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7

        221.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species at artificial reefs (octangle three-stage compartment type and dice type)and natural rock in the Shinyang-Ri coastal waters off Jeju Island with visual census method in January 2009, April 2009, July 2009, September 2009, December 2009, March 2010, June 2010, and September 2010. A total of 44 fish species was occurred, and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Apogon semilineatus, Chromis notata, Trachurus japonicus, Sebastes thompsoni and Apogon doederleini.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fishes was higher at April 2009 and March 2010, however, lower at June 2010 and September 2010. The number of fish speices was higher at artificial reefs than those of at natural rock. Apogon semilineatus was dominant at octangle three-stage compartment type and the dice type artificial reefs, whereas Chromis notata was for natural rock.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rtificial reefs were good habitats for a variety of fish species in the Shinyang-Ri coastal waters off Jeju Island.
        4,000원
        222.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야외답사는 개발된 야외 학습장의 부족과 접근의 어려움, 학급 당 학생 수의 과밀화, 거리와 시간의 문제, 그리고 비용의 문제 등으로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만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야외답사의 이점을 장점으로 살리면서 현실적인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래시 파노라마를 활용하여 웹-기반의 가상야외지질답사를 개발하고 이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개발된 제주도 VFT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중 고등학생들에게 화산 지형과 지질에 관한 학습을 위한 가상의 공간을 제공한다; 웹-기반으로 개발되어 학습 내용에 비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학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시공간적 제약과 경제적인 부담이 없고, 같은 장소를 얼마든지 반복적으로 탐구 할 수 있다; 학교급에 따라 수준별로 학습할 수 있는 활동지가 제공된다; 지형 지물의 근접 촬영 이미지, 탐구활동과 관련된 질문과 설명, 해당지역의 실제 암석의 표본 사진 및 박편 이미지 등의 다양한 보충적인 웹 콘텐츠들을 제공한다. 개발된 제주도 VFT를 과학 수업 및 비교과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지도 모형을 각각 제안하였다.
        4,500원
        22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무가온 하우스에서 오크라를 생산하기 위한 재배법을 개발하기 위해 11개의 품종에 대한 특성조사를 하였다, 또한 무가온 재배 시 적정 재식 밀도를 구명하기 위해 "Greensode" 품종의 발아조건과 재식간격을 구명하였다. 먼저 11개 품종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No. 1', 'No. 4', 'No. 5'는 'No. 2', 'No. 3'에 비해 발아력이 다소 우수하였다. 생육은 No. 4의 초장이 109.2cm로 타 집단보다 길었다. 착과부위를 나타내는 마디수는 대부분 4.2~6.5개의 분포를 보였는데 'Greenrocket' 품종의 마디수가 가장 많았다. 수량은 'Greensode', 'No. 2', 'No. 5'가 많았다. 또한 오크라 'Greensode' 육묘 재배 시 발아율 향상을 위하여 종자 침지 시간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 18시간 종자 침지 처리구가 9시간 침지와 무침지 처리구에 비하여 발아속도가 우수하였다. 18시간 종자 침지 처리구의 100% 발아 시점이 파종 후 8일 째로 9시간 침지와 무처리구 보다 7일 가량 빨리 발아되었다. 오크라 'Greensode' 무가온 재배를 위한 적정 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해 재식간격, 구딩주수 처리를 달리하여 직파 재배하였다. 처리구 간 초장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재식간격이 좁아질수록 경경이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45×75cm 간격으로 파종하되 3~4주를 모아 심을 처리에서 수량이 가장 많아 무가온 재배에 적합했다.
        4,000원
        225.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 용수저수지 주변 호랑가시나무개체군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분포서열법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호랑가시나무개체군은 꾸지뽕나무우점개체군, 상동나무우점개체군, 예덕나무우점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토양분석 결과 유기물함량 14.62~17.35%, 전질소함량 0.39~0.51%, 유효인산함량 8.83~20.15mg/kg, 치환성 K 0.44~0.64cmol+/kg, Ca 5.79~6.87cmol+/kg, Mg 3.43~4.19cmol+/kg이며, 토양 pH는 5.41~5.8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덕나무우점개체군은 유효인산과 유기물함량이 많고 치환성 K, Mg의 양료가 적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동나무우점개체군과 꾸지뽕나무우점개체군은 유효인산과 유기물함량이 적고 치환성 K, Mg의 양료가 많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호랑가시나무 자생지 보호를 위해 수관층을 피압하고 있는 덩굴식물 제거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속적인 생태모니터링과 자생지 보존을 위한 관리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4,000원
        22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연안해역 4개 지역(한림, 애월, 신촌, 함덕) 해수의 온도, 염분농도, 용존산소량(DO),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부유물질(SS), 암모니아성 질소(NH3-N), 질산성 질소(NO3-N) 및 아질산성 질소(NO2-N)와 같이 다양한 이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해수의 평균 온도는 26.23~28.6℃, 염분농도는 31.4~32.88‰, pH는 8.15~8.35, COD는 0.48~0.91 mg
        4,000원
        227.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orming of fishing ground and the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in the coastal waters off Gim-nyeong of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The stock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between Jeju Island and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is probably the same. Water temperature probably is a major factor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yellowtails in deeper, offshore areas off Jeju Island. However, the major factor that determines aggregation of yellowtails in coastal areas of Jeju Island, especially off Gim-nyeong is probably strong tidal currents driven by distribution of yellowtails rather than hydrological conditions such as Yellowtails collected off Jeju Island were from 1 to 4yrs old and about 50% of them were 1-yr old, probably indicating overfishing. Jack mackerel was the major prey item for yellowtails off Gim-nyeong from October to March, suggesting concurrence of the two species.
        4,000원
        22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수용과 전개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제주지역의 송국리문화는 금강유역에서 호남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에 송국리문화가 수용되고 전개되는 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수용)는 A형의 송국리형주거지가 주로 축조된다. 토기는 재지계의 직립구연토기와 삼양동식 토기가 확인되며 외래계의 점토대토기와 흑색마연장경호 등이 동반 출토된다. 반면 석기는 편인석부, 일단병식석검, 편평삼각형석촉 등이 출토되고 있다. 1단계는 B.C.4~2세기경에 해당한다. 2단계(확산)는 주거지의 규모가 다소 축소되며 A형이 지속적으로 축조되지만 B형과 C형 등 다양한 형태가 출현하게 된다. 토기는 직립구연토기가 소멸하고 삼양동식토기가 일부 잔존하고 있으나 대부분 외도동식토기로 전환되는 단계이다. 이외에도 高杯型土器, 盤型土器, 토기뚜껑 등 새로운 기종이 출현한다. 석기는 식량처리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철기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단계는 B.C.1~A.D.2세기경에 해당한다. 3단계(전환)는 송국리형주거지가 일부 잔존하고 있으나 외도동식주거지로 전환되면서 소멸되는 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기는 이전 단계의 기종이 대부분 소멸하고 외도동식토기로 단일화되고 있으며 일부 마한계 토기가 동반 출토되고 있다. 석기는 2단계와 마찬가지로 식량처리구를 제외하고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철제품이 급증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3단계는 A.D.3~4세기경에 해당한다.
        8,700원
        229.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monitored a variety of marine fish communities in artificial reefs unit of the total 5 types (Dice type, Octagonal turtle type, Two-stage tube type, Gazebo type, Tetrapod type) which are located in the marine ranching at Jeju island by scuba diving in May, July, October and December 2009. Underwater photographing was accomplished at total 3 phases (condition of artificial reefs photographing, concentric circle movement photographing and line transect photographing). The preservation condition of artificial reefs facility was very goo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Chromis notatus, Sebastes thompsoni, Oplegnathus fasciatus and Halichoeres poecilopterus. Fish abundance was high in May and June, and low in October and December, 2009. Chromis notatus was dominant at the all types of artificial reefs, Halichoeres poecilopterus for Gazebo type and Tetrapod type of artificial reefs, and Sebastes thompsoni for Dice type, Octagonal turtle type and Two-stage tube type of artificial reefs.
        4,000원
        23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에서 무가온 하우스 재배시 아티초크의 정식시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Imperial Star'와 'Green Globe' 2품종을 사용하여 정식 시기는 전반기 5회(2월 25일~4월 30일), 후반기 6회(7월 30일~12월 15일)로 하였다. 전반기 정식에 있어서 화뢰 출현은 5~6월에 이루어졌는데 'Imperial Star' 품종이 'Green Globe' 품종에 비해 빨랐다. 첫 수확은 2월 25일 정식한 'Imperial Star' 품종에서 6월 16일로 가장 빨랐다. 수량은 전반기 정식의 경우 2월 25일 정식한 'Imperial Star' 품종에서 856kg/10a로 가장 많았다. 4월 15일 이후 정식에서는 두 품종이 모두 화뢰 출현이 이루어지지 않아 연내 수확이 불가능 하였다. 후반기 정식의 경우 화뢰 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이듬해 2월 하순~4월 중순경에 이루어졌으며 7월 30일 정식한 'Imperial Star' 품종에서 2월 26일로 'Green Globe' 품종에 비해 18일 빨랐다. 첫 수확은 4월 초순부터 가능하였으며 수량은 7월 30일 정식한 'Green Globe' 품종에서 2,127kg/ 10a로 가장 많았으며, 이후 정식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정식시기를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정식일에 따른 생육과 수량을 비교한 결과, 제주지역 무가온 하우스에서 아티초크의 연내 수확을 위해서는 2월 25일 정식이, 이듬해 수확을 위해서는 7월 30일~10월 15일 사이에 정식하는 것이 생육 및 수량성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정식시기가 전반기일 경우는 'Imperial Star' 품종을 후반기일 경우는 'Green Globe'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 되었다.
        4,000원
        23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5년 2월부터 8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애월읍 신엄리에서 흑로의 식이물과 취식 영역을 조사하였다. 수거한 식이물은 모두 5종 21개체였으며, 이중 검정망둑(Tridentoger obscurus)이 38.1%(n=8)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가막베도라치(Ennedpterygius etheostomus)가 19.0%(n=4), 멸치(Engraulis japonica)가 14.3%(n=3) 순이었다. 식이물의 크기는 평균 58.29±5.17mm(n=19)였으며, 검정망둑 67.49±4.91mm(n=8), 가막베도라치 43.98±3.50mm(n=4), 멸치 22.77±1.17mm(n=3), 반쯤 소화된 상태의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와 볼락(Sebastes inermis)도 확인되었다. 먹이활동이 이루어지는 취식 영역은 번식지를 기점으로 동쪽으로는 7.4km 지점의 외도천 하류까지, 서쪽으로는 6.6km 지점의 애월읍 금성천까지로 나타났다.
        4,000원
        23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년 6월 23일부터 6월 29일까지 제주도에 위치한 말 목장의 방목지에서 말의 연령에 따른 군별 행동양식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마는 육성마군 3세 11두, 육성마군 1세 12두를 대상으로 행동을 조사하였다. 연령에 따른 행동의 차이가 약간 나타나 육성마(1세) 군에서는 채식이 56%, 기립 23%, 횡와 10%, 보행 5%, 러닝 2.5%, 음수가 3%였다. 육성마 1세의 3두의 개체별 행동발현은 개체차이가 나타났으며 비율의 평
        4,000원
        23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주마 생산 육성에 중요한 종빈마의 패독과 방목지에 있어 군별 및 개체별 행동양식을 조사하여 경주마 사양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목 중인 포유 종빈마군에서는 채식이 62%, 기립 휴식이 31%, 음수가 3%, 횡와 휴식이 1%, 보행이 1%, 수유 행동은 2%가 발현되었는데 러닝은 발현되지 않았다. 포유 종빈마 개체별(3필) 행동발현비율의 평균은 채식이 295분으로 55%, 기립 휴식이 193분으로 36%, 보행과 음수가
        4,000원
        238.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maturation and main spawning season of Japanese spear lobsters, Linuparus tirgonus(Von Siebold) captured around Jeju island from January to September, 2008. Carapace length(CL), body weight(BW) and gonad weight(GW) were measured. Gonadosomatic index(GSI) and sex ratio were calculated. In female group, CL showed the highest value in June and decreased after August. GW showed a peak in July and decreased rapidly after August. The mean gonadosomatic Index(GSI) reached a maximum value between June and August. Number of egg ranged from 143,360 to 189,504.
        4,000원
        239.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samples captured in the coastal waters around Jeju Island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8. Gonadosomatic index began to increase in March, and reached a maximum between April to June. After spawning it began to decrease from August. Reproductive season was estimated to March-July, with peak in April. Fecundity wa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female, with the clutch size varying from 33,493 eggs in the smallest female(FL=27.0cm) to 627,061 eggs in the largest(FL=40.6cm). Size at 50% sexual maturity(FL50), determined from mature females, was 26.6cm FL. Annual reproductive cycles of this species could be divided into six successive stages; immature stage(September-December), nucleolus stage(January-February), yolk vesicle stage(February-March), vitellogenic stage(March-April), ripe stage(April-July) and spent stage(July-September).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