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9

        203.
        199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험에는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망선 120 톤 (총톤수) 급이 사용하고 있는 고등어 선망을 기준 스케일로 하고 그 축척비를 1/200 로 정하여 제작한 선망 모형을 이용했다. 그물실의 직경 (d : 0.45mm) 과 그물코의 발 길이 ( l : 4.5∼7.7 mm)의 비율 (d/l : 0.105∼0.058)이 다르고, 그 이외재료, 그물실의 굵기 등이 모두 같은 6종류의 무결절 그물감 (PES 28 tex ×2×2)을 사용해서 선망의 모형 I, II, III, IV, V 및 Ⅵ 형 그물을 만들었는데 뜸줄의 길이는 450 cm, 그물의 폭은 85 cm였다. 그리고 뜸 160g과 발돌 50g 을 부착해서 그물을 완성했다. 회류 수조의 수로 상에 투망 장치 및 짐줄 체결장치를 설치해서 정지 상태의 수중에 선망 그물을 투망한 후 짐줄을 체결하면서 상방과 전방에 설치한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그물의 운동상태를 촬영 녹화했다. 그리고, 용적변화에 대해서는 재생화면에서 그물에 표시한 측정점의 좌표를 화상해석 장치로 읽고 실험값을 구했으며, 장력변화에 대해서는 짐줄 체결장치에 부착된 로오드셀로 측정하고 저장된 자료를 사용하여 해석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짐줄체결중 선망의 용적은 d/l 가 가장 작은 Ⅵ형 그물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V, IV, III, II 및 I 형 순으로 작은 경향을 보였으며, 짐줄의 장력은 작게 나타났다. 2. 짐줄 체결시의 그물내부의 용적변화에 대해서는 다음의 실험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CVt= 1- EXP [2.79(d/l)+0.35t-33.37 (d/l)+0.57] 3. 짐줄 체결시의 짐줄의 장력변화에 대해서는 다음의 실험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T=EXP .57t + 13.36 (d/l)+2.97
        4,000원
        204.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abrication process and properties of SiC particulate preforms with high volume fraction above 50% were investigated. The SiC particulate preforms were fabricated by vacuum-assisted extraction method after wet mixing of SiC particulates of 48 in diameter, as inorganic binder, cationic starch as organic binder and polyacrylamide as dispersant in distilled water. The SiC particulate preforms were consolidated by vacuum-assisted extraction, and were followed by drying and calcination. The drying processes were consisted with natural drying at for 36 hrs and forced drying at 10 for 12 hrs in order to prevent the micro-cracking of SiC particulates preform.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SiC particulate preforms were dependent on the inorganic binder content, calcination temperature and calcination tim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iC preform increased from 0.47 MPa to 1.79 MPa with increasing the inorganic binder content from 1% to 4% due to the increase of flocculant between the interfaces of SiC particulat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iC preform increased from 0.90 MPa to 3.21 MPa with increasing the calcination temperatures from 800 to 120 under identical calcination time of 4hr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iC preform increased from 0.92 to 1.95 MPa with increasing the calcination time from 2 hrs to f hrs at calcination temperature of 110. The increase of compressive strength of SiC preform with increasing the calcination temperature and time is due to the formation of crystobalite phase at the interfaces of SiC particulates.
        4,000원
        205.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액체 상태에서 물질이 확산되는 현상을 자유 부피의 개념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은 1959년에 Cohen과 Turnbull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액체의 부피를 두 부분으로 나누었는데, 하나는 분자가 차지하고 있는 점유 부피(Occupied volume)이고, 다른 하나는 자유 부피(Free-volume)로서 무작정한 열적 유동에 의해서 재분배된다. 온도의 변화에 의해 부피가 변하는 것은 이 자유 부피의 변화때문이며, 점유 부피는 온도에는 무관함 것으로 갖주하였다. 분자가 액체 상태에서 이동하려면 이웃에 충분한 크기의 자유 부피 공간이 존재해야한다. 따라서, 분자의 확산은 분자가 이들 자유 부피 공간들로 도약하는 것이다. Cohen-Turnbull의 이론에서는 순수한 액체의 자기 확산 계수(Self-diffusion conefficient)는 자유 부피의 무작정한 유동에 의하여 임계 크기의 공간이 생성되는 확률과 관련이 있다. Cohen-Turnbull 자유 부피 이론은 그 후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수정되었고, 그중에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Fujita의 이론과 Vrentas-Duda의 이론이다. 두 이론 모두 확산 데이터를 correlation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Vrentas-Duda의 이론만이 확산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또한, 고분자와 용매의 도약 단위의 몰 질량이 같을때에 Vrentas-Duda의 이론은 Fujita의 이론과 같아지므로, Fujita의 이론은 Vrentas-Duda의 이론의 특수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Vrentas-Duda 자유 부피 이론만을 다루기로 하겠다.
        4,000원
        207.
        199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cess volumes of mixing of benzyl alcohol, ethyl alcohol, halothane, and procaine in vesicle and suspensions of several lipids have been determined at 25℃ using a excess volume dilatometer. The potency of general anesthetics has long been known to be correlated with lipid solubility. Denaturations of the bacteriorhodopsin, which is a sole membrane protein in the purple membrane of Halobacteriun Halobium, were studied by UV/Vis absorption changes. The excess volumes of mixing of benzyl alcohol and procaine in egg lecithin were all found to be negative and this result was confirmed as Miller's supposition.
        4,000원
        208.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정체적의 원형단면을 갖는 변단면 보-기둥의 자유진동 및 좌굴하중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를 수치해석하였다. 미분방정식에는 축하중효과를 고려하였다. 원형단면의 반경변화는 포물선식을 채택하였고, 고정-고정, 고정-회전 및 회전-회전 보-기둥의 고유진동수 및 좌굴하중을 산출하였다. 수치해석의 결과로 무차원 고유진동수와 무차원 변수들 사이의 관계 및 무차원 좌굴하중과 단면비 사이의 관계를 그림에 나타내었고, 최강기둥의 단면비와 좌굴하중을 구하였다.
        4,000원
        213.
        199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of matrix phase is larger about 4 times than that of W particle in tungsten heavy alloy, the thermal stresses due to the CT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hases are induced in the alloy during heating and cooling processes. In the present study, a series of W heavy alloy containing various W particle volumes of 0 to 90% is made to investigate the residual stress taking place during cooling process. The CTE and residual stress of the series of alloy are measured by dilatometer and X-ray diffractometer. The residual stress of W particle is in compressive stress irrespective of W particle vol% and tends to increase with decreasing W particle vol% while that of the matrix phase is in tensile stress. The measured residual stress of W particle is about a third of calculated thermal stress. The influence of W particle vol% on the residual stress of W heavy alloy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deformation behaviors of W particle and matrix phase.
        4,000원
        214.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cked cell volume(PCV) of Korean native goat, volume percentage of red blood cell in whole blood, was reshuffled of 20%, 40% and 60% using autoplasma,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was measured in Westergren tubes at room temperature () and low temperature (). The sedimentation rates of red blood cell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s of Korean native goat are accelerated more at high temperature than low temperature.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s of reshuffled Korean native goat upon time are almost linear for several hours.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s of Korean native goat are settled faster at low PCV than higher PCV, i. e., there is a reverse relationshif between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packed cell volume.
        4,000원
        215.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ignition delay, p-t, dp/dt, Q-t of diesel oil and fish oil blended diesel oils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in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bomb.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pressure on the ignition delay was almost constant in high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blending rates, and the ignition delay was shortest in the 60% blend. 2) The maximum pressure was high in order of with pure diesel oil, with the 20% blend and the 60% blend. 3) The rate of pressure rise was high in order of with pure diesel oil, with the 20% blend and the 60% blend. The rate of maximum pressure ris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pure diesel oil than with two blends. 4) The amount of accumulative heat release was large in order of with pure diesel oil, with the 20% blend and the 60% blend.
        4,000원
        217.
        199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류인 닭의 혈액을 PCV수치를 20%, 40% 및 60%로 임의로 변경시켜 자가혈장내에서 Westergren 방법에 의해 실온()과 저온()에서 적혈구 침강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닭에서 PCV수치가 작을수록 적혈구 침강속도는 증가되었다. 2. PCV수치를 변경시킨 닭의 혈액에서 반추수인 산양보다 적혈구 침강속도가 크게 나타났다. 3. PCV수치를 변경시킨 닭의 모든 혈액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적혈구 침강속도는 직선상으로 나타났다. 4. PCV수치를 변경시킨 닭의 혈액에서 적혈구 침강속도는 저온에서 보다 실온에서 크게 나타났다.
        3,000원
        218.
        199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지나해의 초음파산란층에 관한 기초적 연구로서 어군탐지기에 의해 탐지한 어군의 체적산란강도의 연직분포와 수온의 연직분포를 상호 비교「검토하고, 또 트로올조업에 의한 어획시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해역에서 표층에 가장 인접하여 형성된 수온약층의 수심구간은 8m~12m였고, 이 수온약층의 상「하한에 대한 수온차는 8.6℃였다. (2) 수온약층이 형성된 해역에 있어서 야간의 경우, 어군분포는 수온약층 상부의 혼합층에서 군집도가 가장 높았으나, 주간의 경우에는 수온약층에 관계없이 해저부근에서 어군의 군집도가 매우 높았다. (3) 본 조사에서 탐지한 어군의 각 수심층에 대한 평균체적산란강도의 최대치는 -49.3 dB~-48.0 dB 범위였다. (4) 주간에 해저부근에서 탐지한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의 최대치는 -48.6 dB로서, 이때 저층 트로올에 의해 어획된 어획물은 주로 게(Ovalipes punctatus)와 오징어(Photololigo edulis f. budo)였고, 이밖에도 약간의 쥐치(Thamnaconus modestus), 칼치(Trichiurus lepturus), 새우(Metanephrops thomsoni) 등이 어획되었다.
        4,000원
        220.
        197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ithioll , Omethoate , Monocrotophos , Acephate , Metalkamate , BPMC , 및 MIPC 를 100배, 200배, 400배액으로 희석하여 5월 9일 5월 24일, 6월 6일, 6월 20일, 7월 17일, 7월 17일에 각각 1회씩 고농도 미량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 방제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효과는 약제의 종류, 농도 및 살포시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Salithion, Omethoate, Monocrotorhos, Metalkamate순으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으나 그 밖에 약제들은 방제효과가 낮거나 없었다. (2) 100배액에서는 방제효과가 높였으나 농도가 낮어 짐에 따라 방제효과가 현저히 낮었다. (3) 방제효과면에서나 잔효력면에서 볼 때 Salithion이 가장 좋았다. Salithion은 5월 9일에서 7월 1일 사이에 1회 엽면살포로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였다. 그 밖에 Omethoate, Monocrotophos, Metalkamate는 Salithion에 비하여 방제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잔효력이 짧었다. (4) 100배액 살포에 있어서는 Omethoate, Salithion의 순으로 피해량적엽이 많었다. (피해량적엽이란 솔잎은 위축되었으나 충영을 형성치 못하고 부화유충에의한 피해양적만 남아 있는 잎을 말함) (5) 충영내 유충의 밀도는 약제의 종류,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Omethoate, Salithion처리에서 충영내 유충밀도가 낮었다. 농도가 낮어짐에 따라 충영당 유충의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충영내유충의 밀도는 7월 15, 7월 17일 처리에서만 조사 되었는데 처리시기간에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