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7

        18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은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슬로시티를 대상으로 구도심과 슬로시티 핵심지역간의 경관적 저해요소를 해소하기 위한 경관관리방안을 검토하여 마스터플랜으로 정리하고, 삼지내마을 내 경관관리를 위한 주요 경관요소에 대하여 디자인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기본방향은 첫째, 창평슬로시티의 차별화 전략을 추구하기 위하여 5대 불가 원칙과 3대 특성화 전략을 “창평경관 선언”에 담아 행정가와 주민들에게 창평경관의 목표와 전략을 명확하게 전달하였다. 둘째, 기존 도시계획을 검토하여 슬로시티와 부합되는 도로의 직선화 부분의 재검토, 면소재지로서 어울리지 않는 고도화 토지이용계획의 수정, 산재한 공공기관의 통합화 유도 제안, 구도심과 핵심지역인 삼지내마을과의 연계방안을 제시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슬로시티 핵심지역인 삼지내마을의 경관관리를 위하여 주요 경관자원으로 인식되는 요소들에 대해 서로가 조화되면서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는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4,000원
        18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세계중요농업유산과 국가농어업유산의 지정과 함께 농업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들의 지속가능을 위한 관리 체계와 기술 적용은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농업유산자원을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와 모니터링을 위한 진보된 기술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농업유산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굴, 조사, 관리, 모니터링 방안과 지형도, 지적도, 항공 영상, 위성 영상, LiDAR 등 지리정보데이터를 사용한 농업유산의 조사 및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축된 농업유산 자료가 다양한 관련 분야의 연구자에게 제공한다면 농업을 유산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제시된 방법론은 한국의 농업유산의 혁신과 보존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4,000원
        183.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기본설계는 서울시 마포구 아현동의 지형 상 최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3개의 공원을 대상지로 하였다. 설계의 목적은 마포구의 지형적으로 최상부에 위치한 근린공원으로서 하늘을 향해 사방으로 열린 조망형 휴게공원을 주변의 어린이공원, 공공공지와 연계하여 조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위치상 재개발지역의 입주민과 미개발의 기존주거지 사이에 위치하고 주변에 공원녹지가 부재한 환경에서 지역민들에게 휴게, 여가, 운동의 장 그리고 청소년과 어린이들에게는 건강한 놀이공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자 한다. 대상지의 특성을 이용한 설계전략으로는 첫째, 마포구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 사방으로 탁 트인 조망권을 확보하고, 둘째, 2차선도로를 사이에 두고 근린공원 두 곳과 어린이공원, 공공공지의 용도별 공원과 공지가 하나의 영역에 있어 통합설계를 할 경우 서로가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지형적으로 다양한 높이차와 면적을 확보하고 있어 자연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여 다이나믹한 공간형성을 통한 공간활용 및 시설계획이 가능하다. 또한 절차상 행정기관인 마포구의 협력으로 각기 분리조성 될 공원을 통합 조성함으로써 위의 설계전략들이 실현가능하게 되었다. 본 설계는 현재 도심의 산지경사면 주거지역에 위치한 공원의 활용방안과 분산된 소규모 공원의 통합설계와 조성의 시너지효과를 보여주는 모범적 사례가 될 것이라 여겨진다.
        4,000원
        184.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증가하는 경관에 대한 관심에 따라 도시경관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도시경관을 객관적으로 분석 및 평가하며 그에 대한 적절한 관리방안을 도출하여 지속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월미은하레일 이 월미도 경관이 끼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여 월미도 환경과 경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월미도의 입지여건, 월미은하레일의 현황 및 관광객·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만든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작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모든 연령층으로 폭넓게 조사하였다. 대상지의 사진을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4가지 변화를 주어, 기존 사진을 포함 총 5가지 사진을 통한 시지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월미은하레일을 철거하는 방법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지만, 공사와 비용상의 문제로 인하여 두 번째로 선호도가 높았던 색을 변경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월미도의 경관개선에 가장 효율적인 경관개선 방법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적은 금액으로 최대한을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85.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지조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전라남도 곡성군 동악산(736.8m) 일원의 청류동, 고반동 그리고 원계동 3개의 계곡에 펼쳐진 구곡의 실체를 확인하고, 의미 및 경관특성 등을 조명함으로써 곡성군 구곡 문화경관의 보존과 활용 그리고 동악산 휴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악산 계곡 일원은 곳곳에 폭포와 담(潭), 소(沼) 등 계류 암반경관을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성리문화의 전형으로 향유되어온 구곡문화가 실증적으로 대입된 청류계곡 일명 도림사계곡은 “三南第一巖盤溪流 淸流洞”이란 곡성현 「1872년 지방도」에서의 표현과 같이 풍치가 탁월한 승경처임을 축약적으로 보여준다. 동악산 일원에 펼쳐진 청류·고반·원계구곡의 암반과 암상에는 경물(景物)과 경구(警句: 주제어), 시문 등이 바위글씨로 음각(陰刻)되어 있는데, 특히 청류구곡은 경물과 경구가 육로와 수로(물길)에 쌍(雙)으로 설정된 특수성과 정체성을 갖는다. 이들 구곡은 일제 강점기에 정순태와 조병순의 주도로 명명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불교지도자, 실학자, 독립운동가 등 선현들의 장구지소, 유상처 등이 다수 설정된 것으로 볼 때 오래전부터 명인들의 산수탐방과 은일처로 활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남지역에서 유일하게 확증된 동악산 구곡에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총 165건의 바위글씨의 집결지로, 그 내용은 성리학적 가르침 등 수신(修身)의 의미를 담는 내용, 인명, 경물과 경색, 장구지소 등이다. 이 중 ‘鮮史御帝(고종황제)’, ‘保家孝友(고종황제)’, ‘萬川明月(정조대왕)’, ‘非禮不動(명나라 숭정황제)’, ‘思無邪 (명나라 의종)’, ‘百世淸風(주자)’ 그리고 ‘淸流水石 動樂風景(흥선 대원군)’ 등 인구에 회자(膾炙)되는 명인들의 명구들이 망라된 동악산 구곡 권역의 바위글씨는 유가미학적 정신이 반영된 상징적 의미를 표출함은 물론 예술성 또한 탁월한 예술문화경관의 보고(寶庫)이다. 3개 구곡원림 권역의 바위글씨 식별성 제고 및 문화경관 가치 인식 제고차원에서 전통기법인 주칠(朱漆)의 활용, 유상곡수와 다양한 형태의 시회(詩會)와 같은 풍류문화의 전승 및 트레킹코스로서의 연계 등 휴양자원의 활용방안이 수반할 것이다. 더불어 구곡원림을 포함한 동악산 권역의 종합적 학술조사를 통하여 도립공원과 국가 지정문화재 명승 지정과 같은 명소화 전략 및 보존관리에 대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4,300원
        18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ANG, Chul-Joon. 2014. Shifting Agency in Shaping Linguistic Landscape: Evidence from Dar es Salaam, Tanzania.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2), 45-64. This paper addresses the question of agency in shaping linguistic landscape and its manifold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in changing language ideology, attitudes and situations in post-Ujamaa Tanzania. Based on empirical data collected in Dar es Salaam, Tanzania,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shifting agency in shaping linguistic landscape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as well as the spread of English in Tanzania. Agency in shaping linguistic landscape is inseparably interconnected with various social actors'motivations and reflects social changes at large. The domain of human agency behind linguistic landscape (public uses of written language) can be characterized as an epiphenomenon which involves a historical dimension and perspective. The study of linguistic landscape with special reference to agency offers a useful tool for examining various social actors who vie for public space. Agency in linguistic landscape needs to be seen in the wider context of social processes and existing power structures. (150)
        5,500원
        18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해안사구의 훼손원인과 경관을 구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핵심종의 생태적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생태·경관보전지역인 하시동·안인사구의 훼손에 대한 복원방향을 제시하였다. 해안사구의 훼손원인과 핵심종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순환적 피드백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인 시스템 사고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해안사구 훼손의 인위적 원인으로 나타난 곰솔 방풍림이 해안사구에 훼손을 줄뿐만 아니라 수달의 생태적 특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해안사구의 훼손원인 관리에 있어 부족했던 식재의 관리방안의 필요성을 도출해 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인과지도에서는 변수들의 정량적 데이터를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인과지도를 바탕으로 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을 구축하여 연구의 타당성과 효율성 검증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4,500원
        18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김천 김공폭 암각바둑판을 사례로, 암각바둑판의 의미와 입지 및 장소정체성을 고찰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암각바둑판이 새겨진 장전폭포일대는 예로부터 수도암에서 가야산 해인사에 이르는 길목의 승경으로 회자되어 왔다. 수도산에서 발원한 수원(水源)이 장전폭포를 거치는 대가천과 남쪽의 황점 및 장전리에서 비롯된 목통천이 무흘구곡 제6곡인 옥류동 옥류천에 합류된다. 추가 발견된 암각바둑판은 계류형 암각바둑판의 전형적 입지로서, 화강암 협곡과 너럭바위 등의 지형경관이 탁월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옛 선비들의 풍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재차 확인되었다. 만폭 암각바둑판의 크기는 46.0×46.5㎝, 기반암의 크기는 3.0×1.6m 이었으며 높이는 0.7m였다. 바둑판 상부에 "晩"이라 기재되어 있고 대국방향을 장축으로 한 좌향은 NW-SE로 나타났다. 추가 발굴된 김천의 암각바둑판의 명칭은 폭포 상단에 크고 깊게 음각된 '만폭(晩瀑)'이라는 폭포명과 암각바둑판 상단에 이에 조응(照應)하여 새겨진 '晩' 등을 반영하여 '김천 만폭 암각바둑판'으로 명명함이 타당하다고 본다. 만폭 암각바둑판 주변의 바위글씨로 볼 때 폭포의 이름은 만폭을 비롯하여 '수렴폭(水濂瀑)', '귀이폭(歸異瀑)' 등의 이명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폭포수의 상류에서 물을 공급하는 수원은 '원천(源泉)', 떨어지는 폭포수를 담는 못은 '지일담(知一潭)'이며 폭포 하단을 에워싸고 있는 벼랑은 '운금벽(雲錦壁)' 등의 경물명을 부여함으로써 일정한 의미를 설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만폭 암각바둑판의 조영자는 주변에 각자된 4인명의 바위글씨로 보아 수원 백씨 등이 조성 및 향유주체가 되어 구한말 이후 20C 초반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바위글씨와 주민 증언을 통해 볼 때 수원 백씨 이전 이곳은 원림경영 등에 대한 별도 주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계속적인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189.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velopment cannot be thoughtless for the environment and is to create a convenient and comfortable environment; thus, we should not take only economic factors into consideration as if automobiles cannot be valued more than human beings. People should be considered first because they are the ones who live in developed space; therefore, nature and people should be the main issue when development is planned.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se environment and development problems and suggest the fundamental application principle of 'conservation first and development afterward' by discovering problems and measures through the environmental simulation of the Ropeway that was one of major issues in the local community. It is based on the simulation by using the Arc GIS program and Jeju local data from metrical maps (1/2500이 of the national geography service. In addition, the scale modification has been conduc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buildings and measured data of the GIS maps. we have discusse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damage to scenery caused by development of the ropeway construction on Mt. Halla that is World Natural Heritage and essential to scenery factors of Jeju. The cause of the problems was created by development based on the economic logic with its methods with less regards for the loc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also important to create urban landscape that fits for Jeju as the first stage of success to becoming Juju Free International City. It is very encouraging that the provincial office has recently formed teams for urban design to keep and maintain its scenery and landscape that fit for Jeju.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to be solved before the effort to keep Jeju’s scenery and landscape makes steady headway. First, the problem of the overlap of administrative regulations should be solved. Second, there should be the consistency of the administrative performance. Third, the establishment of a objective standard for the creation of urban scenery based on culture. Fourth. a mature sense of citizenship is needed because there is a limit to administrative efforts to keep the urban scenery and landscape.
        4,000원
        190.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생경관의 생태학적 해석을 통한 질적 경관평가방법의 모색을 위해 설악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형성위계에 따른 우수 경관자원을 추출한 후 추출된 자원의 시각적 노출량과 탐방객의 탐방로 선호도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해석을 통해 선정한 우수경관 요소로는 아고산식생대와 고지대 바위군, 계곡 낙엽활엽수림, 암반지역 소나무 토지극상, 대경목군락지, 화목류 및 단풍류 우점군락지, 아고산대 침엽수 군락지이다. 연구 결과 탐방로 선호도와 상관성이 있는 우수 경관자원으로는 대경목군락지의 면적, 화목류 우점군락의 면적, 아고산 침엽수군락의 면적이 탐방로의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탐방로의 가시권과 우수 경관자원의 분석을 통해 자연지역에서의 일반적 탐방로의 소개에서 나아가 경관자원의 가시성을 바탕으로 특정 탐방로의 특정 탐방시기를 제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부 경관자원의 가시성이 탐방로 선호에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었는데 자연환경에서 복잡한 경관요소의 종합적인 가시권 면적보다는 특정 경관의 가시권 면적이 탐방로 선호도에 영향을 주며 단순히 자연지역의 넓은 면적이 시야에 들어오는 지역을 선호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91.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지정 기념물 제 46호인 동백섬에 대해 문화경관림으로서의 식생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동백섬 내 자연휴식년제 지역인 정상부 주변 20,000㎡이었다. 지형, 식생, 식생관리현황을 기준으로 식생구조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유형별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식생구조 유형은 관리되고 있는 동백나무림, 관리되지 않은 사스레피나무림, 험준지의 미관리된 사스레피나무림 등 3개로 구분되었으며, 식물군집 구조 분석결과, 교목층에서는 곰솔이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동백나무(유형Ⅰ), 사스레피나무(유형Ⅱ, Ⅲ)가 우점하였다. 특히, 관목층을 중심으로 난대림의 극상수종인 후박나무가 일부 분포하였다. 흉고직경급별 분석결과, 유형Ⅰ, Ⅱ에서 중경목의 팽나무와 후박나무가 일부 분포하였고 모든 유형의 관목층에서 후박나무가 4~44주 생육하였다. 교목층의 평균 수령은 66년, 아교목층은 22.9년이었으며 종다양도는 0.5472~0.8646로 분석되었다. 동백섬의 식생관리 방향으로서 기존 관리된 동백나무림은 주기적인 관리를 유지하며 관리되지 않은 사스레피나무림은 사스레피나무를 제거하고 동백나무를 식재하는 관리를 제안하였다. 관리되지 않은 험준지 사스레피나무림은 동백나무경관 형성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측되어 상록활엽수림으로의 천이유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4,000원
        19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난개발과 환경파괴로 인하여 한 지 역의 역사이자 그 지역의 풍습이 고스란히 배어있는 향토 사료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노거수의 폐기가 빈번하고 생육 환경의 변화로 이식이 불가피한 노거수마저도 비용적 측면 이나 공종 진행에 따른 공기 단축, 이식 후 제대로 된 유지관 리 등이 미흡하여 고사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노거수 이식 표준품셈, 노거수 식재 후 관리 표준품셈, 노거수 연간관리 등을 산정하여 노거수 이식을 위한 조경표준품셈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노거수 이식 표준품셈의 경우 건설표준품셈, LH공사, 도 시기반시설본부, 문화재청의 식물문화재 치료 표준품셈, 견 적처리를 기초자료로 조사 분석하였다. 뿌리돌림, 굴취, 식 재, 전정, 수간의 수피감기에 대하여는 기초자료를 바탕으 로 노거수에 적용 가능한 표준품셈을 마련할 수 있었으나 수분억제, 지주 설치, 멀칭(덮기) 등 수목의 상태나 현장여 건에 따라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이식의 과정도 중요하지만 이식 이후 적절한 조치를 통해 서만 노거수의 안정적인 생육을 기대할 수 있는 만큼 노거 수 식재 후 관리 표준품셈을 정리 하였다. 노거수 연간 관리에서는 이식 후 노거수의 정상적인 생육 을 위해서는 꾸준한 관심과 월별 발생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환경요인이나 병해충의 피해를 예방 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에 따른 가상 노거수 연간관리표를 작성하여 월별 노거수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자세한 관리 방법에 필요한 표준품셈 은 식물문화재 치료 표준품셈을 기초로 브레싱(쇠조임)설 치, 고사지 및 쇠약지 제거 등을 정리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노거수 이식 표준품셈, 노거수 식재 후 관리 표준품셈, 노거수 연간 관리를 위한 근거자료로서 노거수 이식을 위한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건설표준품셈 조 경공사 표준품셈을 기준으로 한 등비례 적용, LH공사 조경 공사적산기준에 따른 선형회귀분석법, 서울시 도시기반시 설본부(이하 도시기반시설본부)의 2013 조경공사 설계대가 기준을 조사 분석하여 노거수 이식을 위한 표준품셈을 적용 하였고, 노거수에 필요한 공종은 위 항목들에 의해서 적용 하는 조경공사 표준품셈을 기준으로 하였고, 세부적으로 미 비한 부분은 문화재청의 식물문화재 치료 표준품셈을 적용 하였다. 노거수 이식 후 관리를 위한 표준품셈은 노거수의 생육상 황에 따라 필요한 적용 공종들이 다양하므로, 현장 여건에 따라 노거수 식재 후 관리에 필요한 세부항목은 관수, 수간 주사, 병충해방제에 대해 조사 분석 하고자 한다. 노거수 연간 관리를 위한 표준품셈의 경우 노거수는 수세 가 쇄약하기 때문에 미미한 병충해나 미기후적인 환경조건 의 변화만으로도 생육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노 거수 이식 후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기존의 하자보수기간은 2년으로 지정하고 있지만 노거수의 특성상 하자보수기간을 최소한 3년 이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고, 사후관리에 대한 비용도 추가적으로 산정할 필요가 있으며, 연간관리계획에 따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노거수관리에 필 요한 공종(수세회복, 병충해방제 및 엽면시비, 수형조절)과 연간관리계획은 기존의 문헌(조경생태시공 2012 가을, 노 거수 유지관리 : 이종범 경기나무병원 원장)을 참조하여 설 정하였다. 위 항목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규격 R70이상의 노거수 의 이식공사 조경표준품셈을 정리하기 위해 연구의 규격 기준을 R65∼R120으로 정하고 구하고자 하는 규격의 노거 수의 이식공사 조경표준품셈을 정리하기 위해 건설공사표 준품셈, LH공사, 서울시도시기반시설본부, 문화재청의 기 본 자료를 바탕으로 각 자료의 산출근거에 의해 규격 이상 의 품을 산출하고, 연구에서 얻고자 하는 노거수 R65∼ R120에 대한 조경표준품셈은 산출 품의 평균으로 정하였 다. 노거수 이식 후 왕성한 생육을 위해서는 식재 후 관리가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이식 후 필요한 관리의 중요성 인식 부족에 따른 표준품셈의 마련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 다. 기본 자료로 하고 있는 위 항목들의 표준품셈에서는 식 재 후 관리에 대한 자세한 품을 정해놓고 있지 않다. 다만, 문화재청의 식물문화재 치료 표준품셈에서 몇몇 조 치에 대해 다루고 있을 뿐이다. 관수에 필요한 품셈은 건설표준품셈을 기준으로 LH와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도 품셈을 정리하고 있으나 노거수 에 필요한 만큼의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경표준품셈을 따로 마련해야 했다. 그래서 인력관수(주당)로는 충분하지 않은 관수에 대하여는 식재면적(100㎡당)에 따른 살수차를 이용한 관수를 기준으로 표준품셈을 마련하고, 수간주사 및 병충해 방제에 대한 품은 식물문화재 치료 표준품셈에서만 다루고 있어 그대로 적용하였다. 기타 추가로 필요한 엽면 시비 및 상토처리, 생리증진제 처리등도 정리하여 조치가 필요할 때 적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식 비용절감으로 인한 노거수의 생사가 결정되거나 이 식 후 유지관리의 소홀로 인한 노거수의 생장에 지장이 없 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는 바, 그 과정에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거수 이식공사의 표준품셈 정리에 있어서 각 공 종별로 대소의 차가 큰 것과 작은 것이 나타났으며 LH공사 와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는 노거수와 같은 보존가치가 있는 수목의 자원 재활용의 의미와 예산 절감과 같은 경제 성을 고려하여 이식을 위한 다양한 공종의 품을 정리해 나 가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노거수 단일목 규격의 대형화에 따른 재료비 별도 계상뿐만 아니라 인건비의 추가부분도 품을 적용해야 하는 것이 이식 공사비 산출에 적정할 것으로 보며, 각 기본자료에서 산출 한 규격이상의 것을 공종별 공통적으로 평균한 산출 품을 노거수의 R65∼R120의 조경표준품셈으로 정하였다. 둘째, 노거수 식재 후 관리 표준품셈을 통해 일반 조경수 목과는 차별화된 노거수의 특수성을 반영한 관리 항목을 통해 이식 후에도 정상적인 생육이 가능하도록 필요한 공종 의 정리 및 표준품셈을 정리할 수 있었다. 셋째, 노거수 연간 관리는 이식 된 노거수에 대한 체계적 인 유지관리를 마련하여 월별 관리 항목을 정하고, 지속적 인 관심으로 노거수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 서 노거수의 생육이 원활하도록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 련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굴취의 자재 선택 방안이 변화 되어가는 점과 노거수의 특성상 기존 생육 환경에 따른 장비 투입 규격이나, 지장물 및 통행상의 어려운 부분 등 때문에 운반 산출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는 점과 노거수 이식목에 대하여 하자관계 부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점이다. 또한 다양한 기본 자료를 바탕으로 표준품셈을 정리할 수 없었던 것과 노거수 이식이 이루어졌던 설계서를 다양한 수목과 규격으로 구할 수 없었던 아쉬움이 남는다
        193.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설계안은 전라북도 익산시 신용동 344-2번지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광장에 대한 조경계획 설계안이다. 이 설계안의 목적은 원불교 이념을 기반으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원광대학교의 역사성 및 정체성을 담은 랜드마크적 공간으로 조성함과 동시에 이용도가 낮은 기존의 중앙도서관 광장을 새롭게 디자인하여 그 이용률을 향상시키고자 수행되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세 가지 목표가 설정되었는데, 첫 번째는 지속가능한 옥외공간을 조성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차별화된 오픈스페이스공간을 조성하고 세 번째는 주변토지이용을 반영한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먼저 지속가능한 옥외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배치 및 동선, 입지환경을 고려하여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키고 점진적인 성장성을 확보하였다. 차별화된 오픈스페이스공간을 조성하기 위하여 원광대학교의 교조인 봉황의 이미지를 디자인 모티브로 하여 동선과 포장패턴으로 담아내었으며 수덕호와의 연계를 통한 친수공간을 조성하였다. 또한 원불교 이미지 도입을 위해 원불교 교리의 핵심인 일상수행의 요법 9조목을 새겨놓은 열주를 세웠으며 열주에는 뻘삽 모형을 형상화 하였다. 또한 대나무 열매를 먹는 봉황의 전설을 도입하였는데, 대나무를 식재함으로써 봉황이 날아오는 학문적 태평성대를 기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으로 주변토지이용을 반영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 광장을 진입, 만남, 휴식 및 이벤트, 수변공간의 4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교내이용자들의 행태에 맞는 공간을 창출하여 효율적인 토지이용을 촉진하였다.
        4,000원
        194.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박물관 중 대지면적 10,000㎡이상, 연 관람인원 50,000명 이상인 국·공·사립 박물관 6개관을 대상으로 옥외공간 조경시설의 현황을 현지 조사하여 옥외공간의 조경시설 특성을 파악하고 실제 이용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통하여 선호도 및 만족도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박물관의 옥외공간 조경시설을 계획 및 설계하고자 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조경시설 선호도 분석 결과, 휴게시설은 벤치를, 조경식물은 유실수·조경수를, 수경시설은 분수형을, 편익시설은 옥외화장실을 선호하였다.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준 조경시설은 조경식물, 수경시설, 안내시설, 조명시설, 편익시설의 순서로 나타났다. 옥외 조경시설의 이용활성화를 위해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유지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옥외공간 프로그램 중 체험 프로그램의 이용만족도가 높았으며 프로그램 참여시기는 봄을 선호하였다. 옥외공간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만족도는 보통수준이었다. 옥외공간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지역 자원봉사자 및 해설가를 배치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4,000원
        19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priccio which has emersed in Italy of the 18th century is a new genre of the landscape painting. This genre represents reality, but it is very artificial product correspondingly its concept and character. It's birth place is distributed on various regions in Italy, but the main stage was Rome. Till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Rome was the Holy city of the Grand tour, the home of the Neo-Classicism and furthermore the field where archaeology and art history began to be instituted. On such historical situation the Capriccio came out and was recognized as the best popular genre in the visual art. It was favor of the art collection with the antiquity together and reflected the consciousness of the contemporary to the ancient. This study will examine the phenomena in the newly-developed archaeology and with few representative works of Giovanni Paolo Pannini as central term consider the Capriccio and the archaeological connotation. The systematical and institutional archeology which appeared at the age of the Enlightenment, on the contrary to the critical theories at the same time against capriccio, because it was regarded by them as paradoxical and too much sensitive, utilized it as a theoretical method very actively. Some among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did it, especially Francesco Bianchini distinguished the capriccio from simple imagination and made it a capacity of the knowledge. And through it he wanted to find out the historical truth. The visual art was influenced and encouraged by such attitude of the archaeology. However it's output spreaded out in various courses. While Giovanni Battista Piranesi, the best known Capriccist of the 18th century, tried to revive the antique through the epical value and his own imagination, Pannini gave priority to the strict historical research. In the such context Panni succeed Giovanni Battista Nolli who made the great map of the city Rome. Their Capriccio profited motive and was inspired by the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such as Bianchini and Muratori. The Capriccio reflects not only the academic and popular interest for the antique, but also influenced on the upcoming scientific archaeology vice versa. It caused by their reasonable Interpretation and restoration of the antique through the visual medium. Finally as archaeological landscape Pannini's Capriccio is a historical case, in that the Capriccio applied the theoretical method of the archaeology to make art. It served as a momentum for the connotation to the archaeological thought.
        6,300원
        19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은 농촌마을에서 마을경관의 공통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경관정비에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촌경관의 질적 향상과 지역고유의 경관을 관리하기 위한 농촌경관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 1리를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계획수립을 위해 장복리의 입지여건, 인문환경, 경관특성 및 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파악하여 경관디자인 구상 및 공간별 경관정비계획에 적용하였다.장복리 경관정비를 위한 계획은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 및 방문자들의 체험루트 조성을 위해 달천 제방 산책로 정비, 마을뒷산 산책로 정비, 마을안길 정비, 담장 및 지붕 정비 등을 계획하였으며 마을 소득증대 및 농촌관광기반조성을 위해 농산물 판매장 조성, 달천 정비, 국화꽃 단지 및 국화체험장 조성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마을의 인지도 제고 및 장소성 형성을 위해 진입도로 및 진입공간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4,000원
        19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업무공간의 실내정원 경관구성 현황 및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내정원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연구방법은 서울에 위치한 사무실 건물 내 실내정원 10개소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12월 10일부터 2013년 10월 30일까지 실내정원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2013년 5월 20일부터 2013년 10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응답된 설문지 336부는 SAS Ver. 6.12(SAS Institute Inc., 199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 유형은 감상형 3개소, 휴식형 4개소, 감상과 휴식을 겸한 복합형 3개소였으며 실내정원에 도입된 실내식물의 종류는 총 38과 66속 82종이었으며 자생식물은 14과 17속 18종이었다. 주요 도입 첨경물 및 시설물은 조명등, 분수, 바위, 물확, 석탑, 조각품 등의 순이었으며 휴식형의 실내정원에 의자와 탁자 등이 주 시설물로 도입되어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실내정원 이용현황은 주 1회 이용자가 가장 많았고 월요일, 점심식사후, 30분정도를 이용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시각적 아름다움 및 쾌적한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업무공간에 실내정원 도입 필요성이 높게 요구되었다. 경관유형 선호도의 경우 동양식 풍경의 정원형으로 편안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휴식형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실내정원의 위치 및 형태는 사무실 인접 휴식공간에 고정식으로 조성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외래식물보다 자생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훨씬 높았으며, 허브식물, 관엽식물, 야생화 순으로 선호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의 기능 및 효과의 경우 도입필요성에 대한 선호도와 비슷하여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 회사의 이미지 전달, 자연에 대한 그리움 및 소중함, 일의 능률에 대한 기여도, 실내공기정화 순으로 효과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19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中國繪畫의 역사를 살펴보면, 山水畵가 등장하여 中國 繪畫史에서 중심적인 지위를 차지하게 된 이후에야 비로소 筆墨의 예술적 경지 그리고 창작동기와 이론 등 화가와 관련된 것들 역시 상당히 높은 수 준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宋代는 중국 산수화 역사상 황금기로, 유명 화가의 그림이 많을 뿐만 아니라 수준도 높아 고금의 일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형식과 기법은 중국 산수화 전통발전에 매우 특수한 공헌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北宋시기 范寬이 그린 <溪山行旅圖>는 중국 산수화의 최고봉일 뿐만 아니라 외국인들이 중국 산수화를 이해할 때 반드시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작품이다. 이 그림을 본 사람들은 거의 전부 ‘한번 보고 나면 잊기 어려울(一見難忘)’ 정도이며, 많은 감상자들은 호기심을 갖 고 또 많은 감상자들이 감동을 받는다. 그렇다면 이 한 폭의 그림은 감상자들에게 왜 이렇게 감동과 호감을 주는 큰 힘이 존재하는 것일 까? 본고에서는 北宋 范寬의 <溪山行旅圖>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그의 筆墨과 意境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먼저 <계 산행려도>의 필묵을 構圖 ‧ 筆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다음으로 예 술적 경지의 의경을 분석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필묵의 경지인 雨點 皴과 화면분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그림이 보는 감상자들에게 道 의 세계로 회귀해야 한다는 의경을 통해 잊혀 존재를 일깨운다는 점 이다.
        7,000원
        199.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의 주요 상록 조경수종인 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을 통해 탄소저장 및 흡수를 용이하게 추정하는 회귀모델을 제시하고 도시수목의 탄소저감 효과를 계량화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수종별로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흉고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개방 생장하는 조경수목을 구입한 후,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측정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흉고 부위의 수간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을 분석하고 탄소흡수량을 산정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생장에 따른 수종별 단목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는 활용 용이한 회귀모델을 유도하였다. 이들 회귀식의 r2는 0.98 이상으로서 적합도가 상당히 높았다. 동일 직경의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유목의 경우 소나무가 잣나무보다 더 많았으나, 20cm 이상 성목의 경우 생장량 차이에 기인하여 그 반대인 경향을 보였다. 흉고직경 25cm인 소나무와 잣나무는 각각 115.6kg, 130.0kg의 탄소를 저장하고, 연간 9.4kg, 14.6kg의 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경수목의 직접 벌목 및 근굴취의 난이성에 기인하여, 생체량 확장계수, 지하부/지상부 비율, 직경생장 등 산림수목의 계수를 대용하여 대상수종의 탄소저감을 계량화한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할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4,000원
        200.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의 주요 상록 조경수종인 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을 통해 탄소저장 및 흡수를 용이하게 추정하는 회귀모델을 제시하고 도시수목의 탄소저감 효과를 계량화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수종별로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흉고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개방 생장하는 조경수목을 구입한 후,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측정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흉고 부위의 수간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을 분석하고 탄소흡수량을 산정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생장에 따른 수종별 단목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는 활용 용이한 회귀모델을 유도하였다. 이들 회귀식의 r2는 0.98 이상으로서 적합도가 상당히 높았다. 동일 직경의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유목의 경우 소나무가 잣나무보다 더 많았으나, 20㎝ 이상 성목의 경우 생장량 차이에 기인하여 그 반대인 경향을 보였다. 흉고직경 25㎝인 소나무와 잣나무는 각각 115.6㎏, 130.0㎏의 탄소를 저장하고, 연간 9.4㎏, 14.6㎏의 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경수목의 직접 벌목 및 근굴취의난이성에 기인하여, 생체량 확장계수, 지하부/지상부 비율, 직경생장 등 산림수목의 계수를 대용하여 대상수종의 탄소저감을 계량화한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할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