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9

        242.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자원 128개와 중국자원 214개 및 미국자원 37개를 포함한 총 379개의 국내외 콩 유전자원에 대한 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평가하고 유용자원을 선발하여 고품질 콩 품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수행되었다. 한국자원과 중국자원은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미국자원은 경북대학교 식물유전육종연구실로부터 분양 받았다. 콩 유전자원의 지방함량은 평균 19.1%이었고, 12.7∼26.0%의 범위이었고,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의 함량은 평균 10.6%이었고 범위는 4.1∼18.1%, stearic acid의 함량은 평균 2.9%이었고 범위는 1.9∼12.7%이었다.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의 함량은 평균 28.2%이었고 범위는 15.3∼56%, linoleic acid의 함량은 평균 51.2%이었고 범위는 24.4∼68%, linolenic acid의 함량은 평균 7.1%이었고 범위는 3.4∼11.1%이었다. linoleic (ω-6)/linolenic(ω-3) acid 함량의 비율은 평균 7.5이었고 범위는 3.8∼17이었다. 포화지방산이 평균 13.5%이었고 범위는 6.7∼21.7%, 그리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평균 86.5%이었고, 범위는 78.3∼93.4%이었다. 고지방품종 개발을 위한 지방함량이 25%이상인 고지방함량 자원으로는 중국자원인 Suinong 14, Dongnong 434 및 Dongnong 46의 3개이었다. Oleic acid 함량이 50%이상인 고 oleic acid함량 자원으로는 미국자원인 KLG12073과 KLG12074, 중국자원인 Jilin 14 및 한국자원인 Kwangan과 Bongeui의 5개이었고, linoleic acid의 함량이 60%이상인 고 linoleic acid 함량 자원으로는 미국자원 KLG12083과 KLG12081을 포함한 8개이었다. Linolenic acid의 함량이 4%이하인 저 linolenic acid 함량 자원으로는 미국자원 KLG12093와 KLG12096을 포함한 7개이었다. Linoleic acid(ω-6)/linolenic acid(ω-3)의 비율이 4.5이하로 낮은 자원은 미국자원 KLG12074 (3.8)와 KLG12073 (3.8), 한국자원 Kwangan (3.8)와 Bongeui (4.5) 및 중국자원 Dongnong 47 (4.3)의 5개이었다.
        244.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ixed Korean red ginseng marc with aluminum sulfate on gas concentration and volatile fatty acid (VFA) in poultry litter during 4 weeks in terms of livestock and environment managements. A total of 240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cated to four treatments in four replications and 15 birds per replicate. The four treatments was mixed to rice hull under each pen at 0, 10 g or 20 g red ginseng marc + 90g aluminum sulfate, and 100g aluminum sulfate per kg poultry litter (rice hulls). Carbon dioxide, methane,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s were measured weekly. The results that could be available include: Firs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carbon dioxide emissions were not remarkab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Second,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in methane emissions at 2 weeks through 4 weeks, but at 1 week, the reduction in methane emissions was in following order: 100 g aluminum sulfate > 20 g red ginseng marc + 90 g aluminum sulfate > 10 g red ginseng marc + 90 g aluminum sulfate > control. Third, in spite of statistically differences, treatment with 10 g or 20 g red ginseng marc + 90g aluminum sulfate, and 100g aluminum sulfate reduced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 as a function of time, except acetic acid in aluminum sulfate treatment at 2 and 4 weeks.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like aluminum sulfate, using 10 g or 20 g red ginseng marc with aluminum sulfate was effective in decreasing methane and propionic acid released from poultry litter.
        245.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ixed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and fatty acid profiles of Korean native chicken and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producers. Ninety six Korean native chicken (48 males and 48 females, Hanhyup-3-ho) were allocated to 16 wire cages with 4 treatments, 4 replicates and 6 chicks (3 males and 3 females) per wire cage and fed one of four diets containing 0, 0.5, 1 and 1.5% mixed probiotics for 6 week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growth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 For fatty acid profiles,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each fatty acid, total saturated fatty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observed in all treatments. In the present study, irrespective of statistically differences, inclusion of mixed probiotics tended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reduce saturated fatty acid and increase unsaturated fatty acids in breast muscles from Korean native chicken compared to controls.
        246.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the metal oxide catalyst in the dimerization of waste vegetable oil was investigated. The high efficiency and recyclability has allowed different metal oxides to be used as catalysts in numerous synthetic reactions. Herein, clay, aluminum, titanium, calcium, magnesium and silicon oxide micro/nanoparticles are used in a Diels-Alder reaction to catalyze the production of the dimer acids. The metal oxides assist the electron transfers during cyclization to produce the desired product.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scopy (LC-MS)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were used to verify the production of dimer acids. For the confirmation of cyclization,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the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From the analysis, silylated or pristine clay showed its effectiveness as a catalyst in dimerization. Furthermore, alumina and alumina/silica composite showed successful performance in the reaction to yield cyclic dimer acids. These result suggested that metal oxides and montmorillonite might be used in synthesis of dimer acids for the recycle of waste vegetable oils.
        24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수확 후 지역브랜드로 유통되는 벼의 저장 중 저장온 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지방산도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할 목적으로 신동진, 일미, 추청, 호품, 히또메보레 등 5품종을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한 후 4개월마다 밥의 조직감(texture), 알칼리붕괴도(ADV), 도요 윤기치, 밥의 호화특성, 지방산도 및 지방산 조성 등을 분석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밥의 경도는 밥의 씹힘성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냈고 밥의 부착성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 타냈으며 밥의 응집성은 밥의 탄력성과 정의 상관관계 를 나타냈다. 밥의 경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 가하였고 밥의 응집성은 저장전과 비교해서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라 품종 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알칼리붕괴도는 품종 및 저장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저장온도에 의한 영향은 미미하였다. 일미와 추청의 경우는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신동진, 호품 및 히또메보레의 경우는 상온저장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저온저장의 경우는 저장기 간이 길어질수록 ADV 값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도요윤기치는 저장초기에는 품종 및 저장온도에 따라 품종간 차이는 크지 않았고 대체로 저장 후 4개월 이 후부터 상온 및 저온저장 모두 도요윤기치 값이 떨어 지는 경향이었다. 4. 밥의 호화특성은 상온저장에서 최고점도의 경우 신동 진, 호품, 히또메보레 품종은 일미와 추청에 비해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전보다 확연히 높게 나타났다. 강하점도 또한 상온저장시 저장전보다 저장기간이 길 어질수록 높아졌으며 치반점도는 저장온도와 큰 상관없 이 저장전보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5. 현미의 지방산도는 저온저장보다 상온저장의 경우에 저장전과 비교하여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증가폭 이 컸고 백미의 지방산도는 저장전과 비교하여 저장 8 개월 후부터는 지방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6.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현미의 포화지방산 함량의 경우 저장 전에 비해 일미와 추청 품종은 저장기간이 경과 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신동진, 일미 및 히또 메보레 품종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저장 전과 비슷한 함량을 유지하였다. 또한 백미의 포화지 방산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상온저장 및 저 온저장 모두 저장 전과 비슷한 함량을 유지하였다. 현 미의 지방산 중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의 함량은 저 장 전부터 품종간 차이를 나타냈고 그 외의 지방산 함 량의 변화는 저장 4개월 후부터 품종 간 차이가 나타 났다. 백미의 지방산 중 linoleinic acid와 stearic acid 의 경우 검출된 함량은 적으나 저장 4개월 후에 그 함 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palmitic acid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48.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s typical of a enormous biomass of marine zooplankton that could provide good nutrition in human bo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utrition of krill, a live in Antarctic Ocean. The analysis result of fatty acids of krill meal was as follow.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 were saturated fatty (SFA) acid 41.41%,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21.69%,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36.89%, and p/s ratio was 0.89. The major fatty acids in all parts were eicosapentaenoic acid (EPA, 21.54%), palmitic acid (27.51%), oleic acid (13.35%)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12.42%). Especially, EPA and DHA were occupied 33.96%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The mineral contents of krill meal were calcium 24477.21 mg kg-1, sodium 14728.69 mg kg-1, magnesium 6973.49 mg kg-1, potassium 3981.67 mg kg-1, iron 395.33 mg kg-1 and manganese 5.74 mg kg-1. The contents of major vitamin were retinol 86717.37 μg RE, β-carotene 44.87 μg RE, tocopherol 2.60 mg, pantothenic acid 1.61 mg, indicating that krill meal contains large amount of retinol and β-carotene.
        249.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s, 약자 VFAs)은 유기화합물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될 때 생성되는 화합물로 한 개의 카르복실 말단기와 C2-C7의 탄소로 구성되는 지방족 산으로 휘발성을 가진 저급 지방산을 총칭한다. 최근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슬러지의 가장 중요한 처리방법으로 에너지 회수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공정이 큰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메탄 발효를 위한 전체 반응 진행의 중요 척도로써 가수분해 중간산물인 휘발성 지방산의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휘발성 지방산 중 9개 물질(Acetic acid, Propionic acid, Isobutyri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Valeric acid, Isocaproic acid, Hexanoic acid, Heptanoic acid)을 대상으로 하였다. 휘발성 지방산 인증표준물질을 사용하여 Liquid - Liquid Extraction(LLE), Headspace extraction(HS), Solid Phase Micro extraction(SPME) 방법으로 비교․측정한 결과, 3방법 모두 9개 물질에 대하여 82%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냈다. 특히,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의 회수율은 SPME 방법으로 측정하였을 경우 평균 회수율이 각각 94.2%, 96.7%로써 타 방법과 비교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SPME 방법으로 5개시설의 소화조 슬러지의 VFA를 분석한 결과 총 VFAs는 10 ~ 260 mg/L가 검출되었다.
        250.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 자생하는 기름생산이 가능한 목본식물의 바이오디젤 원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해 기름함량, 지방산 조성 및 전이에스테르화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목본 기름식물의 종자 내 기름함량은 15.1 ~ 70.3%로 다양하였으며, 지방산조성은 주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 등 이였으며 올레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모든 식물에서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많았다.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산화안정성은 2.25 ~ 8.62 hours/110℃로 나타났고, 요오드가는 때죽나무 기름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른 식물 종보다 높기 때문이다. 저온 필터막힘점은 0℃ to -13℃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팝나무 지방산메틸에스테르가 저온유동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기름함량, 지방산조성, 바이오디젤 특성 등을 종합하였을 때 동백나무, 이팝나무 및 때죽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기름이 바이오디젤로의 이용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251.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적응 Quality Protein Maize (QPM) 옥수수 교잡종을 육성하려면 효율적인 선발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중인 QPM1 등 4 교잡계 종실의 일반성분, 지방산 조성 및 아미노산 함량을 대비품종인 일반 옥수수 장다옥과 비교 검토하여 QPM 옥수수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QPM 교잡계들의 단백질함량은 10.0〜11.40%로 장다옥의 8.1%보다 모두 많았다. QPM 교잡계들의 지방함량은 3.8〜4.0%이었으며 QPM1을 제외한 QPM 교잡계들은 장다옥과 차이가 없었다. QPM2 교잡계를 제외한 QPM 교잡계들의 회분함량은 장다옥보다 많았다. QPM 교잡계들과 장다옥 모두 linoleic acid의 조성비가 가장 높고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nic acid의 순으로 지방산 조성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QPM 교잡계들의 포화지방산 함량은 17.2〜18.4%로 장다옥과 비슷하였다. QPM 교잡계들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81.6〜82.8%로 장다옥과 비슷하였다. QPM 교잡계들과 장다옥간 필수아미노산 중 isoleucine, valine, threonine, 황을 함유한 methionine, cystine 등의 함량 차이는 없었으나, lysine함량은 QPM 교잡계들이 장다옥(3.84g/100g)보다 4.05〜4.69g/100g로 많았으며 그중 QPM1 교잡계가 4.69g/100g으로 가장 많았다. QPM 교잡계들과 장다옥간 산성아미노산인 MMA(monoamino monocarboxylic acid), DMA(diamino monocarboxylic acid), 방향족 아미노산인 AAA(aromatic amino acid) 등의 함량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육성된 국내 적응 QPM1 교잡계는 옥수수의 경우 필수아미노산 중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lysine 함량이 보통 옥수수보다 개선되어 식용 및 사료용 옥수수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252.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일의 산화적 안전성을 높이고 저장기간을 늘리기 위하여 수소를 첨가하여 액체 상태의 오일을 고체상태로 만드는 hydrogenation이란 방법을 마가린이나 쇼트닝을 만드는데 사용해 왔으나 이 과정중에 trans fat 이 생성되는 단점이 있다. 콩의 기름은 약 10% palmitic acid, 4% stearic acid, 17% oleic acid, 55% linoleic acid 와10% linolenic acid으로 구성된다. hydrogenation과정을 회피하여 콩 기름을 마가린 제조에 사용하기 위하여 mangosteen의 steroyl-ACP-thioesterase를 과발현 시킴과 동시에 콩의 palmitoyl-ACP thioesterase 와 delta 12 desaturase의 발현을 억제 함으로서 약 10-20%의 stearic acid 와 70-80%의 oleic acid를 갖는 콩을 생산 했으며. 이러한 지방산 조성은 또한 기후가 온난한 지역에서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사용되어 질수 있다. 어류의 소비는 급속히 증가 되고 있는 반면 재고량은 계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양식이 어류의 공급을 증대시킬 대체수단으로 여겨져 왔으나 야생 잡어를 양식 어류의 사료로 사용함으로써 먹이사슬 하부에 존재하는 어류의 감소를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야생 어류의 재고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양식사료를 대체할 새로운 사료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우리는 콩을 이용하여 기존의 양식사료를 대체하려는 연구를 수행중에 있다. 콩이 양식어류의 사료로 사용되기 위한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는 콩의 지방산 조성 및 함량으로 어류에 존재하는 지방산과 비슷한 조성 및 함량을 갖아야한다. 4개의 long chain omega 3 fatty acid 합성 관련 유전자와 3개의 astaxanthin 합성 관련 유전자를 집적함으로서 DHA (Docosahexaenoic acid)의 전구물질인 EPA (Eicosapentaenoic acid)를 5% 함유하며 연어의 양식에 사용되는 carotenoid의 일종인 astaxanthin을 종자 1g당 25ug 수준으로 생산하는 콩을 개발 했으며 이는 기존의 어류양식에 사용되는 사료를 대체하는데 사용되어 질수있다.
        253.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on fatty acid profile of egg in laying hens during 9 weeks. Two hundred hens, 70-wk-old, Hy-line Brown, were used in this study and fed basal diets. 100 hens, randomly collected from facility, were transferred to cage rearing system and 100 remaining hens were moved to backyard raising system. For overall period, higher unsaturated fatty acid percentages in two different rearing systems than did saturated fatty acid (SFA) were observed. In 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s, both rearing system showed a higher mono unsaturated fatty acid (MUFA) contents than poly unsaturated fatty acid (PUFA) contents. Egg quality traits of laying hens reared in backyard system had considerably lower contents of SFA and higher contents of MUFA compared with eggs from cage rearing system (P<0.05). In addition, eggs from cage rearing system resulted in a significantly lower n-3 contents and higher n-6:n-3 ratios and CLA contents in comparison with backyard raising system (P<0.05).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s of two different rearing systems on PUFA, PUFA:SFA ratio, and n-6 contents were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egg production as functional foods.
        25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파종시기 및 생육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생육반응, 수량성 및 isoflavone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밭작물의 안정생산을 위한 재배기술개발에 활용하고자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월파종구는 6월파종구에 비해 콩 식물체의 생육이 왕성하고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개화후 약 40일까지 비교적 높은 상태가 유지되지만, 6월파종구는 개화 후 등숙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개화후 30일부터 급격히 감소되었다. 2. 6월 파종구는 5월 파종구에 비해 100립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고, 생육온도가 높으면 100립중이 증대되었으나 control + 5℃ 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어 파종시기 및 생육온도별 등숙 반응이 달랐다. 3. Isoflavone 함량은 5월파종구의 평균이 1201.8ug/g 이었으나 6월파종구는 1479.8ug/g 으로 5월파종구 대비 약 278ug/g 함량이 높았다. 생육온도에 따라서는 5월파종구 Mc + 3℃ 및 Mc + 4℃ 처리구는 isoflavone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Mc + 5℃ 의 isoflavone 함량은 오히려 낮았고, 6월파종구는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isoflavone 함량이 감소하여 파종시기별 온도처리 효과가 달랐다. 4.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oleic acid의 조성이 증가되고 linoleic 및 linolenic acid가 감소되었으나 palmitic 및 stearic acid의 조성도 생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5. 주경절수는 isoflavone 함량 및 불포화지방산 조성에 모두 관여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주경절수와 isoflavone 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 부의 상관관계(r = -0.661)가 있었고, 불포화지방산과는 정의 상관관계(r = 0.775)를 보여 주경절수가 증가되면 isoflavone 함량이 낮아지고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율의 증가에 관여하는 형질로 판단되었다.
        255.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요 구성지방산이 Oleic acid인 유채유, 동백유, 올리브유와 Palmitic acid가 주요 구성 지방산인 팜유를 기준으로 중량비로 혼합하여 지방산 조성 및 물성변화를 관찰 하였다.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50:50(w/w)비율에서는 Oleic acid은 유채유와 대두유의 혼합 시 42.8%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유채유의 혼합비율에서 72.1%로 가장 높았다. 75:25(w/w)유채유와 대두유 혼합비율에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올리브유의 혼합비에서 가장 높았다. 팜유를 기준으로 식물성 유지를 혼합하였을 시에는 다른 유지와 혼합 후 총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혼합 후 지방산 조절을 통한 산화안정성 및 저온에서의 유동성 개선이 기대 된다. 혼합 후 동백유 〉 올리브유 〉 유채유 순으로 산가 안전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Oleic acid 함량에 따라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혼합을 통한 산화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색도는 비율 및 유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바이오디젤 생산 정제공정에 있어서 혼합비율 조절에 따른 정제비용 절감이 기대 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지간 혼합에 의한 특성변화를 확인하고, 혼합유의 원료 다양성 확보 및 품질개선을 위한 정보를 얻어 향후 연구수행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256.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은 대표적인 유지 작물로 팜유 다음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는 식용유의 원료이다. 최근 콩 기름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방산 조성을 개선하려는 연구에서 oleic acid 함량을 일반콩의 평균함량인 23%에서 80%까지 올린 콩 계통이 개발되었다. Oleic acid는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낮추고 혈압을 낮추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콩나물은 콩을 암실에서 발아시켜 5일 정도 생육시켜 식용하는 채소로 콩이 가지고 있지 않은 많은 성분들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능성 콩나물 콩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고 oleic acid 콩의 발아일수별 지방산 함량의 변이를 검정하였다. 두 개의 고 oleic acid 함량(약 80%) 콩 계통, M23 (44-50% oleic acid) 및 정상 oleic acid 함유 콩 품종인 풍산나물콩을 이용하여 발아일수별 각각 지방산 함량의 변이결과는 다음과 같다. Pla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발아일수별 함량의 변이가 거의 없었으나, oleic acid는 발아 후 4일까지는 함량의 변이가 거의 없었지만 5일 이후에는 조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는 콩나물의 경우는 주로 5일 전후로 재배하여 출하를 하고 있는데, 고 oleic acid 계통의 경우 발아 5일째에는 종자에 비해 oleic acid 함량의 변이가 미비하였다.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발아 4일 이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고 oleic acid 콩을 이용하여 나물콩을 육성한다면 oleic acid 함량의 변이가 거의 없어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혈압을 낮추는 기능성 나물콩 품종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25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changes in fatty acid profile of breast and thigh muscle of old laying hens as transferred from cage to backyard raising system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using old laying hens to producer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s. Overall, percentages of unsaturated fatty acid obtained from breast and thigh muscle with cage and backyard raising system are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saturated fatty acid. For breast muscle,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between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in saturated fatty acid (SFA) and mono unsaturated fatty acid (MUFA). Poly unsaturated fatty acid (PUFA) and PUFA:SFA ratio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ackyard raising systems in comparison with cage rearing systems (P<0.05). No differences (P>0.05) were detected between both rearing systems for MUFA, PUFA, and PUFA:SFA ratios with thigh muscles. SFA in thigh muscl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age rearing systems compared with backyard raising systems. In conclusion, using breast and thigh muscle meats from old laying hens as functional foods or investigating impact assessment on the improvement of farm management system may serve as a good management practice to encourage producers.
        258.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lim813은 2-사이클로펜텐-1-온 옥심 유도체로서 다양한 염증성 자극원에 대한 TNF 생성을 억제하는 항 자극 및 UV에 의한 MMP1 억제를 통한 항 노화 효능을 갖는 물질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와 같은 효능 외에도 완전히 분화된 지방 세포에서 cAMP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생성 촉진을 통한 HSL (hormone sensitive lipase) 활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지방분해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Slim813을 사람의 팔과 허벅지 부위에 2주간 도포하였을 때 지방의 두께 감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내 피하 지방을 분해하는 효능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25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발표면에는 독특한 형태의 지방산이 있다. 18-methyleicosanoic acid (18-MEA)는 모발 큐티클의 최외각 층에 공유결합된 특이한 ante-iso 형태의 지방산이다. 18-MEA 층은 CMC의 β-층 위에 위치하면서 모발의 외부 표면에 표면에너지와 마찰저항을 낮춰준다. 18-MEA 분자의 높은 유동성은 계면 전단력을 감소시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지질들이 쉽게 퍼지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C10 - 40 isoalkyl acid의 말단에 관능기로 N-hydroxyl succinimidyl ester를 도입하여 모발 표면의 공유결합 지방산 층을 회복시켜보고자 하였다. 모발 표면의 재 소수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서로 다른 습도 조건(40, 55, 70 %RH)에서 모발의 내부 수분 함유량은 전자 수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Hydroxysuccinimidyl C10 - 40 Isoalkyl Acidate (HCIA)로 처리한 모발의 표면은 큐티클을 접착하는 것과 같이 지방산 단분자층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큐티클의 균열을 채워줌으로써 매끄럽고 균일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접착 효과는 atomic force microscope (AFM) 영상의 라인 프로필(line profile)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모발내부 구성 물질과 수분이 쉽게 용출되지 않고, 외기의 습도가 변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모발 습도가 항상 유지된다.AFM을 사용한 lateral force microscopy (LFM) 결과에 따르면 HCIA를 처리한 모발 표면의 마찰력이 감소되었고, 이에 대해 15회 샴푸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도 동일한 마찰력 값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