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5

        221.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case study surveyed management situation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ing (EFF) and their awareness situations. Farmers are aging as an average age of 62-year old. The EFF did not increase farmer’s income, however, farm income of EFF was more than that of conventional farming. Farm household liabilities showed large deviation among farmers. Livestock and greenhouse farm households have more liabilities because of facilities and feed cost. Farmers of EFF have been also cultivating conventional farming, but they don’t plan much conversion intention of conventional farming into EFF owing to lack of differentiated and stable market for thei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ducts. And they are guessing that EFF income will usually not increase more. For increasing of EFF income, they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enlarge production area, change to high-income crop, develop processing foods, change to organic farming and so on.
        222.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근래 세계 각국에서는 기존의 항로표지와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혼합한 형태의 항로표지용 AIS를 도입하여 해상 상태 및 위치 등의 정보를 수집 전달하는 방식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국제 동향에 맞춰 항로표지용 AIS를 채택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그 중 서해안은 해양교통 환경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곳으로, 현재 인천 및 대산 해역에 항로표지용 AIS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항로표지용 AIS 시스템의 국내 표준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현재 항로표지용 AIS 시스템을 운영 중인 두 해역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그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제 항로표지용 AIS 관련 규정 및 국외의 항로표지용 AIS 시스템 구축 사례를 조사하고 관리조직모듈, 구성모듈, 정보모듈, 기능모듈 및 협력모듈의 5가지 모듈을 나누어 두 해역의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안을 제시한다. 그 개선안은 시스템 관리 구조 불일치 개선, 다수의 항로표지용 AIS 정보표시로 인한 관리자 및 이용자의 정보 혼란 해소, 불필요한 정보 수신 문제 개선, 항로표지용 AIS의 수신불능 등 기능상 문제 개선, 항로표지용 AIS 정보의 비활용도에 대한 개선 등이다.
        223.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mercializations and difficulties on the farm-food. For the activation of the farm-food, it is necessary to totally review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prepare the supporting system like manual on the commercialization of farm-food that is helpful to the small farmers. It is also necessary to support small farms strategies customized for increase the sales and satisfaction on farm-food and build-up the promotion related to the green tour and/or farm experience. The results and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build-up the supporting system that reflects the rapid change of market and customer’s preference. They can also be used to design rational policies that is helpful to the farm-food producers.
        224.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on farmer’s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ject for developing large-sca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districts (LSEAD). To analysis farmer’s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a series of farm household surveys were conducted on farmers, take part in the project for developing LSEAD. The sample size of the survey is 80 respectively. As a survey result, awareness and practical use of facilities & equipment shows a little different outcom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ject for developing LSEAD is summarized as follows. Influence on disposal of livestock excretions and farmer’s consciousness change appears 4.47 and spread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4.44, distribu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4.33, and demand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4.04. In order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LSEAD, a governanc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225.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development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based on farm awareness analysis. To analysis farm management, a series of farm household surveys were conducted on farmers residing in Embong-Myun. The sample size of the survey is 108 respectively. As a survey result, satisfaction level about market stability and understanding of upper organization is high, on the contrary, awareness of related organization is low in a relative sense. Most of farmers reveal their intention to sustain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but future agriculturalist and an ageing society that one face as well. In order to establish development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an infrastructure should be consistently expanded. On the other hand, self-supporting ability of farmer’s organization and education system attempt to expand for sustainability.
        226.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olicy issues and direction of sub-urban residential complex by analyzing the settlement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10 sub-urban residential complexes in Chungnam Province were surveyed for general situation, physic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economic environ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atisfac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is more higher in case of the complex created by the public organization. 2) The physical environ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terminant of the settlement, while the economic environment have a relatively lower impact. 3) The residents community is the more active, the satisfaction in the social environment is the more improved. 4) The source of income or the activity of consumption doesn't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in the economic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ree programs for improvement of sub-urban residential complex policy were suggested. First, the various information and counseling service should be provided to attract city dwellers. Second, the policy on the development of sub-urban residential complex has to consider residential preference facto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ird,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the residents community should be activated and especially the activation of community with residents in other village is very important.
        227.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류 초기부터 제작된 테라코타는 자연 재료인 흙을 사용하여 소조기법으로 제작한 후 불에 소성한 것으로 조소영역 안에서 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테라코타 수업은 학습자에게 유희성, 자연의 본질체험, 촉각의 회복, 전통문화교육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테라코타 교육이 학교교육에서 어떻게 시행되는지 알아보고자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초․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통해 실태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테라코타 교육 방향을 논의해보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서 분석 결과로 볼 때 테라코타에 대한 내용이 충분하지 않으며, 초․중․고등학년별 테라코타 교육의 연계성의 확보가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학년별 연계성 확보와 내용의 심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현대 미술의 동향을 반영하고, 다른 교과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수업 내용의 구성, 그리고 물리적인 환경의 개선 등이 효율적인 테라코타 교육을 위해 제시될 수 있다.
        228.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원도에서 과거 발생하였던 대형 재난성 산불, 즉 ‘96년 고성산불, ’00년 삼척 등 5개 지역 동해안 산불, ‘05년 양양산불에서 남겨 준 여러 가지 문제 중 소방공무원들의 산불 대응능력 부족의 결과를 토대로 강원도 소방공무원들을 중심으로 산불진압 경험, 교육훈련기관, 자체 및 전문교육기관 교육훈련 이수 현황, 교과과정 등에 관한 실태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산불에 대한 교육훈련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231.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항도시이며, 우리나라의 해양수도 및 동북아 관문항을 지향하는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해양환경 관리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이의 제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해양환경지표로서 수온(C), 염분(‰),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mg/l),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mg/l), 용존무기질소(DIN: mg/l), 총질소(T-N: mg/l), 용존무기인(DIP: mg/l), 총인(T-P: mgp/ml), 규산규소(Sio2-Si), 부유물질(mg/l), 클로로필(Chi-a: μg/l) 등의 총 12개 지표들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경우 2000년도부터 2003년도까지는 해양환경상태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광역시 및 인천광역시의 해양환경상태를 악화시키고 있는 해양환경지표는 총질소, 용존무기인, 총인 등으로 나타났고, 이들 해양환경지표들은 해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32.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영재상담의 전반적인 상담 실태를 파악하고, 영재상담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영재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설문은 학생, 학부모, 교사에게 상담실태, 상담에 관한 인식과 요구, 그리고 영재의 영역별 특성에 따른 상담요구를 묻는 질문들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영재의 상담은 일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상담을 할 때와는 다른 차별화된 상담이 필요하며 특히, 영재상담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영재들에게 자신의 영재성에 대해 이해하도록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영재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재의 인지적․정의적 특성들을 인식하도록 하여 이를 긍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예방적이고 발달적인 상담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33.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0년의 북한의 연평도 피격 참사를 통하여 비상 대피에 대한 인식은 확산되고 있으나 재난 발생시 피난 및 대피시설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음 따라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민방위 대피시설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 분석하여 앞으로의 새로운 대피체계와 대피시설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민방위 대피시설은 지역별로는 서울이 가장 많았고, 시설별로는 아파트주차장의 비중이 가장 높음. 1990~1999년에 건축된 지하1층 1,001~5,000㎡ 규모, 인접시설간 5분 이하의 거리에 주로 대피시설이 위치하고 있고 501인 이상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음. 대피시설 내부에 별도의 격실이 없는 시설이 많아 화생방 공격시 대피에 취약할 수 있고 방폭문도 없는 시설이 대부분이므로 폭탄이나 미사일 공격에 취약할 수 있음. 대피시설로 연결되는 출입구 개수도 대부분이 1개이므로 대피시 어려움이 예상됨이 파악되었다.
        234.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생식물 전문업체 2곳과 화훼유통단지 3곳의 21개 업체를 대상으로 유통되고 있는 수생식물의 종류와 용도를 조사하였으며, 수생식물이 사용된 화훼장식품 130개를 대상으로 종류별 사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수생식물은 82종이었다. 이중 물가수생식물이 36종(43.9%), 부엽성 수생식물이 16종(19.5%), 침수성식물이 18종(21.9%), 그리고 부유성식물이 12종(14.6%)이었다. 수생식물의 대부분은 분화와 정원용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22.9%만이 절화용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수생식물 가운데 19종이 화훼장식품에 이용되고 있었으며, 속새, 연꽃, 부들, 갈대, 수련, 타알리아가 전체 작품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수생식물 소재 중 53.9%는 절지의 형태로 화훼장식품에 사용되고 있었고, 절화와 절엽은 각각 24.6%와 21.5%를 차지하였다.
        23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을 할 때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가 어떠하며, 어떤 지원 방안들이 요구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였다. 조사는 3단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최종 3단계의 결과에서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와 요구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 지원으로는 한국어교육 자격 연수를 통한 전문가 양성, 한국어교육 전문가 및 다문화 전문가 활용, 멘토링 제도 운영, 한국어 학습 도우미 제도 운영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물적 지원으로는 교재/자료 개발 및 보급, 다문화(한국어) 교육 센터 등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물적 지원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었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연구 결과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프로그램 제작 보급보다는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KSL 강의실에 치중되어 있어, 내용보다는 형식적인 지원이 앞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심리적 지원으로는 다문화 인식에 대한 제고와 다문화 가정 학생을 일반학생과 동일하게 취급하고 그들의 자신감, 정체성 의식 향상과 공동체 의식 향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매우 미흡한 수준이지만 비슷한 순위로 실천되고 있었다. 끝으로, 행·재정적 지원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은 교사(한국어/이중언어)의 대우, 저소득층 자녀 대상 교육비 지원,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비로 나타났으나, 이 역시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실천되고 있었다. 특히, KSL 교사의 지위 보장과 교재 및 교수·학습자료비 지원은 요구에 비해 행·재정적 지원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3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rketing situations and to suggest developing issues for organic farming.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OAP) has been steadily grown by an annual 36.4 percent over the past ten years, and production of OAP took up 4.5 percent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in 2009. 9,403 farmers, cultivated area 13,343ha and production 108,810 M/T in Organic agriculture are respectively formed 0.8 percent, 0.8 percent and 0.6 percent of Korea agriculture in 2009. And production of livestock products to have been certificated from the year 2005 was over 10,000M/T in 2008. OAP is mainly distributed by direct marketing system. The market size of OAP is 188.5 billion in 2008 and has been grown by an annual 30.1 percent. The price difference between OAP and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is about 65.8 percent. Several issues on the marketing system of OAP are as follows : overcost of OAP marketing socially,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absence of standard price, institutional insufficiency to marketing within wholesale market, retail price inflexibility of consumer"s cooperative, and so on.
        237.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sulfur dioxide residues in medicinal herbs in Seoul in 2009. Sulfur dioxide in the samples were determined by Monnier-Williams's modified method. A total of 1,821 samples of 205 different types of herbs were collected from Kyung-Dong Herb markets and Oriental medicine hospitals in Seoul. Of these samples, 642 samples were domestic, and 1,179 samples were imported. Of the 1,821 samples, 61 (3.3%, 31 types) failed to meet the regulations for sulfur dioxide residues of KFDA in medicinal herbs. Among these 61 unsuitable samples, 17 (7 types) were domestic, and 44 samples (26 types) were imported. The content of sulfur dioxide in the domestic medicinal herbs ranged from 0 to 809 mg/kg, while those in imported medicinal herbs ranged from 0 to 4,481 mg/kg. Approximately 84.6% of the samples contained less than 10 mg/kg of sulfur dioxide and about 10.0% of samples contained more than 30 mg/kg of sulfur dioxide.
        240.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 자원의 이용문화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2010년 3월부터 6월 중순 까지 도⋅농복합지역인 전남 광양시 5일장에 출하된 신선 나물류의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5일장에서 신선 산채류를 판매하는 곳은 100-132개소였다. 출하된 품목 수는 산채류 31종류, 나물용 채소류는 13종류였다. 초장은 쑥, 쑥부쟁이, 씀바귀는 10cm 이하의 것이, 머위, 고사리, 방아풀, 민들레, 방아풀, 미나리, 엉겅퀴, 비비추는 30cm 이상의 것이 많이 유통되었다. 신선 나물류의 유통경로는 채취 및 생산자들이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이 81.9-87.7%를 차지하였다. 판매자의 연령대는 61세 이상이 93.0% 이상이었으며, 51세 이상이 97.6%를 차지하였다. 판매처당 판매품목 수는 72.4%이상이 4종류 이하를 판매하고 있었다. 신선나물류의 포장은 84.6% 이상이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확인된 산채 이용 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서는 유통개선과 함께 도시민을 대상으로 한 이용문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