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16

        241.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에너지 인력양성사업을 중심으로 국가의 R&D 사업의 성과를 분석 하고, 성과지표 개선방안을 찾는 데 주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대상은 2010년 이래 지원된 86 개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이다.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의 성과지표는 연구역량이나 배출인원, 산 학연계 정도, 고용창출 등과 관련되어 있는데 KPI index로 지칭되는 11개 항목의 인력양성 성과지표를 많이 활용해 분석하였다. 과제별로 제시된 목표치의 달성 수준을 분석한 결과 평 균적으로 달성도가 가장 높은 지수는 기업연계율이며, 달성도가 가장 낮은 지수는 참여기업 취업인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연계활동의 핵심 고용창출효과를 살펴본 결과 인턴십의 횟수가 많을수록 에너지 분야 고용창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강의의 수가 많 을수록 참여기업 취업인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사업운영 과정에 대한 지표인 기업연계 활동 자체보다 이를 통 해 나타나는 취업 등 핵심 성과에 더 초점을 맞춘 성과지표 재설계와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사업의 질적 성과를 표현할 수 있는 지표와 실제적인 기업연계를 표현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추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정책적 성과목표 및 주요 목표 집단 등에 따라 차별화된 성과관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성과지표의 정비와 더불어 정보입력 및 축적 시 스템 개선이 필요하다.
        5,500원
        242.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혁신주체 간 협력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네트워크분석 및 분산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 특허청의 공동 출원인 자료를 토대로 네트워크 구조 변수 및 특성 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 네트워크의 구조적 유형, 혁신주체 별 역할 그리고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 특성 변수가 무엇인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허 공동출원 인 네트워크는 비교적 소규모 그룹들이 산재해 있는 분산집중형 좁은세상 네트워크 구조이며 혁신주체들이 비교적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둘째, 특허 공동출원인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대학교로 밝혀졌으나 협력 파트너의 다양성은 모든 혁신주체가 비슷하였다. 셋째, 익숙한 몇몇 협력 파트너로부터 얻는 신속하고 정확성이 높은 지식이 다양한 분야의 협력 파트너로부터 얻는 생소한 지식보다 성과를 창출하는 데에 보다 긍정적이었다.
        6,700원
        243.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ICT 분야 중소기업의 외부환경 민감도와 혁신활동에 대한 조직성향 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첫째,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 투입된 변수간의 관계성과 패턴을 파악하였고 둘 째, 요인분석에 의해 축약된 영향 요인들을 유형화하는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 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형화된 군집들의 혁신활동과 기업성과간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ICT분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E-연구원의 수요조사 결과 1,022부에 대해 실증 분석에 활용했다. 내⋅외부 환경에 대한 40개 투입변수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7개의 요 인이 추출되었으며 7개의 요인을 기반으로 총 4개의 군집(n=1,022)이 형성되었다. 군집 4개 의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기술⋅경쟁 환경에 민감하며, 혁 신적인 조직 성향을 가진 군집1은 자체기술개발만이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시장 환경에 민감하며, 내부 협력적 조직 성향을 가진 군집2는 자체기술개발과 공동연구를 통해서만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적인 환경에 민감하며, 혁신적이고 정부/관련기관과의 협력적 조직 성향을 가진 군집3은 공동연구 그리고 매개변수인 정부 지원 프로그램 활용을 통해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기술도입은 기업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적인 조직 성향 이 강한 군집4는 자체기술개발과 매개변수인 네트워크 활용 및 정부 지원 프로그램 활용이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전략 및 정책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8,600원
        244.
        201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L-1RAcP는 일명 interleukin-1 receptor accessory protein이라 칭하며 interleukin-1 염증성 사이 토카인과 interleukin-1 receptor I (IL-1RI) 결합체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작용한다. IL-1RAcP는 면 역반응, 스트레스 및 세포사멸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참돔(Pagrus major)을 저수온 (8℃, 33 psu) 및 저염분(20℃, 10 psu) 상태에 노출시킨 후, IL-1RAcP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IL-1RAcP 유전자의 발현은 저수온(8℃, 33 psu) 및 저염분(20℃, 10 psu) 상태 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로서 IL-1RAcP 유전자는 저수온 및 저 염분 등의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생체지표유전자로서 역할을 한다고 제의한다.
        4,000원
        245.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problematic drinking amongst the male university students of the Changwon area (n=367).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undertook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the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problematic drinking were rated as ‘no problem’ (28.8%), ‘at-risk drinking’ (41.7%), and ‘alcohol abuse’ (29.5%). Our study revealed that students living alone, indulged in more club activities, and drank more than 3 cans of carbonated drinks a day; this was significantly high on the AUDIT score (p<0.05). Participation in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but intention to reduce the monthly alcohol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lower (p<0.001) in the alcohol abuse group. Recognition level of drinking cultures, drinking habits, AUDIT, and nicotine depend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cohol abuse group (p<0.001). Recognition level of drinking cultures and nicotine dependence by the FTND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whereas dietary guidelines and self-estee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blematic drinking (p<0.05).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problematic drinking were recognition level of drinking cultures (β=0.47, p<0.001) and nicotine dependence (β=0.23, p<0.001). We conclude that implementation of health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ould aid in rectifying the incorrect perception of drinking. Furthermore, both drinking and smoking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4,500원
        246.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which types of pop-up store positively influence consumer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across different fashion pop-up store forma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17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30s and then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oneway ANOVA test indicated that the 'Pop-up store of alliance with different kinds of industries' is the most effective type for increasing brand preference and brand recognition amongst consumers. Some further insights can be made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op-up store formats in terms of the cognitive factors influencing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Moreo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op-up store formats in terms of brand attitud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ashion companies can determine the best type of pop-up store to open depending on their aim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to fashion marketers, helping them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factors to consider when planning fashion pop-up stores. Academically, this paper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range of research on fashion pop-up retail by studying consumer experiences of different pop-up store types.
        5,200원
        24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공원은 자연자원 보전과 동시에 탐방객의 자연체험 극대화를 위해 음환경을 보호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국립공원은 대도시와 접해있어 유입되는 소음의 양이 크며 도시로부터 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관통도로 및 인접도로 에 의해 소음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도시와 접해 있는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탐방로의 소리환경 현황을 파악하고 환경영향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소 리환경을 고려한 탐방로 유형을 구분해보고자 하였다. 탐방로의 소리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Sound Quality 지표는 소음(Decibel) 이외에 독일 Zwicker에 의해 제안된 심리음향 변수 중 Loudness, Roughness, Sharpness, Tonality 를 선정하였다. 환경요인은 기존 문헌을 토대로 도로로부터 의 거리, 토지피복비율, 토지이용, 수계로부터의 거리, 해발 고, 자연성, 식생유형, 층고, 건폐율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지는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64km, 21개 노선) 중 서울시내 5개 구간(3~7구간) 약 15km이었다. 조사일시는 2017년 5월 2일, 28일이었다. 탐방로 음향요인은 현장조사를 통해 음향측정장비(SQuadriga, Germany)를 머리에 장착하고 탐 방로를 일정한 속도로 걸으며 소리를 녹음하고 소음강도(dB) 를 측정하였다. 위치정보는 GPS추적 app(rambler)을 이용하 였다. 음향분석은 ArtemiS 5.01을 이용하였고, 환경요인은 서울시 도시생태지도와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탐방로의 Sound Quality 요인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decibel, Loudness는 해발고, 도로거리, 수계거 리, 투수포장율, 녹지율, 층위별 식피율(교목, 아교목, 관목, 초본)과는 부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었고, 건폐율, 불투수포장율과는 정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었다. 즉 조사구간이 도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해발고가 높고, 도로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소음의 강도는 약하고, 도심으 로부터 가까울수록 소음강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oughness는 평균층수, 건폐율과는 부의 상관관관계 (p<0.01)를 나타내었고, 수계거리, 관목식피율과는 정의 상 관관계(p<0.01)를 나타내었다. Roughness는 해발고가 높 은 자연지역을 통과하더라도 도심지로부터의 배경소음이 강할 경우 높게 나타났다. Sharpness는 해발고, 수계거리, 평균층수, 불투수포장율, 투수푸장율과는 부의 상관관관계 (p<0.01)를 나타내었고, 도로거리, 녹지율, 식피율(교목, 아 교목, 관목, 초본)과는 정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었 다. 이는 산림지역이 고주파수의 야생조류의 소리가 많이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 되었다. Tonality는 해발고, 도로거리, 수계거리, 녹지율, 식 피율(교목, 아교목, 관목, 초본)과는 부의 상관관관계 (p<0.01)를 나타내었고, 평균층수, 건폐율, 불투수포장율과 는 정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었다. 탐방로의 소리등급 구분을 위해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12개의 변수와 757개의 조사구간에 대한 요인분 석을 시행한 결과 고유값(eigenvalue) 1 이상인 인자가 모두 4개 추출되었다. 탐방로 소리환경등급 구분은 요인분석에서 얻어진 4개 요인점수를 기준변수로 군집분석(K-means clustering)을 시행하였다. 탐방로 소리환경등급을 5개로 군 집분석한 결과 등급 1은 조용한 산림구간, 등급 2는 조용한 산지내 건축구간, 등급 3은 소음이 유입되는 산지구간, 등급 4는 소음이 있는 도심구간, 등급 5는 소음이 강한 도로구간으 로 구분되었다.
        24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리를 대상으로 번식울음 특성 및 번식울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세종 시 세종중앙공원 예정지 장남평야이었다. 연구기간은 2017 년 6월 6일부터 8월 13일까지 총 70일간, 1,657시간이었다. 연구대상종은 금개구리와 참개구리이었다. 번식울음은 생물 음향 측정기기(Songmeter SM4)를 장남평야 중앙부 농수로 변에 설치하여 매시간당 10분씩 24시간 녹음하였다. 환경요 인 조사는 국가기후데이터센터(http://sts.kma.go.kr/)의 대전 지역 기상청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① 번식울음 주파수 특성, ② 일별 번식울음 변화 및 기상영향, ③ 일주기 울음 패턴 및 기상영향, ④ 번식울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 인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번식울음 주파수 특성 분석 결과 금개구리는 1~3kHz 영역에서 고른 분포를 보이 며 3kHz 이상의 영역에서 급격한 하강곡선을 보였다. 참개 구리는 0.5~1.5kHz 사이의 비교적 좁은 주파수 폭 내에서 큰 신호가 발생하고 1.5kHz 이상의 영역에서 완만한 곡선 을 그리며 낮아졌다. 참개구리의 중심주파수 분포의 피크가 금개구리보다 뾰족하였는데 이는 울음주머니(공명기)가 소 리를 증폭시키기 때문에 울음주머니가 없는 금개구리는 이 러한 피크가 형성되지 않아 넓고 평탄한 주파수 분포를 갖 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두 번째, 일별 번식울음 변화 분석 결과 6월 6일부터 8월 13일까지의 조사기간 동안 금개구리는 매일 고르게 8시간 내외의 번식울음 활동을 하였고 이 기간 중 7월 4일(4시간), 7월 11일(1시간), 7월 17일(3시간)에는 울음 시간이 적게 관측되었다. 참개구리는 동일 기간 중 중반부까지 번식울음 활동을 하다가 7월 21일부터는 울음활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일별 번식울음 누적빈도와 일기상요인과의 상관관 계 분석결과 금개구리는 기온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 타내지 않았으며 평균 습도(p<0.000), 일강수량(p<0.000) 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참개구리는 평균기온 (p<0.000), 평균습도(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 으며, 일강수량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세 번째, 일별 번식울음 특성 분석 결과 금개구리는 18시 경 울음을 시작하여 21시까지 급격히 울음빈도가 증가하다 가 21시부터 03시까지 피크를 형성하고 00시에 울음빈도가 최고조에 달하였다. 이후 03시부터 04시까지 급격히 울음 빈도가 감소한 후 05시경 울음을 종료하는 패턴을 나타내었 다. 참개구리는 금개구리보다 늦은 21시경 울음을 시작하여 서서히 증가하다가 01시에 피크를 형성하고 04시까지 다시 감소하는 울음빈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었다. 일주기 번식울 음 패턴과 기상현황을 분석해보면 금개구리와 참개구리의 번식울음은 일몰 이후부터 새벽까지 어두운 기간에 집중적 으로 번식활동을 하고 있어 일사량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 이었고, 전반적으로 참개구리보다 금개구리의 울음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네 번째, 번식울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분석 결과 금개구리와 참개구리 번식울음은 온도와 습도에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량에는 크게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의 경우 금개구리는 평균 24.8℃(최소 15. 7~최대 31.6℃)에서 참개구리는 평균 22.3℃(최소 15.5~ 최대 29.3℃)에 피크를 형성하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t=9.443, p<0.000)되었다. 즉, 금개구리가 참개구리보 다 높은 온도에서 번식울음의 피크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습도의 경우 금개구리와 참개구리 모두 습도가 증가 할수록 번식울음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금 개구리(R2=0.64)가 참개구리(R2=0.36)보다 습도가 증가할 수록 좀 더 급격히 울음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 다. 즉, 금개구리가 참개구리에 비해 습도에 더 민감한 것으 로 판단되었다.
        249.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uccess factors of six sigma(support of top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performance-based reward, customer and quality focused thought) on change management activity and business performance. In particular, mediating effect of change management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factors of six sigma and business performance is empirically analysed to find causes and impacts among these variable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six sigma(except support of top management) and change management activity.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management activity and business performance. Third, there were also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six sigma and business performance. Finally, change management activity was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six sigma(education and training, performance-based reward, customer and quality focused thought) and business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support of top management had no mediating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4,600원
        250.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often rely on the competency of their employees. Many employees however try to move to better environments if possible, which results in high uncertainty in maintaining solid human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of the early experienced, especially three to five years experienced, employees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 survey had been conducted using both LMX (Leader Member eXchange) and TMX (Team Member eXchange) as an effort to test the impact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factors on turnover intens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level of LMX is critical on the turnover intension, while the levels of LMX and TMX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loyalty. Especially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affects on the organizational loyalty for TMX via LMX in the serial structur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factors become effective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leader and team members exchange activities are activated. These findings can be used in reducing turnover intention and increasing organizational loyalty of early experienced employees by enhancing the leadership training of middle level managers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rganizations. Besides, a set of active communication channels should be provided for the young employees so that they can share their work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within the organization.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the practitioners set up a management plan to maintain a low turnover rate for their organizations.
        4,800원
        25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stress level, stressor, and coping style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raits. And to identify the personality traits contributing to stress redu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ducing the stress of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maintain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0 days from June 7 to June 16, 2017 for S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The study employed four measuring instruments as Ego-gram, Ok-gram, stressor scale, and stress coping type scale.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were classified into ego-states and ok-states in TA (Transactional Analysis). Stressors a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school life, home life, human relationship, myself, environment) and stress coping styles a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problem-focused coping, social-support coping, feeling-focused coping, hope-thinking coping)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stress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year, grade, sleeping time, personality traits, and coping styles. Personality traits that contributed to the stress increase were NP, AC, ‘you positive’, ‘i negative’ and personality trait that contributes to stress reduction is ‘you negative.’ Therefore, we can judge that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tress level, stressor, and coping style and need to find the effective stress management method suitable for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using counseling, repetition training, self-suggestion etc.
        4,000원
        25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ake of energy drinks and awareness of caffein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 was 313 middle school in Incheon area.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are consisted of 133 male students and 180 female students. The recognition result that allowed multiple responses to energy drink types was recognized by hot six at 28.9%, followed by red bull 24.3%, monster energy 13.8%, wolf energy 8.0% and taurine soda 6.9%,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energy drink intake, intake reason, intake time and place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ake frequency and place (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rience and frequency of energy drink intake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ake reason, choice criteria, intake time and place (p>0.05). The result of the perception of energy drinks according to gender was 2.25 points for male students and 2.61 points for female students in the question 'caffeine is also present in tea, green tea, cola and chocolat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p<0.05). As a result of the recogniton of energy drinks, "the appropriate amount of caffeine is cleared and the concentration improves." When asked, "low body weight is 2.24 points, normal 2.27 points, overweight 1.89 points, obesity 2.46 points (p<0.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mass index (BMI) between the two groups (1.95 for low body weight, 2.10 for normal body weight, 1.62 for overweight and 2.43 for obesit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R2=0.007 and F=2.798,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5. Energy drink consumption expenditure(β= 0.121, p<0.05), sleep time(β=0.130, p<0.05), and caffeine perception(β=-0.162, p<0.05)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energy drinks intake.
        4,000원
        25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공격성에 가족, 인지, 심리 요인이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전국 15개 청소년비행예방센터에 의뢰된 572명의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변수만 투입하였을 때 학업성적과 유예중퇴경험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요인들을 추가한 회귀모형에서는 가족화목도와 가족의사소통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는 모형1과 동일하게 유의미하였다. 셋째, 인지적 요인들을 추가한 모형에서는 공격신념이 낮을수록, 자기통제력과 가족화목도가 높을수록 공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는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요인들을 추가한 최종모형에서는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우울/불안수준과 공격신념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 우울/불안, 공격신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행청소년의 공격성과 관련된 논의와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6,600원
        25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ishing license system on fisheries resources in order to reduce the adverse effects of recreational fishing, such as fishery resource reduc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doing so,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what factors influence anglers’ willingness to support fishing licenses. Based on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we further included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motivations besides anglers’attitudes, norms and self-efficacy towards the environment and proposed six research hypothes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site and online surveys in Gwangju and Cheonnam province and a total of 337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Three different binary logit models were employ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 of anglers’willingness to support fishing licenses to assess the effects of explanatory variables. Study results show that social norms, the level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motivation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al experiences positively affected anglers’willingness to support fishing licenses. However, anglers’consumptive orientation attitudes such as catching big fish, motivation factors related to activity general experience preferences and previous fishing experience had negative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s. Study results indicate that public outreach and education programs are essential to successfully introduce the fishing license system. Managerial and policy-related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to make recreational fishing a more environment-friendly recreational ac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verse variables derived from anglers’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ir support for fishing licenses and suggest diverse policy-related and managerial implications.
        4,900원
        25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변화의 요구가 일상화된 시대에 조직구성원의 지속적 학습은 조직효과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Arneson, 2006). 이러한 관점에 입각해서 본 연구는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지속학습과정을 연구하여 전환 학습을 통한 적응학습에 이르는 과정을 검증하였다. 개인수준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네트워킹이 각각 전환학습에 주는 영향을 검증하여, 순차적으로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환학습과 적응학습의 관계에서 팀 수준 변수인 팀 학습풍토와 팀 지식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교차수준의 영 향력을 연구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45개의 팀에서 198명의 서비스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개인및 팀 수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과정에 대한 모형은 AMOS를 사용하고, 개인 및 팀 수준의 관계 는 HLM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전환학습을 통해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 매개로 확인되었으며, 네트워킹이 전환학습을 통해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전환학습과 적응학습의 관계에서 팀 수준인 팀 학습풍토와 팀 지식특성의 조절효과는 각각 유의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학습활동을 자극할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5,800원
        25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 (Product Liability) refers to the legal responsibility of a manufacturer or seller for bodily injuries or property losses caused by product defect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construct a product liability response system that strategically manage and effectively adapt to product liability. A PL response system refers to companywide operations of PL prevention (PLP) measures, product safety (PS) measures, and PL defense (PLD) measures appropriate for a company’s scale and environment. To establish an enterprise product liability response system, each essential component of corporations should be systematically operated and maintained considering the sca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rporations. Essential components of PL response system is Strategy, Organization, Training, Technology, Investment, and Awareness. Role of essential components is that companies need specific strategies to secure product safety and protect customers from product defects, and appropriate organizations must be composed for effective operation of such strategi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product liability response system and PL performance. PL performance consists of positive performance and negative performance. In particular, positive performance include increased efforts in product or process innovation such as strengthening research and development (R&D) to produce safer products without defects.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we obtained 98 questionnaire of manufacturing company. A summary of the analyses is as follows: First, the awareness and technology among essential components affect significantly to the positive performance. Second, the awareness and strategy among essential components negative affect to the negative performance.
        4,000원
        25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petition to acquire customers with repurchase intention is getting more and more intense in the saturated smartphone market. That is wh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urchasing determinants between various age groups and gender. Furthermore we aimed to analyze which of the purchasing determinants influence repurchase intention. In order to gather information we conducted a survey on 252 respondents. We selected 5 purchasing determinants (A/S, H/W, switching cost, network effect and design) by conducting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Then we analyzed how respondents of different age groups and gender perceived different purchasing determinants and analyzed the influence purchasing determinants have on repurchase intention. As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urchasing determinants throughout various age groups, the H/W, A/S, network effect showed a notable difference. The older respondents tended to consider H/W, A/S , network effect more importantly than younger respondents. When it came to comparing the results depending on the gender, male respondents tended to consider H/W factor more importantly compared to female respondents and the opposite was true for other factors such as A/S, switching cost, design, and network effect but there weren’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Finally, out of various determinant factors, network effect and design turned out to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That is why it would be highly appropriate to say that if a company intends to boost repurchase intention, enhancing network effect and developing an effective design would be crucial. This study differs from other existing researches in that we analyzed respondents from different age groups and gender separately. Also unlike other researches we directly analyzed the influence purchasing determinants have on repurchase intention not customer satisfa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establish strategies both in an academic and practical level, allowing companies to boost the repurchase intention of the smartphone market.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