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4

        181.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ound liquefaction of sandy ground during earthquake is a major problem that may cause big catastrophes to infrastructures. In seismic evaluation, it is important to describe correctly the mechanical behavior of soil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in order to avoid or reduce the damages caused by liquefaction. However it needs a lot of time and effor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the elaborate way for ground liquefaction hazard map using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182.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onducted the minimum weight optimum design using the differential evolution and genetic algorithm of simple structure. And then, the optimization program was verified with the numerical analysis examples of fixed beams. As a result, the graphs of these two optimization programs increased similarly.
        183.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atural period is generally used for monitoring the change in structural dynamic characteristics. It is legally obligated in Korea that seismic acceleration measurement system is installed in structures and measured data are transmitted.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hat the natural period is automatically analyzed by the structural acceleration analysis system. First, structural characteristics is changed by various factor such as plan shape, foundation type, structure type, size, and so on. Second, there are many factors ― machinery(basement), conditioning equipment(roof) ― causing noises near the measurement system installation point. Lastly, there are only sent some interval data by earthquake except ambient vibration to the analysis system. In this study to estimate the natural period, systemic approach is developed using simple evaluation formula from Korean Building Code-2009(KBC-2009).
        184.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odel development of displacement estimation of simple beam receiving the concentrated load using terrestrial LiDAR. Using the terrestrial LiDAR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ouch sensor’s disadvantages which have the limit to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The data which is obtained by terrestrial LiDAR goes through coordinate transformation and dividing elements. And then, applying the Cubic Smoothing Spline Interpolation(CSSI) we will find the optimal value for displacement estimation. Also, based on the assumed displacement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stress distribution shape of the experiment model.
        18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genetic relationship of the four major Cucurbitaceae crop. We used 120 Expressed Sequence Tag(EST)-Simple Sequence Repeat(SSR) primer sets of developed from watermelon and published in International Cucurbit Genomics Initiative (ICuGI) database. Among 120 EST-SSR primer, 51(49.17%) EST-SSR primer set successfully amplified and 49(40.8%) EST-SSR primer set showed polymorphisms among eight cultivars of Cucurbitaceae. In the first instance, amplified PCR products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agarose-gel electrophoresis then further analyzed by using Fragment Analyzer. A total 382 PCR band were producted by 49 EST-SSR primers in 24 plant panels, used the analysis of pairwise similarity and dendrogram construction. Assessment of the genetic relationships resulted in similarity index with range of 0.0103 to 0.8452. In dendrogram, 24 plant panels were formed three major groups (A, B, C) and 7 subgroups (A-1, A-2, B-1, B-2, B-3, C-1, C-2). Major group A was comprised of 2 subgroups, subgroup A-1 (6 watermelon cultivars, Citrullus lanatus var. vulgaris Schrad.) and subgroup A-2 (3 wild type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Mats. & Nakai). Major group B was comprised of 3 subgroups, subgroup B-1 (4 melon cultivars, Cucumis melo var. cantalupensis Naudin.), subgroup B-2 (2 oriental melon cultivars, Cucumis melo var. conomon Makino.) and subgroup B-3 (5 cucumber cultivars, Cucumis sativus L.). Major group C was comprised of 2 subgroups, subgroup C-1 [2 squash/ pumpkin cultivars, Cucurbita moschata (Duch. ex Lam.)/Duch. & Poir. and Cucurbita maxima Duch.] and subgroup C-2(2 squash/pumpkin cultivars, Cucurbita pepo L./Cucurbita ficifolia Bouche.)
        186.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밀 품종의 국수 색깔 및 이와 관련된 종실 및 밀가루 특성 평가를 통하여 국수 면대 색깔 향상을 위해 선발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특히 철함량이 국수면대 밝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철 고함유 계통 선발을 위한 간이검정법의 적용을 위해 수행하였다. 국내 밀 품종의 밀가루 밝기는 회분(r =-0.634, P<0.01), 단백질 함량(r = -0.635, P<0.01)및 총 폴리페놀함량(r = -0.493, P<0.05)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면대 색깔은 밀가루 명도(r = 0.684, P<0.001)와 정의 상관을 보였고, 종실특성에서 리터중, 천립중, PPO 활성 및 총 폴리페놀 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밀가루 특성에서 회분, 단백질 함량과 총 폴리페놀함량은 면대 밝기와 부의 상관을 보였고, 연차간 및 품종간 변이에 영향을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철은 밀가루 색 및 국수 면대 밝기와 부의상관을 나타냈고, 간이검정법으로 Potassium hexacyanoferrate(II) trihydrate(PHT) 처리를 한 결과 푸른색으로 염색되었다. 종실을 PHT로 염색하여 측정한 색도와 종실의 철함량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을 분쇄한 통밀가루에서는 PHT로 염색된 통밀가루의 적색도(r = -0.665, P<0.001)와 황색도(r = -0.658, P<0.001)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PHT로 염색된 밀가루의 밝기는 종실의 철함량(r = -0.640, P<0.01)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187.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단영상의학에서 일반영상촬영의 경우 각각의 부위를 연속(series)촬영으로 검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환자선량권고량(DRL)의 경우 각 부위의 전후(AP)방향과 측면(lateral)자세의 촬영 측정값만이 설정되어있는 것이 현실이다. 병원에서는 환자의 연속 촬영에 의해 누적 선량이 발생되며, 이는 환자선량권고량(DRL)과 누적된 피폭선량을 비교할 수 없거나, 과소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각 부위별 연속촬영의 누적선량을 측정한 결과, 조사야에 포함된 경우 입사표면선량(ESD)을 유효선량으로 변환하면 공중의 선량한도(Individual dose)의 최대 38.06%에서 최소 0.23%까지 측정되었다. 그리고 조사야에 포함되지 않은 각 부위의 입사표면선량(ESD)을 유효선량(Effective dose)으로 변환한 경우 공중의 선량한도(Individual dose)의 최대 5%에서 최소 0.04%까지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각 부위별 연속촬영에서 입사표면선량(ESD)이 많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병원에서는 환자선량권고량(DRL)을 구체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불필요한 검사를 줄이기 위해 환자 촬영 order의 세분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여러 부위의 검사에서는 정확한 조사야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18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명피해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 인근지역에서 침수로 인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지역은 하천의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합류부 지점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합류부의 지류에서는 배수위 영향으로 인해 하천의 물이 급격히 증가하여 제방을 범람하면서 침수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댐 방류 및 지류유량으로 인한 합류부에서의 수위 예측을 위해 구축된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남한강 유역의 합류부 지점에서 수위를 예측하고, 본류 및 지류 유량에 따른 합류부에서의 수위를 예측할 수 있는 간편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남한강 전체 대상구간에 대한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의 구축이나 활용없이 충주댐 방류량과 지류의 유량만을 이용하여 본류와 지류의 합류부에서 발생 가능한 배수위를 쉽게 산정함으로써 지류의 홍수 범람 관리 및 피해 예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89.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troduce a learning system for the sight reading of simple drum sequences. Sight reading is a cognitive-motor skill that requires reading of music symbols and actions of multiple limbs for playing the music. The system provides knowledge of results (KR) pertaining to the learner's performance by color-coding music symbols, and guides the learner by indicating the corresponding action for a given music symbol using additional auditory or vibrotactile cu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KR and guidance cues, three learning methods were experimentally compared: KR only, KR with auditory cues, and KR with vibrotactile cues. The task was to play a random 16-note-long drum sequence displayed on a screen. Thirty university students learned the task using one of the learning methods in a between-subjects design. The experimental result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in terms of task accuracy and completion time.
        190.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s highly utilized for QTL analysis, positional cloning of valuable genes, and molecular breeding in crop science. Usually those experiments handle DNA samples of many genotypes (up to several thousands). However, many DNA extraction protocols require longer time using harmful chemicals such as chloroform, phenol, and liquid nitrogen. Here, we introduce a new DNA extraction method for PCR with agarose/PAGE analysis from a diversity panel of rice genotypes identified with yield enhancing traits. This protocol consists of four steps including injection of extraction buffer (20 mM Tris-HCl pH9.5, 200 mM KCl, 2 mM EDTA) into the tubes containing leaf tissues and steel balls, and crushing tissues using Geno-Grinder without liquid nitrogen, sample incubation at 65°C, and then centrifugation for removing cell debris. After centrifugation the crude extracts directly used as template DNA for PCR. Through this protocol we could complete F1 hybridity test from approximately 2,100 plants that come from 96 cross combinations with 13 SSR markers. In addition, we tested the DNA quality by PCR amplification of high GC-rich region and large target size (-2kb). From these results our DNA extraction method produces enough DNA quality for PCR and is suitable for large scale molecular analysis from rice plants.
        191.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육성 및 수집된 장미품종에 대하여 SSR 마커를 이용하여 품종식별 연구를 수행하였다. 장미 품종식별에 적합한 SSR 마커를 선정하기 위하여 112개의 SSR 마커를 12개의 주요품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선발된 22개의 SSR 마커를 대상으로 69품종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대립유전자의 수는 2~10개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총 114개의 대립유전자가 분석되었다. PIC 값은 0.211~ 0.813의 범위에 속하였으며 평균값은 0.621로 나타났다. SSR 마커를 이용하여 작성된 장미 69품종의 품종간 유전적 거리는 0.41~0.87의 범위로 나타났고, 공시 품종 모두 SSR 마커의 유전자형에 의해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미 품종의 식별과 유전적 다양성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92.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흉부, 복부 X선 검사 시 호흡, 위치 잡이, 촬영 중 움직임 등이 있을 때 영상에 어느 정도의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가능한 많은 양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을 만들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병원에서 가장 많이 촬영되어지고 있는 검사 중 선 자세 흉부 후전방향 X선 검사 와 누운 자세 복부 전후방향 X선 검사에서 호흡을 들이 마신상태, 내 쉰 상태, 움직임이 있는 상태에서 각 각 X선 촬영을 한 후 각 부위 별 영상평가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선 자세 흉부 후전방향 X선 검사는 숨을 내 쉰 상태, 조사 중 미세한 움직임이 있는 경우 보다 숨을들이 마신상태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가장 많은 정보가 포함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누운 자세 복부 전후방향 X선 검사는 숨을 들이 마신상태, 움직임이 있는 경우 보다 숨을 내 쉰 상태 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가장 많은 정보가포함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일반 X선 검사의 경우 검사부위, 검사목적에 따라서호흡 또는 검사 중 움직임 등에 따라 영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정보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9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flexural test were carried out on a total eighteen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different steel connection. From the results, reinforced concrete of not spliced showed higher ultimate loads and cracking loads than other specimens. Also the ultimate load of reinforced of parallel(tapered) threaded coupler is almost equal to that of lap spliced.
        19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astrodia elata, an achlorophyllous orchid plant, is rare medicinal plant. We investigated the genetic diversity in G. elata from 4 locations by using Inter-Simple Sequence Repeats (ISSR) markers. Shannon's information Index (S.I.) indicating genetic diversity ranged from 0.255 (Pocheon) to 0.322 (Muju) with the mean of 0.29. The level of genetic diversity was lower than other plant and most genetic diversity was allocated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26.81%). The UPGMA dendrogram based on genetic distance failed in showing decisive geographic relationship. In the case of gastrodin (GA), the major components in G. elata, Sangju was highest. The ergothionine (ERG) was detected a lot of contents in Muju and Pocheon. In conclusion, our results is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explaining relationship of genetic variation and functional substances without the effects of environment factors and developing genetic marker by ISSR in G. elata, which may be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breeds with a lot of functional substance in G. elata.
        195.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총 22개의 감 SSR primer set을 사용하여 주요 재배품종 17품종, 수집한 단감 변이개체 13종 등, 총 30개의 유전적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획득한 469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UPGMA 방식으로 유사도 및 집괴분석을 수행한 결과, 30개의 품종 및 수집 계통들은 크게 2개의 그룹(cluster)으로 나뉘어졌으며, 제 1 cluster는 다시 3개의 subcluster로, 제 2 cluster는 다시 2개의 subcluster를 형성하였다. 이는 수집 계통들이 기존 대조품종들과 서로 동일군으로 분포되고 있어 형태적으로 유사할 수 있고 근연되어 있지만, 유전자적 수준에서는 다른 조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평균 유사도의 값은 0.164 이였고 품종간 가장 높은 유사도 값(0.31)을 나타낸 것은 ‘차랑’과 ‘전천차랑’이였고, 가장 낮은 유사도 값(0.02)를 나타낸 것은 Ⅱ 그룹과 비교하여 Ⅰ 그룹에 속하는 ‘Rojo Brillante’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22 SSR primer set을 통해, ‘차랑’과 ‘전천차랑’을 제외한 대조품종과 수집 계통간의 구별이 가능하여 향후 신품종 개발시 품종보호를 위한 특이적 마커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98.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리 짓기는 대규모 무리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으로 게임이나 컴퓨터 그래픽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대규모 무리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은 계산 집약적 작업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효율적인 무리 짓기 알고리즘이 불필요한 계산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은 실험적으로 찾아내고, 간단한 휴리스틱으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많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의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비하여 평균 약 21%정도 성능을 개선한다는 것을 보였다.
        199.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enetic diversity and the genetic relationship among 30 genetic resources of T. officinale and T. coreanum collected from 20 regions in Korea were evaluated by using ISSR markers. Out of 127 loci detected overall, 122 were identified to be polymorphic with a rate of 96.0% at the 30 individuals. The intraspecific polymorphism between T. officinale and T. coreanum was 92.6% and 88.2%, respectively. The genetic similarity matrix (GSM) revealed a wide range of variablility among the 30 accessions, spanning from 0.179 to 922. According to the clustering analysis, different species T. officinale and T. coreanum, were divided into independent groups and all of the accessions could b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Especially, all of the mountain collected accessions belonged to independent groups.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 officinale and T. coreanum accessions have a high genetic diversity and accordingly carry a germ-plasm qualifying as good genetic resources for br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