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2

        281.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300원
        285.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illus sp. DSNC 101은 탄소원으로 2.0% oat spelts xylan, 질소원으로 2.0% yeast extract, 그리고 인산염으로 0.4% K_2HPO_4를 함유한 pH 8.0의 xylanase 생산 배지에서 40℃에서 3일간 배양하였을 때 305.0 unit/ml의 xylanase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본 균주는 xylan, 가용성 전분, 볏짚 분말, Avicel, maltose, 그리고 lactose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xylanase를 생산하였으나 glucose, xylose, 그리고 arabinose를 사용하였을 때는 xylanase를 생산하지 않았다. 여러 가지 기질들에 대한 배양 상징액의 분해 활성을 조사한 바, xylan 분해 활성 외에 Avicel, carboxymethyl cellulose, 그리고 전분 및 PNPX에 대한 분해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Xylanase 합성은 glucose에 의해서는 억제되었으나 xylose에 의해서는 억제되지 않았다. 배양 상징액을 이용한 xylan 분해 산물은 xylobiose를 포함한 소당류들이었으며 xylose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4,000원
        286.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120 여종의 집락 중 응집제를 생산하는 집락을 선발하고 가장 응집력이 우수한 K-67 균주를 최종 선발하여 Agrobacterium sp KF-67로 동정하고 실험균주로 사용하였다. 응집제 생산시 최적 배지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응집활성을 kaolin과 활성탄현탁액에서 응집활성을 측정하였다. 최적 배지성분과 농도는 탄소원과 무기질소원은 glucose와 NH_4NO_3 각각 2%와 0.1%, 유기질소원은 yeast extract와 peptone 각 0.01%, 무기염으로 CaCO_3을 0.04%를 첨가하였을 때 응집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배지 중 0.03% NaCl 첨가로 약 19%의 응집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Agrobacterium sp.에 의한 응집제 생산시 최적배지의 성분 조성과 함량은 2% glucose, 0.1% NH_4NO_3 0.01% yeast extract, 0.01% peptone, 0.04% CaCO_3, 0.03% NaCl이었고, 이때 기초배지에 비해 약 76.1%의 응집활성력이 증가하여 응집제 생산에 효과적인 배지성분 조건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290.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92.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crfor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ilymarin against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s(LDL) oxidation. Silymarin extracted from Silybum marianum was successively purified with solvent fractionation and follow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e active substances were separated by HPLC and the isolated active substances, silymarin were identified by IR, NMR, GC-MS as silymarin. Silymarin inhibited at the 5 uM Cu^(2+)-mediated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in a dose dependent manner. Silymarin completely inhibited LDL oxidation at 50 ug/ml concentr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ilymarin may protect LDL against oxidation in atherosclerotic lessions.
        4,000원
        293.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pergillus fumigatus IFO 5840이 생산하는 cytosine deaminase에 미치는 cytosine analogue의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Cytosine deaminase의 강한 저해를 나타내는 cytosine analogue는 2-thiouracil, 2-thiocytosine, 2-mercaptopyrimidine, 및 6-azacytosine이었다. 2.본 효소에 대한 2-thiocytosine 및 6-azacytosine의 50% 효소활성 저해농도(HIC)는 각각 0.80mM 과 1.15mM 이었다. 3. 2-thiocytosine은 일정한 수준에서 본 효소의 반응을 정지시키는 반면, 6-azacytosine은 반응시간에 비례하여 일정한 비율로 저해하였다. 4. 2-thiocytosine과 6-azacytosine은 cytosine이나 5-fluorocytosine의 기질 종류에 관계없이 본 효소의 저해제로 작용하였으며 2-thiocytosine이 6-azacytosine보다 약 2배 정도의 높은 저해를 나타내었다. 5. cytosine을 기질로 하였을 경우, 2-thiocytosine과 6-azacytosine에 의해 경쟁적 저해를 나타내며 이들에 대한 K_i값은 각각 4.5 × 10^-4M 과 1.756 × 10^-3M 이었으며 cytosine, 2-thiocytosine 및 6-azacytosine에 대한 Hill 게수(Hn)는 각각 1.80, 1.81, 2.45로 나타났다.
        4,000원
        296.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telets serve many b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a major role in the haemostatic process. But platelets also play a crucial role in the formation of arterial thrombosis, arteriosclerosis and other pathologic processes. Thu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develop new antiplatelet agents from foods and plants for decades. In this study, inhibitory effects of the oriental onion (Allium fistulosum) on platelet aggreg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platelet rich plasma (PRP). Water extracts of oriental onion was separated into two fractions (Fraction I and Fraction II by Sephadex G-150 column. Platelet aggregations were inhibited by total water extracts as well as Fraction I and II. IC_(50) value of Fraction I was much lower than that of Fraction II. Inhibitory effects of total water extracts of oriental onion on ATP release by PRP were also observed.
        3,000원
        297.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hamnan sulfate extracted from green algae seaweed, Monostroma nitidum was characterized as activity in vitro culture assay with macrophages from mice. Rhamnan sulfate indicated that F-4-3 fraction enhanced glucose consumption,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nitrogen di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TNF). F-4-3 fraction was also augmented IL-1 secretion from those macrophages. Effects of the pretreatment of peritoneal macrophages with rhamnan sulfate F-4-3 fraction and several polysaccharides as relative standard on the production of H₂O₂ induced with unopsonized zymosan A were examined. Pretreatment with polysaccharides inhibited the zymosan A mediated H₂O₂ production by macrophages. The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 mediated H₂O₂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the pretreament. These result suggested that pretreatment of rhamnan sulfate interfered with the interaction of macrophages zymosan A. Rhamnan sulfate inhibited zymosan A mediated production of H₂O₂ by macrophages and F-4-3 fraction was also activator of macrophages.
        4,000원
        298.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299.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장해에 미치는 녹각의 효과를 밝힐 목적으로 녹각을 성분별로 추출 분리하여 급여하고 galactosamine으로 간장해를 유도한 후 녹각추축물이 간기능 유지에 관여하는 효소활성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생화학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Cytochrome P-450은 녹각추출물이 급여로 증가하였으며 갈락토사민 투여로 감소하였으나 neutal-ext.군에서 높은 증가를 보였다.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갈락토사민 투여로 감소하였으나, 논각 추출물 급여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간조직의 글루타티올 함량은 녹각추출물 급여로 유의적 변동이 없었으며 갈락토사민 투여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의 녹각 추출물 급여군에서 감소하고 특히 water-ext.군에서 감소정도가 가장 현저하였다. 간조직중의 총 지방질, 총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의 녹각추출물 급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water-ext.군에서 가장 많이 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녹각의 water-ext.과 neutral-ext.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 간기능 유지에 관여하는 효소합성 증가를 통해 활성증가를 유도하고, 이로써 독성의 대사를 촉진시키므로 간독성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은 녹각추출물의 작용이 생체에 흡수되어진 xenobiotics의 해독작용과 연관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00.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골계 난백 lysozyme의 용균활성은 Bacillus sp. TA-11를 50℃에서 18시간 정치배양한 대수기 후기의 세포에 대하여 가장 높았고, lysozyme의 농도는 0.25%가 최적이었다. 또한 lysozyme의 최적반은 pH와 온도는 각각 4.5와 35℃였다. 일반 난백 lysozyme의 용균활성은 시험균주를 24시간 배양한 정지기의 세포에 대하여 가장 높았고 lysozyme의 최적 농도는 0.5%였으며 반응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5.5과 40℃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