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8

        221.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modified dispersion-correction scheme describing tsunami propagation on variable water depths is proposed by introducing additional terms to the previous numerical scheme. The governing equations used in previous tsunami propagation model
        222.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자연하천의 흐름에서 흔히 발생하는 천이류, 불연속류, 마른하도로의 파의 전파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흐름을 해석하기 위한 고정확도 2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하상경사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quasi-steady wave propagation 기법을 적용하여 해당 격자에 대한 생성항의 영향을 효율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쌍곡선형 적분 보존형의 2차원 천수방정식을 해석하였다. Fractional Step Method를 적용한 유한체적기법의
        223.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진해일은 규모가 큰 해양재난으로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많은 피해를 주었다. 지진해일은 주기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발생시간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연구하는데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으므로 지진해일의 피해 경감 및 재해대책을 수립할 때는 수치모의실험 결과를 이용한다. 그래서 이렇게 활용성이 높은 지진해일 수치모의 결과가 실제 발생한 지진해일과 비교하여 얼마만큼의 정확성을 같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진해일은 원해에서 먼 거리를 전파하는 경우, 분산효과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치해석 시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선형 Boussinesq 방정식에서 분산항은 미분의 차수가 높아서 차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Cho et al.(2007)에 의해 제안된 분산항을 제외한 선형 천수방정식을 이용하면서, 차분하는 과정에 나타나는 수치분산이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의 분산항을 대체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이용해서 실제 2011 동일본 대지진으로 발생한 지진해일의 초기파형을 재현하여 수치모의실험 결과와 관측값을 비교하였다.
        224.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안으로부터 먼 거리에서 발생하여 전파해오는 지진해일을 수치모의할 경우, 분산효과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약분산이 고려되어있는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분산항은 고차 미분항으로 이루어져 있어 직접 풀기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큰 컴퓨터 용량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에서는 선형 천수방정식을 차분하였을 때 발생하는 수치분산항의 형태를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의 물리적 분산항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기법은 수심이 일정하다는 가정에서 유도된 지배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수심변화가 존재하는 실제 지형에 적용할 경우 이에 따른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심변화를 고려한 지배방정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수치기법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기법의 정확성 검토를 위하여 가상의 지진해일이 원형천퇴지형을 통과하는 문제에 적용하였으며, 검증된 Boussinesq 모델인 FUNWAVE를 이용한 수치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225.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al condition for con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and micropropagation of Lilium cernum. Induction of bulbet of L. cernum was highly effective (9.2 bulb/explant) on 1/2 SH (Schenk and Hildebrandt)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TDZ (Thidiazuron) and 0.1 mg/L NAA (Naphthaleneacetic acid). The treatment of 0.1 mg/L NAA increased root development (6.4 root/explant) under the in vitro condition. In addition, treatments of AC (Activated Charcoal) and ventilation were enhanced to develop number of shoots and to elongate length of leaf, bulb and root. Futhermore, the process of short-term soil acclimatization was promoted to strengthen the plantlets induced under the in vitro condition.
        226.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눈향나무(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는 누워서 자라는 상록침엽관목으로 수고 60 cm까지 성장한다. 지리적으로는 동북아시아에 한정되어 분포하는 수종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고산지대의 산정부근에서만 극히 일부 자생하여 멸종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위기종(Endangered species)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본 연구는 희귀수종 눈향나무의 유전자원보존을 위한 삽목증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삽목시기 및 발근촉진제의 종류별 농도에 따른 발근특성을 조사하였다. 삽목 발근율은 삽목시기와 발근촉진제의 종류 및 농도에서 각각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삽목은 8월보다 5월이 적정한 시기로 판단되었으며, 발근율과 발근특성을 고려한 발근촉진제의 종류 및 농도는 IBA 1000 mgL-1 처리하는 것이 발근율 36.4%(무처리 30.4%)로 캘러스 형성율이 높고 발근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삽수의 발근에 따른 뿌리의 수, 길이 및 굵기에 대한 특성에서는 모두 발근촉진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22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ltural practices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in highland area were performed for a potential medicinal crop. These studies were examined to propagation methods, planting densities, nitrogen treatments, and cropping yea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dequate number of buds per tuberous root was 4 for vegetative propagation because the number of tuberous root harvested was 16.8 and the yield was also the highest, exhibiting 1,060 kg/10a. The suitable planting time for vegetative propagation was later than early April. If the earlier tuberous roots were planted, the less they emerged. The highest emergence rate was obtained from the planting density of 30×20cm as 97.2% while the yield was highest in the 30×15cm density, exhibiting 1,883 kg/10a with emergence rate at 94.9. It seemed that the higher planting density promoted plant height growth and yield in Asparagus cochinchinensis. The highest fresh weight was recorded at 6 kg/10a of nitrogen fertilizer into the sandy loam soil compared to the level of 0, 3, 9 kg/10a. The yield was increased with cropping years. However, the proper harvesting time was the second year of cultivation because the rate of weight increase was maximized in the 2-year-old tuberous root. The yield in the third year was de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the second year.
        228.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식용 양치식물인 고사리의 대량번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기내에서 전엽체 증식에 미치는 배지종류, 당의 종류와 농도, agar 농도, 전엽체 접종량 및 배양기간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MS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배지구성물질을 1/4~2배 첨가한 배지와 Hyponex를 0.1~0.4%에서 전엽체를 배양한 결과 2MS배지에서 전엽체의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MS배지 구성물질들 중 인산염이 고사리 전엽체의 증식에 가장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원의 종류 및 농도별로는 sucrose와 glucose 공히 1% 이상을 첨가한 구에서 전엽체의 생육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Agar의 첨가량은 전엽체의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agar를 첨가하지 않은 액체배지에서도 전엽체 증식이 왕성하였다. 액체배지 100 mL에 전엽체를 각각 100과 200 mg 접종하여 22일 동안 진탕배양한 결과, 전엽체는 20일 이후에는 증가속도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초기 접종량이 20일 후 전엽체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100 mg을 곱게 다져 진탕배양 한 후, 20일 후 계대배양 하여 증식시키거나, 기외로 이식하여 포자체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229.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probability-based data generation is a typical context-generation method that is a not only simple and strong data generation method but also easy to update generation conditions. However, the probability-based context-generation method has been found its natural-born ambiguousness and confliction problems in generated context data.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probabilistic random data generation method, a situation propagation network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situation propagating network is designed to update parameters of probability functions are included in probability-based data generation model. The proposed probability-based context-generation model generates two kinds of contexts: one is related to independent contexts, and the other is related to conditional contexts. The results of the proposed model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probability-based model with respect to performance, reduction of ambiguity, and confliction.
        230.
        200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에 발생하는 변상 진전 특성을 수치 해석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새롭게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변상발생 메커니즘을 토대로 하여, 인장균열 발생 후, 휨압축에 의한 압축손상까지를 해석에 반영하였다. 특히 인장균열이 발생하고나서 압축손상이 발생하기까지의 해석단계를 위해서는, 등가소성힌지길이 개념을 새롭게 도입하여, 균열의 진전을 해석하게 된다. 등가소성힌지 길이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균열발생단면에 대한 단면력, 즉, 축력과 모멘트를 균열폭과 관계지어 균열폭의 확장을 추적해 나가게 된다.
        231.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뿌리에 진통, 진정, 건위, 구충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의 확대재배를 위하여 현재 분근증식만으로 한정되어 있는 번식법을 개선하고자 종자번식과 기내배양에 의한 번식 방법을 검토하였다. 종자번식을 위한 수확적기는 종피가 연녹색을 띠었을 때가 적합하였으며, 종자의 보관은 5℃에서 30일까지 저장하는 것이 발아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었다. 석창포의 기내발아에는 2.0mg·L-1 NAA와 0.1mg·L-1 BA를 MS 기본배지에 첨가하여 다수의 신초를 유도한 후, 0.1mg·L-1 BA 단독 처리 및 0.5mg·L-1 NAA와 1.0mg·L-1 BA 혼합처리에서 발근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석창포 육묘상토로는 vermiculite보다 원예상토가 생육이 우수하였다.
        233.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직배양에 의한 네리네 기내 대량증식 조건을 확립하고자 대량증식 배지선발, 자구비대 및 출현율 향상을 위한 첨가물질, 배양부위별 증식효율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네리네 기내 대량증식을 위한 생장조정제 처리결과 자구형성수는 단용처리보다 혼용처리에서 효과적이었다. 생장조정제 처리별 자구수에서 Nerine bowdenii ‘Favorite’ 와 Nerine sarniensis ‘Red’ 모두 NAA 0~0.5 + BA 0.5~2.0mg · L-1에서 무처리 1.2개보다 66%~100%향상된 1.8~2.4개로 효과적이었다. 자구비대 및 출현율 향상을 위한 최적 배지원과 농도는 Glucose 7%로 가장 양호한 자구비대 및 순화시기에 관련 없는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또한 질소원으로는 질산태와 암모니아태 질소 혼용 40mM에서 토양내 자구 출현율이 가장 높았다. 배양부위별 증식효율은 재료 확보가 제한적인 생장점 배양보다는 인편번식 배양이 54배 높은 증식효율을 보였으며, 인편번식 배양을 위한 부위로는 중인편이 양호한 생장 및 가장 높은 자구 형성(1.8개/절편)이 가능하였다.
        234.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habitat environment as draft data for restoration and massive propagation method of Forsythia saxatilis were classified as rare species and disappear in Seoul. The light, soil environment in habitat was surveyed and the cutting experiment as species, cutting periods, and rooting promoter was conducted to know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of Forsythia saxatilis The results, light was low to forest tree and soil in the native site indicated that pH 4.78~5.05, EC 0.04~0.05 dS․m-1, OM 1.23~3.27%, Ca 4.21 mg․kg-1, K 0.41mg․kg-1, Mg 0.69 mg․kg-1. 0.01 % N, 0.44mg․kg-1 P showed low and 12.87~23.56cmol+․kg-1 CEC. It was very poor soil environment to live plant as general forest soil. In Propagation, Rooting rate showed hardwood 90% and softwood 100% in summer and softwood 90% in summer and 79% in spring. Rooting rate was showed of each species, Forsythia viridissima 100%, Forsythia ovata Nakai. 80%, tetraploid 60%, and Forsythia saxatilis 90%. There is no effect of rooting promoter treatment. We gained 120 plants by cutting propagation and renaturated to habitat. It is the reason that Forsythia saxatilis disappear at habitat by have no seed and low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hange. To massive propagation by cutting, it is important to control cutting periods rather than rooting promoter treatment.
        235.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ffective rapid propagation method was established through in vitro cultures of the medicinal plant, Cudrania tricuspidata. In vitro plantlets were obtained from in vitro germinated seeds. The various levels of cytokinins (BAP, Kinetin and TDZ) were tested on multiple shoot formation from plantlets. BAP (1.0 mg/l) treatment induced highest number of multiple shoots. Single shoot cultures gave higher initial shoot numbers than 5 shoots per culture. Among the various culture media, the shoot elongation was optimal on 2 MS basal medium without growth regulators. The IAA (2.0 mg/l) treatment induced highest number of roots. IBA (2.0 mg/l) treatment more promoted in vitro root growth than other concentrations. Rooted shoots were transferred directly to small pots with an artificial soil and successfully acclimatized.
        236.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장애물이 없는 평탄지형의 제내지에서 제방붕괴에 의한 범람홍수파 선단의 전파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제내지와 하도로 이루어진 실험수조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전파 거리를 산정하였다. 실험에 의해 측정된 전파 거리를 시간에 대한 상관식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댐붕괴에 의한 수로에서의 홍수파의 1차원 흐름 해석해인 Hitler의 해를 검토하고, 제내지 범람홍수파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확장하여 실험식의 일반형을 제시하였다. 범람홍수파의 전파속도는
        238.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for mass cultivation and standardization of hydrangea, experimental result for types and concentration of growth regulator appropriate for cutting and rooting are as follow. During the semi-hardwood and hardwood cuttings of hydrangea, in 100mg·L­¹, 500mg·L­¹, 1,000 mg·L­¹ of each growth regulator NAA and IBA, when sudden soaking procedures were conducted the hardwood cutting rather than the semi-hardwood cutting resulted better growth as well as significantly better to initial rooting. The treatment of IBA was better then NAA in the rooting, especially IBA was the rooting percent increased at 500mg·L­¹and root growth was effective at 1,000 mg·L­¹also. It is effective to root growth in NAA 1,000mg·L­¹and percent of rooting increased under high 1,000 mg·L­¹ and it was more effective and higher concentration.
        239.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몇가지 희귀자생식물의 대량증식을 위하여 종자의 저온저장온도와 발아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저온저장온도 실험에서는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의 종자는 5℃에 저장시 발아율이 91.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9℃의 비교적 고온에서는 발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흑산도비비추(Hosta yingeri S. B. Jones)는 9℃에서 다소 발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도원추리(Hemerocallis hongdoensis M.G.Chung & S.S.Kang)의 저장온도 실험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발아양상을 보였고 5℃에서 저장시 발아율이 80%로 가장 높았으며 5℃에서 9℃로 저장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발아온도 실험은 두메부추는 20℃, 25℃의 처리구에서 발아가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20℃에서는 생육이 곧고 강건하게 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흑산도비비추는 발아온도 20., 25℃에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홍도원추리는 발아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25℃의 경우 발아율이 70%로 가장 높았으나 30℃의 고온에서 발아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240.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엽, 엽병과 화뢰 등의 치상 절편체 부위 모두에서 캘러스가 형성되었으며 특히 화뢰에서 캘러스 형성률이 71.6%로 가장 높았다. 화뢰배양시 2.0mg · L-1 2,4-D와 1.0mg · L-1 TDZ의 혼용처리구에서 캘러스 형성이 77.8%로 양호했으며 신초 재분화율 역시 42.6%를 보였다. 캘러스 형성과 신초 재분화를 동시에 시킬 때 1/2 MS배지가 효과적이었는데 1/2 MS배지에서 캘러스 형성률은 46.3%, 신초 재분화율은 13.0%,그리고 발근율은 13.0%를 보였다. 캘러스를 통한 신초의 재분화를 위해 1/2 MS배지에 2.0mg · L-1 2,4-D와 1.0mg · L-1 BA를 첨가했을 때 신초 재분화율은 74.1%를 보였고 절편체당 신초수는 2.4개로 좋았다. 발근율은 대조구에서 57.8%로 낮았으나 1.5mg · L-1 NAA 첨가된 배지에서 97.8%로 높았다. 재분화된 기내 식물체를 원예용 상토에 순화했을 때 생존률이 86.1%로 높았으며 초장, 근장, 생체중 역시 양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