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4

        181.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로 상의 눈이나 얼음의 제거에 사용되는 융빙제와 부식방지제 및 저부식성 제설제 그리고 이들의 조합에 대한 성능 및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동결융해 후 무게손실률은 저부식성 제설제가 융빙제와 부식방지제 및 이들의 조합보다 적게 나타났고, 상대동탄성계수 감소는 물, 저부식성 제설제 및 NaCl+JF-1004를 제외하고 융빙제와 부식방지제 및 이들의 조합물들은 동결융해 150사이클 이후에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결융해 후 콘크리트는 물을 제외하고 상당히 심한 표면 손상을 나타냈다. 융빙 효과는 융빙제와 저부식성 제설제 및 부식방지제의 조합하여 사용할 때가 이들 개별적으로 사용될 때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저부식성 제설제 및 부식방지제의 단독 사용은 초기 융빙 성능 뿐 아니라 지속성도 현저히 낮아 현장 적용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강재부식시험의 pH는 저부식성 제설제와 NaCl+JF-1004의 pH는 알칼리성을 띠는 반면에 이외의 나머지에서는 중성에서 산성으로 변화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염화나트륨의 조합물이 다른 수용액보다 상당히 빠르게 무게감량이 나타나 강재 부식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부터 도로상의 눈이나 얼음의 제거를 위하여 융빙제의 조합물을 사용 시 최대한 도로 포장 및 교량에 손상이 적게 미치는 조성물에 대한 신중한 선택하여 사용해야 할 것이다.
        4,000원
        182.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rvey on the food intake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the elerly over 65 years old living in Damyang Jeonnam was performed and meal menus for the pavillion were developed using local products. Allowance of the elderly less than 100,000 won was 45%. The local products of the area recognized by the elderly were bamboo shoot (30%) > bamboo (22.5%) > bamboo basket (12.5%) > do not know (15%) > green tea (10%) > rice(7.5%) > vegetable. In dental health, 52.5% of them had bad condition but 62.5% did not use denture at all. The most favorate foods were Korean (92.5%) and Chinese and Japanese were favored by 5%, and 2.5%, respectively. In percentage of eat-out and use of instant foods, 42.5% of them answered that eating-out chances were very rare and 62.5% answered that they do not use instant foods at all. Potassium intakes for the male and female elderly were significantly very low with values of 2579.2 mg and 2601 mg, respectively (p < 0.05). Calorie intakes for men were 1678.5 kcal, which was only 84% of RI and 1470.8 kcal for women (92%). Shortages of nutrition including calcium intake and others were very serious and the meal was not nutritionally balanced based upon the study of GMDFO. The menu for the elderly in busy farming season of the area were developed with the use of local products and the information from the study.
        4,000원
        18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maintenance and soci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by season. Forty eight Hanwoo steers were video-recorded at 15, 17 and 19 months of age for behavior measurement. Hanwoo steers spent more feeding time (p<0.05) in autumn than in summer and/or winter. Standing time was linearly increased (p<0.05) along with seasonal transition, from summer to winter. The rice straw intake speed was the fastest the summer, whereas the concentrate intake speed was relatively fast in winter. Furthermore, Hanwoo steers showed more behavior time and count for lying down (p<0.05) and drinking (p<0.05) in summer than in autumn and winter. Also, Hanwoo steers spent less count (p<0.05) self grooming and scratching in summer.
        3,000원
        184.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sh selectivity of gill net for Japanes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caught in the East Sea, Korea was describ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five different kinds of mesh size (39.4, 45.5, 51.5, 53.0, 57.6mm)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2006 in spawning season. The catch was mostly Japanese sandfish (93.3%) and some others (6.7%), and almost all of the female Japanese sandfish were larger than the fork length at 50% maturity (16.7cm). The selection curve for the female Japanese sandfish caught from the experiments was fitted by the Kitahara's method to a polynomial equation which was s(R)=exp{(0.2584R3-5.3445R2+32.269R-59.868)-0.6585} where R=l/m, and l and m are fork length and mesh size, respectively.
        4,000원
        187.
        2007.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eriment on the thermal response of college-age Korean was conducted in a thermal environmental chamber during winter season. Eight environmental conditions composed of five air temperatures (18∼26℃) and two relative humidities (40, 60%)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uniformity of thermal environments, the spatial distributions and the temporal variations of thermal parameters were examined in the test chamber. Subjects of 7 females or 7 males were questioned in the chamber for three hours, where thermal and comfort sensations were surveyed every fifteen minutes. The repeatability and temporal variation of thermal response were discussed. The thermal sensation votes of subjects were compared with the predicted mean votes calculated from the thermal parameters and human parameters. The correlation between thermal sensation votes and comfort sensation votes of subjects were discussed.
        4,000원
        189.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철 고온기 재배에 적합한 참외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참외 주산지 성주지역에서 2기작으로 재배되고 있는 주요 품종별 생육과 과실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정식 20일 후 참외 생육조사에서 '슈퍼금싸라기', '금황은천' 참외가 초기생육이 다소 빠른 경향이었고,, 엽록소 함량은 '금지게은천', '금노다지은천', '007꿀', '금보따리' 등에서 우수한 경향이었다. 정식후 첫 수확까지의 소요일수는 '금보따리'가 51일로 다소 빠른 경향이었고, '금동이은천' 52일,'007꿀' 및 '금괴은천' 53일, '금보라' '슈퍼금싸라기' 및 금싸라기은천' 55일, 금노다지은천', '금미은천' 및 '금황은천' 56일, '다이아몬드' 60일 순이었다. 과중은 적금싸라기', '금지게은천' 참외에서 무거운 경향이었고 과육두께도 '금지게은천'이 다소 두꺼운 경향이었고 경도는 '금지게은천', '금노다지은천', '금괴은천' 등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처리간 차이는 없었다. 과실의 과피 색도조사에서 L, a, b 및 Y.I. 모두 처리간 차이는 없었으나 a값은 '금지게은천', '금괴은천', '금보라'등의 품종에서 Y,I.값은 '금지게 은천'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ha당 수량은 '금싸라기은천' 참외에 비하여 '금괴은천이' 및 '금지게은천'이 각각 8%, 2%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 '금지게은천', 금동이은천', '금노다지은천', '금괴은천' 품종이 고온기 재배에서 적합한 품종으로 생각된다.
        4,000원
        19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고랭지에서 사계성딸기의 고설벤치식 양액재배시 묘의 생산 및 저장방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처리는 주냉장묘, 노지월동묘, 폿트냉장묘와 1년생묘였다. 정식시 묘의 생육량은 폿트냉장이 가장 많았다. C/N율은 1년생이 19.5로 가장 낮았고, 폿트냉장은 39.2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첫 수확기의 생육량은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년생의 첫 수확시기는 다른 처리에 비해 5~9일 늦었다. 1년생의 평균과중은 12.6g으로 가장 무거웠다. 상품수량은 폿트냉장이 가장 많았고, 1년생, 주냉장, 노지월동 순으로 많았다. 따라서 고랭지에서 단경기생산을 위한 사계성 딸기의 정식묘는 폿트냉장이 가장 좋았다.
        3,000원
        19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계절별로 EC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EC농도는 급액보다 배액이 높았고 EC를 높게 급액하면 급배액간의 농도차가 많았으며 pH는 급액 EC가 높을수록 배액의 pH가 낮았다. 장미품질은 절화장, 경경, 엽수, 화고, 화폭과 같은 장미의 품질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4월과 5월에 EC 1.3으로 공급한 처리에서 6% 정도 많았고, 6, 7, 8월에는 EC 1.0으로 공급한 처리에서 10%정도 많았다. 또한 9월과 10월에는 EC 1.0과 1.3으로 공급한 처리에서 수량이 10%정도 많았다. 전체적으로는 EC를 봄에는 1.3,여름에는 1.0, 가을에 1.3, 그리고 겨울에 1.64로 조절한 (B)처리가 수량이 가장 많았다.
        4,000원
        195.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을철 수경재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19개 품종을 대상으로 선발 실험을 하였고 그 중 가장 우수한 '아트라스'를 대상으로 생육 및 수량 실험을 수행하였다. 선발 실험결과 직립형태이면서 발아율 90%이상, 초장이 25cm 내외인 '아트라스'와 '딤플'이 가장 좋았고, 발아율은 다소 떨어지지만 '마호로바'도 비교적 우수한 생육을 보여 수출용 품종으로 적합하였고, 직립형태 중 초장이 20cm 정도인 '프리미엄'과 '플라톤' 품종은 내수용으로 적합한 품종으로 생각되었다. 정식시 재식거리를 12×9 cm, 12×11 cm, 12×13 cm, 12×15 cm로 하여 '아트라스'를 재배한 결과 초장 등 엽 생육은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다. 재식거리에 따른 초장의 차이는 12×11 cm가 24.1 cm, 12×13 cm가 21.5cm, 12×15 cm가 21.2cm에 비해 재식거리가 넓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한편 지상부의 생체중은 재식거리가 넓어질수록 증가되었으며, 1개체의 무게는 12×9 cm의 7.3g에 비해 12×11 cm, 12×13 cm, 12×15 cm이 각각 10.7g으로 46% 컸으며, 정식 1홀당 생체중도 재식거리가 넓을수록 증가되어 12×9 cm의 20.2g에 비해 12×11 cm에서 33.8g, 12×13 cm에서 29.7g, 12×15 cm에서 26.9g으로 각각 67~33% 증가되어 수량에 영향을 미쳤다. 수량은 12×11 cm가 14,890kg·ha-1으로 12×9cm의 8,900kg·ha-1에 비해 67%증가되었다. 따라서 가을철 시금치 수경 재배시 안정 생산을 위한 재식거리는 12×11 cm라고 생각되어 진다.
        4,000원
        200.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년초지에 있어서 가축분뇨를 처리형태별로 시용시기를 달리 했을 때 목초의 생산성과 분뇨의 이용효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퇴구비, 톱밥발효돈분 및 액상발효우분을 가을, 봄 및 가을/봄 분할시용하여 수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축분뇨의 시용시기는 물론 분뇨의 처리 형태간에 목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가축분뇨의 N 이용효율은 퇴구비와 액상발효우분이 톱밥발효돈분 보다 낮았다. 3. 가축 분뇨의 시용시기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