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0

        241.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강한 성격 형성 및 사회생활의 토대가 되는 자아존중감은 비다문화가정 출신 청소년들 과 비교해볼 때 다문화가정 출신 청소년들이 대체로 낮은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변인으로 다문화가정 부모의 문화적응 태도에 주목하였다.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두 사람이 형성한 다문화가정은 필연적으로 문화적응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한 부모가 자신의 출신문화를 숨기거나 한국 문화에 더욱 동화되는 문화적응태도를 보일 경우, 자녀는 부모의 태도를 내면화하며 다문 화적 정체성을 가진 자신의 가치를 낮게 평가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의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9세-18세의 다문화 청소년 49,310명과 해당 자녀의 부모 데이터를 대응시켜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제변인으로는 성별, 나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부모의 교육수준, 월평균 가계소득), 부모 자녀관계, 학업효능감을 설정하고, 부모의 문화적응 태도가 그들의 자녀인 다문화청소년들의 자아존 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가정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부모의 문화 적응태도는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가 혼인한 다문화가정(외국출신 어머니 가정)에서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로 구성된 다문화가정(외국 출신 아버지 가정)보다 한국문화에 순응하는 동화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동화 주의적인 문화적응태도를 가질수록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가족유형에 따라 부모의 문화적응태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 이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외국출신 아버지 가정의 부모가 통합적인 문화 적응태도를 나타낼 때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이들의 사회화 대행자인 부모가 보다 통합적인 문화 적응태도를 가져야함을 입증한다. 다문화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은 그들이 사회적인 편견에 영향 받거나 자신의 가치를 저하시키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는 한국 사회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실천적으로는 다문화가정 부모정책이 사회적 약자로서의 복지서비스 지원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교육 영역까지 확장되고, 다문화청소년들의 인 식전환을 위한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242.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의 “예수가정”은 1921년에 시작해 1952년에 해체된 농촌사회의 기독교 공동체이다. 설립자 징디엔잉(敬奠瀛, 1890-1957)은 농민출신으로 감리교 학교를 다니다가 오순절 성령운동의 영향을 받고 샨둥(山东)성 타이안(泰安)마좡(马庄)농촌마을에서 기독교 공동체를 시작했다. “예수가정”은 비록 1952년에 해체된 공동체이기는 하지만, 중국사회의 토양 위에 기독교 공동체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예수가정”은 1920년대 토착교회의 흐름에 잘 적응해 농촌사회에서 기독교 공동체의 모습을 발전시켜 나갔다. 전쟁과 자연재해의 황폐함 속에서 사람들에게 피난처로서의 안식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런 외부적인 환경은 “예수가정”이 발전할 수 있는 원인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예수가정”이 유지하려는 정신적 유산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예수가정”은 경제적으로 전 재산의 기부를 통해 사유재산을 없애고 공유재산과 평균주의 원칙을 실시했다. 그리고 이런 경제적 요인에 따라 전통적 혈연중심의 가정을 해체하고 집단거주에 의한 “예수가정”만의 새로운 비혈연중심의 가정제도를 만들어 갔다. “예수가정”은 또한 가장제를 통해 그 질서를 세워나갔는데, 이것은 동아시아 문화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예수가정”은 성령운동의 영향을 받은 공동체로 성령충만을 강조했으며 금욕주의적 삶을 생활 속에 실천했다. 특별히 농촌문화를 적극적으로 기독교적 관점에서 수용해 기독교 공동체의 문화로 만드는 모습을 보여줬다. 신비주의적인 영적 특성뿐만 아니라 찬송가 등이 이런 영향 하에서 만들어졌다. 농촌사회에 적응하려는 모습으로 서구인에 의해 이식된 기독교가 아니라 중국인 스스로에 의한 기독교 공동체 건설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예수가정”연구를 통해 우리는 피안의 세계를 지향하는 종교와 차안의 현실세계가 어떻게 결합해 나가며 더욱이 외래종교로서 기독교가 중국인의 삶 속에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를 이들 “예수가정”의 공동체의 생활 속에서 그 의의를 발견한다.
        243.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엘리트 수영선수들을 대상으로 시합결과에 대한 결과귀인 및 패배 귀인과 사후가정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2016 - 2017년도 한국과 중국 수영협회에 등록된 207명의 엘리트 수영선수들이다. 결과: 첫째, 결과귀인에서 한국과 중국 선수들 모두 상대실력을 낮게 귀인한 선수들이 상향적 사후가정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선수들의 경우 자기 실력 귀인을 많이 할수록 상향적 사후가정이 많은 반면, 중국 선수들은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중국 선수들 모두 자만심 패배귀인이 높을수록 더 상향적 사후가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 선수들의 경우 팀웍 귀인이 높을수록 타인관련 상향적 사후가정을 한 반면, 중국 선수들은 팀웍과 관련해서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 선수들의 경우 컨디션 귀인을 할수록 하향적 사후가정을 한 반면, 중국 선수들은 타인관련 상향적 사후가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향적 사후가정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패배 귀인은 한국 선수들의 경우, 우리 실력 혹은 팀웍이고 중국 선수들의 경우 자만심과 컨디션으로 나타났다. 논의: 한국과 중국 선수들의 결과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문화적인 측면에서 논의했으며, 타당성 있는 척도 개발 및 비교문화 후속 연구를 제언했다.
        244.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문화교육이 정책적으로 강조되면서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을 어떻게 신장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관련 논의 중 본 연구는 교사들이 다문화가정 학생을 어려움 없이 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긍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교사효능감의 이론 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교사효능감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 중 교사의 성취 및 대리 경험, 학교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인식이 어떤 요인들에 의해 제고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16 다문화사회 관련 의식 조사 중 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179개교의 3,97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성취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 담임 경험은 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다문화교육 관련 강의 수강이나 현직연수 프로그램 이수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의 대리 경험으로서 가정한 동료 교사들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은 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학교 간 효과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학교의 다문화교육 관련 정책 수행과 학교 문화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 화 관련 교사교육과 학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45.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nalyzed all of the waste streams associated with household waste to provide a basis for incorpora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unicipalities in setting targets for waste-to-resource circulation. Toward this end, we examined how household waste is treated based on the disposal method (mixed waste disposed of in standard volumerate garbage bags, separation recyclable waste, and food waste) and the amount of residuals generated at their respective treatment facilities. The actual recycling rate or actual waste-to-energy conversion rate wa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actual amount of waste that is recycled or converted to energy against the amount of waste intake at waste treatment facilities. The conversion factor of actual recycling rates at 17 municipalities showed an average of 63.9% for public material recovery facilities (MRFs) with those for individual municipalities ranging from 50.4% to 93.2%, and an average of 93.8% for private and public food waste treatment facilities with slightly higher rates found for public facilities (70.4 ~ 100%) than private facilities (63.3 ~ 100%). The actual waste-to-energy conversion factor was 59.3% on average for combustible waste-to-energy facilities (17.2 ~ 72.3%) and 92.0% on average for biological waste-to-energy facilities (77.1 ~ 99.5%). To achieve the national target for the actual recycling rate, additional strategies for recycling or converting the residuals generated at recycling or combustible waste-to-energy facilities into resources are needed. The actual recycling and waste-to-energy conversion rates provided in this study based on a full examination of household waste streams hold valuable insights for incorporating the individual situations of municipalities in setting their targets for wasteto- resource circulation indicators and creating new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actual recycling rate.
        24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들이 생각하는 캄보디아어 교육 목적, 교육 방법, 어려움을 살펴봄으로써 캄보디아어 교육 지원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 11명, 결혼이민여성 관련 업무에 종사중인 활동가 3명을 면담하고 분석했다. 연구결과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의 캄보디아어 교육 목적은 첫째, 가족 내 유대감 형성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 증진, 둘째, 자녀의 안정된 생활을 위한 직업 역량 강화, 셋째, 캄보디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 강화, 넷째, 자녀의 행복한 삶을 위한 건전한 정체성 형성으로 나타났다. 캄보디아어 교육 방법은 첫째, 일상생활에서 엄마가 캄보디아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사용하기, 둘째, 자녀가 캄보디아어를 궁금해 할 때 알려주기, 셋째, 캄보디아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해 동기 부여하기, 넷째, 어릴 때 캄보디아어로 양육하기, 다섯째, 캄보디아어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 제공하기로 나타났다. 캄보디아 교육과 관련한 어려움은 첫째, 한국어 습득이 중시되는 가족 및 사회 분위기, 둘째, 캄보디아어 교육기관 부재 및 교재 부족, 셋째, 캄보디아어의 복잡한 자모음 체계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엄마 및 외가가족들과 의사소통하고, 다문화적 자산에 자부심을 가지고 모국어를 학습하며, 미래사회 인재로 성장하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와 가족에게 모국어교육의 중요성을 교육하는 한편 영유아용 캄보디아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자료 보급에 국가적 지원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24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 조사 3차 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문화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감독, 교사-학생관계 만족도, 자아존중감, 성취동기가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정의 경제자본은 학생들의 학업성취, 교사-학생관계 만족도, 성취동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모감독과 교사-학생관계 만족도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성취동기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자아존중감도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성취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취동기는 학업성취에 가장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248.
        2017.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악을 통한 말놀이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A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3명, 만 4세 3명의 다문화가정 유아였다. 국악을 통한 말놀이 활동을 1주일에 2회씩, 16주 동안 총 32회 실시하였고, 매주 생활주제에 맞춰 국악곡을 선정한 후 1차시는 국악 익히기, 2차시는 국악 부르기와 말놀이 활동을 하였다. 연구 결과, 국악을 통한 말놀이 활동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어휘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어휘력 증진 측면에서 국악을 통한 말놀이 활동의 가치를 발견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활동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50.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사회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웰니스 시대에 접어들었고 그로 인한 제품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식문화의 다양화와 기후변화에 의한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되는 장염, 식중독 등의 질병이 문제가 되고 있는 현 시대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가정용 자외선 살균기 디자인 개발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의 방법 및 내용으로는 첫째, 문헌조사를 통한 UV 살균기술의 이해와 가정에서 사용되는 칼과 도 마의 일반적인 살균 보관기능을 가진 제품 및 UV를 이용한 제품의 시장 동향 및 디자인권 출원 추이를 통한 디자인 현황 을 살펴보고 동종⋅유사 제품에 대한 시장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위의 문헌 조사를 통해 제품의 문제점과 개선방 안을 도출하고 사용자 분석 및 디자인 트렌드 분석을 진행하여 디자인 키워드와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컨셉을 기반으로 아이디어 스케치, 3D 시뮬레이션 등 단계별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전문가와 소비자평가를 통해 최 종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정용 자외선 칼⋅도마 살균기의 제품 디자인 개발은 사용자 경험 분 석 및 디자인 트렌드 분석을 통하여 개발된 디자인 개발과 살균과 건조 기능이 융합된 제품으로 향후 소비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키며 건강한 식문화와 삶을 위한 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51.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제 교육 수행 정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직업유무, 한국어 능력, 최종학력과 같은 어머니의 배경정보에 따른 자녀교육의 수행 정도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다문화가정 어머니 64명이었으며, 설문을 실시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업 지도’와 ‘사회 성 지도’에 대한 관심도와 실제 수행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학업지도와 사회성지도에서 모든 항목에서 관심도와 실 제 수행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자녀지도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데 반해 실제 수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라 자녀 학업지도와 사회성지도의 모든 항목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에 따라 학업지도의 모든 항목에서 유 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지도에서는 ‘친구에게 의사 표현 지도’에서 유 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한국어 능력이 높은 어머니들의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자녀 학업지도의 네 개 항목(‘과목별 성취도 인지’, ‘알림장 확인’,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별도의 노력’, ‘방과 후 시간 관리’)과 사회성지도의 두 개 항목(‘친구에게 의사표현 지도’와 ‘교과 외 학교활동 참여 지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최종학력이 낮은 어머니에 비해 최종학력이 높은 어머니들의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252.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에게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진로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라북도 에 위치한 N시 지역아동센터에서 방과 후 활동에 참여하는 다문화 가정 아동 8명을 실험 집단으로 무선배정하고, 같은 동일센터의 아동 8명을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정하여 총 6회기 의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실시하였다. 먼저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진로 인식과 진로효능감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2014년 08월 01일부터 2014 년 08월 22일까지 3주 동안 주 2회, 회기 당 50분 총 6회기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마지막 회기에는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통제 집단은 기관 내 프로그램 수업에 참여하여 같은 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인식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험처치를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다문화 가정 아동의 진로인식과 진로결정자 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25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r vorliegende Beitrag behandelt die logische Struktur der hypothetischen Einwilligung im Vergleich mit dem rechtsmässigen Alternativverhalten. Infolge einer mangelhaften Aufklärung wird die Einwilligung zur Unwirksamkeit und ist der Erfolg rechtswidrig. Mit der Ersetzung durch eine ordnungsgemässe Aufklärung wird die Einwilligung zur Wirksamkeit und ist der Erfolg rechtsmässig. Beide Erfolge sind deshalb nicht die gleichen. Die Zurechnung des Erfloges muss daher abgelehnt werden. Auf der Tatbestandsebene sind aber beide Erfolge beim rechtsmässigen Altenativverhalten anders. Die Zurechnung des Erfolges muss also ausgechlossen werden. Die Übertragung der Schlussfolgerung der Tatbestandsebene auf die Rechtswidrigkeitsebene ist deshalb logisch unmöglich. Dies zeigt die logische Unstimmigkeit der Argumentationsfigur der hypothetischen Einwilligung. Die von der koreanischen Rechtsprechung suggerierte Vergleichbarkeit der hypothetischen Einwilligung mit dem rechtsmässigen Alternativverhalten erweist sich also bei näherer Untersuchung aus logischen Gründen als unhaltbar. Von daher behandelt die koreanische Rechtsprechung ohne Grund die Aufklärungspflict als Sorgfaltswidrigkeit. Das Problem ist wieder zurück zur Tatbetandsebene verlagert. Dann stellt sie diese Pflichtwidrigkeitszusammenhang fest mit der Kausalität. Sie versteht diesen Zusammenhang als Kausalzusammenhang. Der Zusammenhang zwischen Aufklärungsmängel und Erfolg ist kein Kausalzusammenhang. Sie sind nur rechtliche Vorraussetzungen und rechtliche Folge.
        254.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캐나다 국적의 아빠와 한국 국적의 엄마를 둔 다문화가정의 자녀, 9살 David가 자신의 자아정체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자신의 내면세계를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관하여 심 층적 이해를 수행하였다. David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내면세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3개월 동안 7번의 1:1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avid의 자아정체성은 타고나거나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가 처한 사 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타인과 상호 관계를 맺으며 끊임없이 협상의 과정을 통하여 유동 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David의 자아정체성 형성은 그가 사용하 는 언어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자신의 다중 언어 사용에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다. 셋째, 어린 학생도 자신의 자아정체성에 관한 생각, 관점, 가치관, 느낌 등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춘 연구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를 분석한 결과 다음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통 계적인 숫자나 이성적인 관점이 아닌 내러티브 관점으로 그들의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 는 성숙한 세계시민으로서의 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 용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지닌 다양성을 어떠한 카테고리에 범주화시켜 편견이나 차별이 아닌, 그 자체로 존중해주고 인정해주는 개방적이고 수용적 사회 인식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 뿐 아니라 일반 학생 모두를 위한 통합적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체성에 대한 통 계적 연구에서 벗어나, Bakhtin의 대화주의 방법을 활용한 질적 사례 연구로 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통하여 다문화교육 분석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향 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 사회 구성원의 일원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정체성에 대한 좀 더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성숙한 세계시민의식 형성과 함께 유연하고 다양 한 다문화교육을 마련하는데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255.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사는 한국 다문화정책 10년의 행적과 그 궤도를 같이한다.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의 기조 아래 건강가정지원센터와 기관 통합이 추진되고 있다. 다문화정책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 온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이대로 포괄적인 가족지원 전달체계로서 통합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통해 본 연구는 기획되 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장전문가의 인식을 통해서 현재 진행 되고 있는 다 문화가족통합정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실제적인 정책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장전문가를 심층면접한 후, Colaizzi 의 6단계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코딩하여 인식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의 불안정한 행정 체계, 통합시범센터의 운영결과 공유 및 논의 필요, 향후 도래할 이민사회를 생각할 때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에서 이민자 통합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비롯한 1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현장전문가들의 제언이 정책에 반영되어 성숙한 한국적 다문화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25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적인 경제위기에 맞물려 빈곤과 저소득층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가정의 위기, 부모의 부재 및 방임으로 인한 가족형태의 변화 로 낮은 자아개념과 자존감을 가지고 불안, 분노, 우울 등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경험하고 있으며, 대인관계에서도 위축감이 크다. 이러한 좌절감이나 열등감은 학교생활에서 또래로부터의 따돌림, 공격적인 행동, 학업성취의 어려움 등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끼며 또 다른 부 적응을 초래하기도 한다(배영옥, 2011). 원예활동은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형성하며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김홍열, 2003). 따라서 본 연구는 심리적 적응단계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저소득층 아동에게 적용함 으로써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심리적 적응단계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저소득층 아동에게 적용함으로써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2.37(sd=0.28)에서 3.75(sd-0.13)로 1.38±0.24점이 증가하였고, 유의수준 1%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11.638, p<0.01). 4개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자아존중감의 경우 2.10점에서 3.80점으로, 사회적 자아존중감 2.50점에서 3.70점으로,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은 2.20점에서 3.60으로,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2.70 점에서 3.90점으로 모든 영역에서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이에 원예치료가 저소득 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257.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5년 통계청 자료를 보면 전국에 다문화 가족은 278,036 가구에 이르고, 이중 자녀가 있는 가구는 185,654가구로 66.77%에 이른다. 또 한 2015년 전체 혼인 건수 302,828건 중 다문화 혼인이 22,462건으로 7.4%를 차지하였고, 2015년 출생아 438,420명 중 다문화 출생아 수 는 19,729명으로 4.5%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통계로 미루어 볼 때 다문화 자녀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 은 한국어 능력의 부족과 양육하는 부모의 문화적 배경이 다름으로 지식과 정서 태도 등에서도 일반 아동들에 비해 떨어진다. 다문화 가정 의 아동들은 일반가정 아동보다 심리적 불편감이 높고 적응적 융통성, 언어의 어려움 그리고 정체성 형성 등의 어려움을 갖게 되며, 환경변 화에 대한 대처능력이 낮고 우울과 관련된 증상적 특징과 신체적 불편감도 높게 나타난다(김경자, 2008). 이에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농촌 지역 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지역아동센터인 H공부방(전북 고창군 성내면 소재)의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 5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프로그램은 2016년 3월 9 일부터 2016년 7월 13일까지 주 1회씩 총 16회 실시한 결과 참여한 다문화 학생의 자아존중감 사전점수는 102.22(sd=1.44), 사후점수는 118.8(sd-2.25)로 16.58±0.81점이 증가하였으며, 유의수준 5% 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찰일지를 통한 결과에 의하 면 특히, 대상자 A는 매우 소심하여 친구와 싸움 후에도, 기분 나쁘거나 속상한 일이 있어도 말을 절대하지 않았으나 점차 친구들과 말하는 횟수가 많아졌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참여한 후로 새로운 일에 흥미와 호기심을 갖게 되었고, 다른 프로그램의 참여도와 수업태도도 좋 아졌으며, 서로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면서 친구들과의 관계가 좋아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토대로 농촌지역의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하는 데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58.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수영 선수들의 사후가정사고와 스포츠 행복의 관계를 규명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의 참여자는 한국 97명, 중국 88명의 수영선수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사후가정사고 설문지와 스포츠 행복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했다. 자료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으며 기술 통계치를 산출했고 독립t-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한국선수들이 중국선수들에 비해서 상대내적삭제형 사후가정사고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선수들과 중국선수들간 자기내적첨가형 사후가정이나 자기외적첨가형 사후가정사고의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중국 선수들이 한국 선수들에 비해서 사회복지, 훈련, 자기발달에서 더 높은 행복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국 선수들 모두 사후가정 사고가 스포츠 행복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과 중국 수영 선수들의 사후가정사고와 스포츠 행복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국 선수들의 사후가정사고는 대인관계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했으며 스포츠 사후가정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를 제언했다.
        259.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권역별‧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자원순환 목표 설정을 도모하기 위해 가정생활폐기물을 대상으로 폐기물 처리 전과정 흐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생활폐기물 배출형태(종량제봉투, 재활용품 및 남은 음식물류)에 따라 어떤 처리흐름에 따라 처리되는지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잔재물로 배출되는 양 또는 재활용시설 등을 거쳐 추가적으로 최종 처분되는 양 등을 파악하였다. 여기서 폐기물 실질 재활용률 또는 실질 폐기물에너지화율은 폐기물 처리시설 반입량 대비 실질 재활용량 또는 실질 폐기물에너지화된 양(반입량-잔재물 발생량)을 의미한다. 17개 지자체의 실질 재활용률은 재활용품 선별시설의 경우 평균 72.2%로 50.4-93.2%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의 경우 공공시설 평균은 90.9%, 범위는 72.2-100%이며, 민간시설 평균은 94.0%, 63.3-100%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실질 에너지화율은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의 경우 평균 41.5%로 17.2-72.3%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기성폐기물 에너지화시설의 경우 평균 91.5%로 77.1-99.5%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기초로 17개 지자체의 순환이용률을 산정한 결과, 평균 41.5%, 28.4-59.6%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국가의 자원순환 목표인 순환이용률 달성을 위해서는 재활용품 선별시설 및 가연성 에너지화시설 잔재물의 2차 재활용 또는 에너지화 방안을 추가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흐름분석을 통해 산출된 실질 재활용률 및 실질 폐기물에너지화율을 기반으로 지자체의 현실을 반영한 자원순환 목표지표 설정이 가능할 것이며, 순환이용률 향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260.
        2017.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인성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에 위치한 두 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 중이 만 5세 유아 56명 으로 실험집단 28명, 통제집단 28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정과 연계한 텃밭 가꾸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인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07. p<,05). 이는 가 정과 연계한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텃밭 가꾸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5.93, p<.05). 이는 가정과 연계한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텃밭 가꾸기 활동이 가정과 연계가 되 었을 때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