood feeding, REG7 Cp. Insecticide resistance of Cx. pipiens pallans was increased by the blood feeding. Based on LC50 values, SNE7 Cp demonstrated >50 fold of higher susceptibility to all tested insecticides when compared with RNE7 Cp. RNE7 Cp showed higher susceptibility to all tested insecticides than REG1 Cp and REG7 Cp with a relative susceptibility LC50 (SRLC50) of 25.8 to 50.0 and 25.0 to 48.8. In micro-plate enzyme assays, the metabolic detoxification enzyme activity of Cx. pipiens pallans adult females was increased by the blood feeding. Activation of non-specific esterases (EST), glutathione-S-transferase (GST) and mixed function oxidase (MFO) in RNE7 were higher than in SNE7 and the all tested enzymes in REG1 and REG7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enzyme activation than RNE7, except for activation of GST in REG1. Activation of MFO in REG1 and REG7 were 209.4- and 74.6- fold higher than in REG7, respectively. Non-specific esterases (EST) and glutathione-S-transferase exhibited < 10 fold of higher Rr values. These results may be significant in terms of the criteria that are used to evaluate resistance, because blood fed female mosquitoes may show enhanced expression of the resistance phenotype, possibly allowing for earlier detection of insecticide resistance.
        190.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ne of the overlooked points in mosquito blood feeding research is a final step before blood feeding such as finding a best position of blood feeding site and blood vessels underneath. How mosquitoes detect blood vessels especially using chemosensory organs prior to a final stage of blood feeding is totally unknown. Here we provide the anatomical and chemosensory evidence that a piecing structure of the mouthpart of the mosquitoes is an essential apparatus for the penultimate stage in blood feeding in mosquitoes. Indeed, mosquito mouthparts possesses a set of olfactory receptor neurons in sensory hairs, which are sensitive to volatile compounds present in host blood. Furthermore, the inhibition of gene expression of these odorant receptors delayed blood feeding of the mosquito from host anima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dentify that chemosensory perception in mouthpart is involved in mosquito blood feeding behaviors, which in turn allows mosquito to locate a feeding site more precisely.
        191.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oxicillin, a well-known antibiotic, has a broad spectrum against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cronized and non-micronized amoxicillin prepared using different comminution techniques on change in blood concentration of rats. Forty adult male Sprague Dawley rats (6~7 weeks of age, body weight 128.3 ± 10.7 g)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treatment groups: micronized amoxicillin (MA) group treated with micronized amoxicillin trihydrate powder (particle size, over 90% of 10 μm), non-micronized amoxicillin (NMA) group treated with non-micronized amoxicillin trihydrate powder (particle size, over 70% of 100 μm), given 480 mg/kg body weight once daily for four day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concentration in the MA group on days 3 and 4, compared to the NMA group (P<0.05). In particular, serum concentration of the MA group on day 4 was increased almost two times that of the NMA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due to the increase of the drug’s oral bioavailability, higher serum concentration would be achieved with the micronized amoxicillin trihydrate than with the non-micronized drug.
        4,000원
        19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연속조명과 함께 폭염 스트레스(extreme heat stress, EHS)에 노출된 브로일러에서 폭염사료 급여가 혈액지질, 성장능력, 면역기관, 혈청 면역물질, 맹장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 환경온도 (25℃) 또는 폭염스트레스 (33±2℃)하에서 사육한 병아리는 일반사료(chow diet, CD)와 폭염사료(extreme heat diet, EHD)를 섭취하였다. 부화 당일 Ross 308 병아리 500 마리를 5 처리구 4 반복(반복 펜 당 25 마리)으로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T1 (일반환경+CD), T2 (EHS+CD), T3 (EHS+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및 당밀 5%를 함유하는 EHD), T4 (EHS+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5%,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CD 의 1.5 배씩 함유하는 EHD), T5 (폭염+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5%,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CD 의 1.5 배씩 추가 및 비타민 C 300 ppm 을 함유하는 EHD)로 구분하였다. EHS 는 체중 및 사료섭취량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액지질, 혈액 면역물질, F 낭, 흉선 그리고 비장의 무게는 브로일러를 EHS 에 노출하였을 때 유의하게 낮아졌다. 일반 환경온도 처리군과 비교할 때 EHS 처리군에서 맹장 Lactobacillus sp.는 낮았으나 Escherichia sp., Salmonella sp. 및 총호기성균은 높게 나타났으며 각 처리구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4,000원
        19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24주간 규칙적인 휠체어댄스 프로그램 참여가 혈중지질 및 심리적 웰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여성 지체장애인의 생리적, 심 리적 효과에 대한 지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는 B장애인복지 센터 회원들 중 전혀 운동 경험이 없는 40세 이상의 여성 지체장애인 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 10명(지체기능장애 8명, 관절장애 2명)과 통제집단 10명(지체기능장애 7명, 관절장애 3명)으 로 무작위로 할당되어 구성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종속변인별로 구하였다. 두 집단 간의 평균 비교는 사전검사 측정값을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측정값을 서로 비교하는 공분산분석 (Analysis of Convariance)으로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 째, 휠체어댄스 프로그램 참여는 여성 지체장애인의 혈중지질의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감 소시켰으며, 고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은 증가시켰다. 둘째, 휠체어댄스 프로그램 참여는 여성 지체장애인의 심리적 웰빙의 즐거움, 유능감, 자아실현, 몰입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24주간의 휠체어댄스 프로그램은 여성 지체장애인들의 신체활동의 감소와 장애로 인해 저하된 생리적 변화의 개선뿐만 아니라, 특히 심리적요인인 심리적 웰빙에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온다는 결론을 얻었다.
        5,500원
        198.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ree different non- 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NIBP) in comparison with direct blood pressure measurements in anesthetized dogs. Ten normal healthy Beagle dogs (mean age; 3.7 ± 1.01 yrs, mean body weight 10.2 ± 1.15 kg) were enrolled in this study. BP was measur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i.e., Doppler (DOP), oscillometric, and high density oscillometric (HDO) methods, simultaneously, five times in each subject under anesthesia at three different locations (right, left front legs, and tail). The blood pressure value measured by the Doppler method was the closest to the value measured by the direct method. Although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of BP measured by three different non-invasive methods differed according to the method, all methods, except the conventional oscillometric method, were acceptable for monitoring systolic blood pressure in anesthetic dogs. The inter-measurement variations in DOP and HDO were minimal without affecting the consistency of the test results.
        4,000원
        19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ietary anthocyanin fortified barley (AFB) or whole crop barley (WCB) on growing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blood properties in swine at late fattening phase. Swine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d (p>0.05) but average daily gain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tended to increase in treatments. Meat quality parameters including pH, cooking loss, shear force and meat surface color were not influenced by the addition of barley in diet. However, DPPH content of longgissmus dorsi musc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WCB10 compared to control, AFB5 and WCB5 (p<0.05). FRAP content of longgissmus dorsi muslce was higher in WCB5 than the AFB (p<0.05), thereby, a tendency in FRAP was not similar to that of DPPH. Only myristic acid (C14:0) was affected, and the lowest myristic acid was found when AFB was supplied to swine. A tendency was not determined in total protein and HDL-cholesterol content, however, control, WCB10 and AFB5 had high in total protein and showed significantly low values in HDL-cholesterol.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barley can be considered as an ingredient in swine diet, but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4,000원
        20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안전하면서 효율적으로 비만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식품소재로 목이버섯을 선정하여 복부비만이 있는 중년 여성의 골밀도 및 혈청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30~50대의 복부비만 여성 30명에게 4주 동안 대조군은 목이버섯을 섭취시키지 않았고, 실험군은 목이버섯을 식사와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 전 후 골밀도(T-score, Z-score),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목이버섯 섭취군과 대조군 간에 T-score와 Z-score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목이버섯 섭취군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소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