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4

        22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풍나무류의 활력있는 종자의 공급량을 파악해 보고자, 2009년과 2010년의 초가을에 단풍속 6수종, 복장나무, 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 부게꽃나무, 당단풍 및 단풍나무 종자를 채취하여 종자특성과 종자활력을 조사하였다. 화서형태는 복장나무, 당단풍과 단풍나무는 산방화서(corymb),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는 위가 편평한 원추화서(flat-topped panicle), 부게꽃나무는 총상화서(raceme)였다. 화서당 종자?V의 개수는 부게꽃나무가 38.5개로 가장 많았고, 당단풍이 2.4개로 가장 적었다. 종자직경은 우산고로쇠가 13.5mm로 가장 크고, 당단풍이 4.7mm로 가장 작았다. 시과의 각도는 당단풍이 130.05˚로 가장 크고, 부게꽃나무가 48.60˚로 가장 작았다. 20 시과?V의 건조중량은 우산고로쇠가 3,900mg으로 가장 무거웠고, 부게꽃나무가 404mg으로 가장 가벼웠다. 채종한 단풍나무류 종자의 건전종자의 비율은 단풍나무는 50%, 다음으로 부게꽃나무는 43.2%로 나타났다. 나머지 4 수종은 8.6~22.2% 정도로 나타나, 낙하종자에 대한 설치류의 피식량, 건조의 피해, 낙엽층의 발아방해 등을 고려하면 고로쇠, 우산고로쇠 복장나무, 당단풍나무 등의 천연갱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건전종자의 공급량 부족이 하나의 원인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고로쇠, 우산고로쇠, 부게꽃나무 및 당단풍나무의 종피에서 벌레에 의한 천공피해가 관찰되었으며,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의 종자에서는 검정긴꽃바구미(Bradybatus sharpi)가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단풍나무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종자결실과 비산전 후 종자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22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후박나무의 유전자원보존을 위하여 10개 천연집단을 대상으로 9가지 엽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 변이를 조사하고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엽의 평균 생장은 엽신장 9.8cm, 최대엽폭 4.0cm, 엽병길이 1.8cm, 엽맥수 8.4개, 엽저각 67.9°, 엽두각 78.0°로 나타났다. 각 형질특성에 대한 변 이계수 값은 대체적으로 20% 내외의 비교적 유사한 특성을 나타냈다. Nested 분산분석 결과 모든 특성 에서 집단간 및 개체간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전체 분산 가운데 집단간보다 집단내 개체간 차지하는 비율이 모든 특성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집단간 유연관계는 Euclidean distance 1.2 수 준에서 크게 4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나 지리적 분포에 따른 특별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유집군의 유형에 대한 주성분분석 결과 제3주성분까지가 누적변이 값이 92.8%로 나타났다. 제1주성분의 기여율은 40.3%로 대체적으로 최대엽폭, 제2주성분의 기여율은 28.7%로 엽신장, 제3주성분의 기여율은 23.8%로 엽병길이 특성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나 후박나무 집단간 유연관계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 났다.
        4,000원
        223.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2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에서 추출한 천연 색소로 염색한 직물의 색채특성을 고찰하고 염색 직물의 색채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감각과 물리적 색채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미생물 Zooshikellar에서 추출한 prodiginine 색소를 이용하여 적자색으로 염색된 면, 견, 모, 나일론 직물에 대하여 20대 대학생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의미미분법을 이용한 색채감각 및 감성을 평가하였다. 미생물 prodiginine 색소로 염색한 직물의 색채감성요인은 '유쾌성', '품위성', '독특성', '편안성' 등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는데, 이 중 '유쾌성' 요인이 미생물 색소로 염색한 직물의 대표적인 색채감성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 prodiginine 색소로 염색한 직물 색채의 명도 L*은 '유쾌성' 요인과 유의한 관계를, 채도인 C*는 색채감성요인 모두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a*와 b* 의 물리적 색채변인 또한 색채감성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또한 색채감각과 색채감성요인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미생물 prodiginine 색소로 염색한 직물의 색채감성, 색채특성 및 색채감각 중에서 색상 선호도를 예측해 주는 변인은 '유쾌성'과 '독특성'을 포함한 색채감성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2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9년 5월에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수경재배 비닐하우스에 가지를 정식하고 담 배가루이를 접종하였다. 난황유 200배액, 님제 500배액, 은행과육 발효액 10배, 돈 분침출액 50배액, 제충국제 100배액, 은행잎추출액 200배액, 고추씨기름 200배 액, 고삼추출액 10배액 그리고 대비구로 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1000배액과 증류 수를 7일 간격으로 분무처리 하면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가지 생육과 수량을 조사 하였다. 초기 생육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정식 73일후 생육은 초장, 엽장, 절수 등에 서 디노테퓨란, 님제, 돈분침출액, 난황유, 은행과육 순으로 양호하였고, 고삼추출 액과 증류수 처리가 저조하였다. 성충발생은 디노테퓨란이 3.5마리/4cm2로 가장 적었고, 님제 4.4, 난황유 6.2, 은행잎추출액 7.9마리/4cm2 순 이었으며, 고삼추출 물과 증류수가 각각 10.6, 11.9마리/4cm2로 많았다. 약충발생에 있어서도 디노테 퓨란 0.2, 님제 1.0, 고추씨유 5.0, 난황유 6.0마리/4cm2순으로 적었고, 고삼추출물 과 은행과육이 11.5마리/4cm2, 증류수처리가 12.1/4cm2로 많은 발생을 보였다. 수량은 디노테퓨란이 597.9g/주로 가장 많았고, 님제 308.2g/주, 고추씨유 240.7g/주, 난황유 224.8g/주 순이었으며, 증류수 182.3g/주, 은행과육 161.7g/주, 고삼추출물 130.0g/주로 적었다. 담배가루이 약충의 경우, 증류수 대비 화학농약인 디노테퓨란은 98%의 방제효 율을 나타내었고, 천연물질로는 님제 92%, 고추씨유 59%, 난황유 50%의 방제효 율을 나타내었다.
        23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tural Ginger extract was extracted from Ginger component using ethanol as a solvent, and we tested various pharmaceutical characteristics in this extract. Characteristics experiment to use natural Ginger extract tested antimicrobial experiment using microbe, and analyzed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 with analysis instrument. From the result of characteristics experiment, some conclusions are obtained as follow. In this experiment, natural Ginger extract was obtained about 22.50 g-Ginger extract(extraction ratio : 1.80%) as liquid state of some viscous yellow-brown color. The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with staphylococcus aureus and aspergillus niger in microbe decreased more and more according to passage of reaction time. This phenomenon could know that Ginger extract has influenced to antimicrobial effect. In the result of instrumental analysis, aromatic organic components of benzimidazole(1.283), propyl isothiocyanate or isothiocyanic acid(1.477) etcs from Ginger extract were detected with GC/MS and inorganic component of Ca(27.6 ppm), K(24.08 ppm), Mg(6.03 ppm), Na(1.02 ppm), Zn(1.02 ppm), Sb(0.711 ppm) and Li(0.079 ppm) etcs from Ginger extract were detected with ICP/OES.
        4,000원
        23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생 초본식물의 보존과 임간재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가리왕산과 중왕산 지역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천연활엽수림을 중심으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를 조사하고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초본식물 분포조사에서는 136종의 초본식물이 확인되었으며, 개별꽃의 상대우점치가 10.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밖에 주요 식물종은 벌깨덩굴, 현호색, 참나물, 대사초, 단풍취, 큰개별꽃, 얼레지, 곰취, 만주족도리풀, 피나물, 노루오줌 등 이었다. 노루귀와 단풍취; 참나물과 두메투구꽃; 두메투구꽃과 풀솜대; 벌깨덩굴과 큰개별꽃, 등의 종간에는 매우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주요 식물종의 유집분석 결과, 7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주요 자원식물종이 선호하는 입지인자들이 밝혀졌다. 곰취, 단풍취, 박쥐나물, 얼레지, 참나물 등은 해발고가 높을수록 많이 분포하였고, 곰취는 토심이 깊을수록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얻어진 결과는 평창군 아고산 천연활엽수림의 보전과 주요 지원식물의 임간재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23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천연염색 견직물의 색상과 톤, 염료 및 매염에 따른 색채감성 이미지 요인의 차이를 고찰하여 천연염색 견직물의 색채감성 이미지 스케일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국내 외 시판 천연염료로 단일 및 복합염색을 실시하여 얻은 대표적인 66개 색채의 동일한 견직물을 대상으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추출된 색채감성 요인 중에서 '유쾌성'은 Blue와 Green, vivid와 bright의 색채이거나, 치자황과 치자청, 황토, 홍화씨로 염색, 또는 알루미늄으로 매염하였을 때 강하게 인지되었으며, '자연성'은 Purple Blue, light, light grayish, pale의 색채, 또는 빈랑자, 오배자로 염색하였을 때 높게 평가받았다. '현대성'은 Green, Blue Green, Blue의 색채에서, 염료로는 생쪽과 치자청, 철 매염시에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매력성'은 Red, Red Purple, Purple과 dark, 염료로는 오배자, 랙, 꼭두서니, 매염제로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사용하였을 때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천연염색 견직물의 색채 특성과 감성 이미지 형용사 간의 관계에 의한 시각적 이미지 스케일을 구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색채감성 지향 천연염색 직물 및 의류 제품의 기획 및 설계를 기초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3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dishwashing liquid added with the mixture extracts of Curcuma Longa L. (CL), Morus alba (MA) and Ecklonia cava (EC) at various concentrations. The pH and lightness of the natural dishwashing liquid were reduced by adding the mixture extracts, while the turbidity was increased. The natural dish washing liquid added with mixture extracts was shown to display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 monocytogene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Also, it revealed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increased depending on concentrations. However, natural dishwashing liquid added with mixture extracts showed the low detergency efficiency. In sensory evaluation, the natural dishwashing liquid containing CL 0.5%, MA 0.25% and EC 0.25% was preferred than the control and it showed negative result in skin patch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CL 0.5%, MA 0.25% and EC 0.25% positively improved the qualities characteristics in the natural dish washing liquid.
        4,200원
        235.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쪽을 이용한 천연염색에서 염색의 횟수에 따른 발색 재현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반복 염색에 따른 발색 시뮬레이터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천연염료로는 쪽을 사용하였고 염색의 매질로는 닥원료를 사용하였다. 닥원료를 1회에서 70회까지 반복하여 염색한 닥죽을 만들고 이를 제지하여 천연염색된 감지(紺紙)를 제작하였다. 원지로부터 반복 염색된 감지의 발색을 재현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위해 모집단으로는 멘셀색시료를 사용하였으며 RGB카메라를 고려하여 3개의 기저함수로 부터 직물의 분광반사율을 모델링하였다. 그리고 닥원료로 만든 원지(原紙)와 염색된 감지의 분광반사율을 기저함수의 선형조합으로 표현하고 이로부터 염색횟수에 따른 감지의 분광 반사율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감쇄함수를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염색 횟수별로 실제 염색한 감지와 원지로 부터 예측한 영상을 비교하고 정량적인 색차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반복 염색시 재현성이 일정하다는 가정에서 색차 1미만의 범위에서 천연염색에 따른 감지의 발색을 재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36.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fficient use of the black rice bran for dyeing textiles.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proper extracting conditions of black rice bran, dyeability and dyeing fastness of dyed silk fabrics. To find proper extracting condition of black rice bran, we extracted black rice bran with water at different temperatures(, , ), different extracting pH(pH3, pH4, pH5, pH6) and extracting time(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min.). Also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yeing time(1, 2, 3, 4, 5, 6hr.), dyeing temperature(, , ) and mordanting method(non, pre, sim, post) to examine dyeability and dyeing fastness of dyed silk fabrics. As a result, when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 3hr., respectively, extracting was best. And the higher the extracting concentration, the more the extracting amount. As the dye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higher and longer, the dyeability of silk fabrics was better. With mordant, the dyeability was improved and when using premordant method better, the K/S value was maximized. The laundering fastness of the silk fabrics dyed with black rice bran was estimated to have a good grade of 3~4, however, the light fastness was poor to have a grade of 1~2.
        4,000원
        24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tural grape extraction was extracted from grape component using diethyl ether as a solvent, and we tested various pharmaceut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is extract. Characteristic experiments to use natural grape extract tested antimicrobial experiment using microbe in pharmaceutical material, and tested dye experiment using fiber in chemical material. From the result of characteristics experiment, some conclusions are obtained as follow. From the result of characteristics experiment, it obtained about 7.5%-grape extraction ratio as semi-solid state, and after dried in freezing from grape extract of semi-solid state, it obtained about 10%-grape extraction ratio as solid state of dark purple color. From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of grape extract, number of staphylococcus aureus (KCMC-01) and aspergillus niger (KCMC-02) in microbe decreased more and more according to time passage. This phenomenon showed that grape extract influences to antimicrobial effect. From the result of dye experiment of grape extract, it appeared in direction of dark purple color after dyed to use cotton and silk with fiber to control in pH 7.5. Specially the result which confirmed dye of fiber with optical electron microscope(OEM), we could know that it appears darker silk than cott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