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1

        241.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as guideline for high yield potential inginseng cultivated field which produced 6 years root. Harvest yields of ginseng to be divided by parent rock was in order ofphyllite and red shale 3.1㎏/3.3㎡ > granite and gneiss·schist 3.0㎏ > basalt 2.6㎏ > porphyry 2.2㎏ in upland and forestsoil. Also, with classified by topography, it was in order of foot slope and alluvial fan 3.2㎏/3.3㎡ > valley 3.0㎏ > low hill2.9㎏ > hill, lave flow and dilluvial terrace 2.8㎏ in survey tilth. Class determination of soil texture, it was in order of sandyloam 3.1㎏/3.3㎡ > loam and silt loam 3.0㎏ > clay loam 2.9㎏ > silt clay loam 2.8㎏ in survey tilth. Slope condition offarming land, in case of sloping (2~7%), it was 3.1㎏/3.3㎡ but deep sloping (15~30%) caused decreasing harvest yield. Indrainage classes (excessively, well and moderately well),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harvest yields. Relationshipbetween harvest yield and soil series, Production sites as yielding 3.0㎏/3.3㎡ were seven sites, also it was contained 14 soilseries. Production sites as yielding 2.5~3.0㎏/3.3㎡ were eleven sites, it was contained 16 soil series. Production sites asyielding 2.0~2.5㎏/3.3㎡ were 10 sites, it was contained 4 soil series.
        242.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evelopment of a new type of soil-cement concrete pavement using volcaniclastic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Various mixture ratios, specimens' penetration resistance, time of setting, slump flow of fleshly mixed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hardened concrete were studied. It was concluded that the optimum weight ratio of cement:volcaniclastic to produce good properties of soil-cement concrete is 1:3 and the use of volcaniclastic as main aggregate can improve the concrete surface color that is warm earth-tone road color. Therefore, commercial development for soil-cement concrete pavement using volcaniclastic is highly promising.
        24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순도 금속급 실리콘 제조에서는 원료가 되는 실리카 광물의 SiO2 품위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베트남 규사광에 대한 광물학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석영과 불순광물의 광물학적 특성차이를 이용하는 분급, 비중 및 자력선별을 포함하는 물리적 종합정제공정을 구성하여 적용시켰다. SiO2 품위 99.8 wt% 이상의 고순도 규사 정광을 93 wt% 이상 회수하였다. 이러한 고순도 규사 정광은 금속급 실리콘의 순도 규격에 적합하였다.
        244.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곡류 중 수입이 활발한 밀과 옥수수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이용이 허가된 감마선과 전자선 에너지를 총 흡수선량 를 조사한 다음 photostimulated luminescence(PSL), thermoluminescence(TL) 및 electron spin resonance(ESR)를 분석하여 조사여부 검지 특성을 확인하였다. PSL 분석 결과, 두 시료 모두 조사선원에 관계없이 비조사구에서는 photon count/sec 값으로 700(nega
        245.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자육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자육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팽창력, ferinogram, amylogram, extensogram, 반죽의 pH와 식빵의 외관 등을 조사하였다. 연자육 분말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7.74%, 조단백질 20.15%, 조지방 2.11%, 조회분 4.34%, 조섬유소 2.78%이였다. 반죽의 팽창력 결과 대조구에 비해 연자육 분말 첨가구가 팽창력이 좋았으며, 반죽의 farino
        247.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장품 분야에서 펄 안료는 다양하게 적용되어져 왔다. 지금까지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된 펄 안료는 마이카 기재에 산화철이 코팅된 것이었지만, 최종 제품에 이와 같은 펄을 사용하게 될 경우 천연 마이카에 함유된 불순물로 인해 약간의 불투명한 노란 색상이 띄게 된다[1,2]. 본 연구는 눈과 같은 반짝임을 제공하는 펄 안료 개발에 초점을 맞췄고, 눈과 같은 효과는 펄 안료의 구조와 순도 등의 영향 때문인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이번 펄 안료 개발은 유리 기재와 산화철을 코팅시켜 눈의 광학적인 값(refractive index)과 입자 크기(particle size)를 눈과 유사하게 개발하였고 이는 눈과 같이 화려한 반짝임(glittering)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메이크업 제품에 본 펄 안료를 적용하여 화려한 제품을 개발하게 되었다.
        248.
        200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당귀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 반죽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당귀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귀 분말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10.5%, 조단백질 16.9%, 조지방 13.8%, 조회분 6.0%, 식이섬유량 35.5% 등으로 나타났다. 당귀 분말을 첨가한 밀가루의 호화도(RVA)는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반죽의 호화도, break down과 se
        249.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솔잎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식빵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 성분측정 결과 생 솔잎은 수분 58.1%, 조단백질 4.5%, 조지방 3.9%, 조회분 0.9%, 식이섬유량 9.3%로 나타났다. 반죽의 pH 측정 결파 대조구의 pH는 5.9, 솔잎분말 첨가시에는 범위로 나타났다. 반죽의 호화도는 솔잎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 개시 온도는 증가하였고 최고 점도는 감소하였다. 반죽의 falling numbe
        250.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과 콩팥의 보강 기능, 어지럼증과 귀가 우는 것 예방, 야뇨증과 요실금, 체내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노화예방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산수유분말을 밀가루에 대하여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에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특성조사 결과 색도 L값 b값은 산수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 반죽의 호화도 측정 결과 호화 온도, RVA는 대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산수유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반죽의
        25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망간단괴의 분말과 채광과정에서 함께 유입되는 해저퇴적물이 양광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망간단괴의 분화정도와 망간단괴의 분말과 해저퇴적물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망간단괴의 자체분화율과 파쇄분화율은 각각 약 27%와 3%로, 총 분화율은 약 30%정도이다. 망간단괴의 탁도는 초기에는 매우 높은 값(약 3,100)을 보이나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여 1 h 후에는 반으로(약 1,570) 줄어든다. 해저퇴적물 시료는 초기의 약 1,850의 높은 값에서 1 h 후 1,310, 2 h 후 약 1,110으로 빠른 감소를 보이나 망간단괴에 비해 느린 감소를 보인다. 그러나 시추용 이수제로 사용되는 Na-벤토나이트는 초기 820에서 1 h 후 730, 2 h 후 700으로 매우 변화가 적다. 망간단괴의 점도는 1.4~1.5cP이며, 해저퇴적물의 점도는 1 cP 미만으로 매우 낮다. 반면 Na-벤토나이트의 점도는 초기 37.2에서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여 30 min 후에는 86.4cP의 값을 보인다. 망간단괴의 탁도 초기 값이 높은 것은 망간단괴 자체의 짙은 색깔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높은 비중으로 쉽게 침전되어 탁도의 빠른 감소를 보인다. 해저퇴적물은 매우 미립으로 쉽게 분산되어 초기에는 높은 값을 보이나물과 결합하여 겔을 형성하기보다 응집되어 쉽게 침전되므로 탁도의 빠른 감소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이들 망간단괴 및 퇴적물의 구성광물은 거의 비팽윤성으로 겔을 형성하지 않아 매우 낮은 점도 값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으로 미루어 보아 망간단괴의 파쇄된 분말이 양광과정에서 양광관이나 수중펌프의 내부에 강하게 점착되어 스케일링을 형성할 가능성은 비교적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채광과정에 유입된 해저퇴적물도 그 특성상 망간단괴의 부양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수로서의 역할은 거의 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매우 미립이므로 양광 후 분리는 쉬우나 해상에서 폐기처리 할 경우 환경적인 문제의 가능성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59.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e size distribution and the adsorption amount of adsorbates is investigated in detail. Adsorption amounts of non-polar adsorbates were greater than those of polar adsorbates because of slight negative charge on surfaces of adsorbents. The adsorption of benzene on the surface of absorbents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specific pore size of 2~4 times of benzene diameter. But in case of toluene, the adsorption of toluene was affected by pore sizes of 2~4 times as well as 4~6 times of the diameter of toluene. Both acetone and MEK were examined by the same method. The adsorption of acetone was influenced by pore sizes of 2~4 times of the diameter of acetone. But acetone does not look to be built up multi-layer on those pore sizes. Since acetone molecule is small and its mobility is so fast, it is assumed that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acetone is simultaneously occurred at the same time even at room temperature. In case of MEK, MEK was effected by pore sizes of 2~4 times of the diameter of M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