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7

        281.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태관광 개발과 지속적인 발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주민참여 부분에 대한 연구로서 지역 생태관광 개발에 있어 우선 고려되어야 할 주민참여 방법과 선행 해결과제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는 국내 산촌지역으로 자연환경이 우수하고 접근성이 좋아 개발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선정하여 현지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장기 부재중인 주민을 제외하고 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90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지역주민들은 생태관광 개발에 대해 긍정적이며, 관광개발계획 수립단계부터 적극적인 참여를 원했다. 또한 생태관광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자연환경보전을 전제로 한 지역경제 및 개인소득의 증대로서 이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관련 법 제도적 정비와 함께 지역주민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4,000원
        282.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th the help of KLTER/ME and KLPS in Woraksan, we have surveyed monthly diversity and seasonal prevalence of Macrolepidoptera in Wol-ak-san [Mt.], Jecheon for the period of five months from May to September since 2005. In 2007, to reduce variation, we chose two monitoring points from each of three representative vegetations in the area: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formations, abbreviated as QM, QV and PD, respectively, and collected exclusively larger moths with bucket-type of light traps for quantified survey. As a result, 1) QM and QV showed the much higher species diversity than PD; 2) in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QM was the highest, almost twice that of QV, and nearly 8 times that of PD; 3) in Noctuidae and Geometridae collected, QM was the highest, while in Pyralidae and Arctiidae collected, QV was the highest; 4) June was the highest in species diversity, then July was a deep drop, probably due to a storm occurred in July; 5) the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may not be a good indicator as one species may be dominant too much in number of individuals: e.g., Idaea biselata collected in QM in June was over 200, changing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s per species to 6.92, which more than twice that of all other sites per month.
        28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훼손되지 않은 천연보호림인 점봉산의 고도 1,000미터 지점의 이웃한 남북사면의 서식처 환경차이에 따른 날개응애의 군집구조를 분석을 통한 생태계 구조를 이해함을 목적으로 1994년 5월부터 1996년 8월까지 매월 조사를 수행하였다. 두 조사지에서 채집, 동정한 날개응애의 종수및 개체수 비교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t-test, p〈0.05), 북사면의 평균 밀도와 종수는 99.2±17.6, 24.7±3.0이고 남사면에서는 234.2±62.6, 40.8±5.8였다. 종다양도는 남사면이 3.09±0.11로 북사면 2.71±0.13보다 높게 나타났다. 날개응애의 개체군 크기를 전체 밀도에 대한각종의 밀도 백분율로 구하여 우점종, 중세종 그리고 약세종으로 나누어 나타내었고, O. nova와 Suctobelbella naginata가 조사지 모두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Trichogalumna nipponica는 남사면에서는 우점종이었으나, 북사면에서는 채집이 되지 않는 종이다. 두 조사지의 우점종의 먹이 습성은 토양미생물을 섭식하는 식균성(microphytophagous) 이었다. 고도 1,000미터 지점으로 서로 이웃한 남/북사면 조사지에서 종수 및 개체수, 우점종 구성이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조사지별 유사도가 낮게 나타나 미소환경의 이질성이 날개응애 군집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8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monitored the butterfly community dynamics from March to October for the three years (2002, 2003, 2004). The study areas were consisted of the five sectors with pine forest (Pinus rigida) and mixed oak forests at Mt. Midong in Chungwongun, Chungchungbu
        4,000원
        288.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resources vascular plants of North-East slope in Mt. Songni (1,057.7 m). This work was investigated during the period of April to October 2006. Resources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79 families, 215 genera, 296 species, 4 subspecies, 33 varieties and 6 formae, totaling 339 taxa. Among the investigated resources plants, 15 taxa (2.63%) were Korean endemic species. The special plants based on floral region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38 taxa; V rank species 2 taxa, IV rank species 2 taxa, III rank species 10 taxa, II rank species 10 taxa and I rank species 14 taxa. A naturalized plants were 8 species, correspond to 2.74% of totaling 292 naturalized species appeared in South Korea.
        4,600원
        289.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regeneration of Abies koreana, we examined environmental conditions on Mt. Halla. In three seedbed types (Sasa site, shade by rock, forest floor), we investigated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content. Stratified A. koreana seeds were placed on each seedbed types and counted germinated seedlings. Snow cover period in north-facing slope, 102±17 day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southfacing slope, 94±14 days. Average temperature of May to July, the period of seed germin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forest floor than around rocks and under Sasa quelpaertensis. Germination rate of on each seedbed types was not differ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per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 koreana's regeneration may be affected on more complex factors.
        4,000원
        290.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운문산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한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3과 235속 338종 3아종 54변종 12품종 총 407분류군으로 동정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산작약과 솔나리 2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참개별꽃, 진범, 할미밀망, 털둥근이질풀, 자주꿩의다리 등을 포함한 13과 19속 15종 4변종 2품종 총 2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고란초, 승마, 산작약, 솔나리, 천마 등 35과 50속 51종 4변종 총 5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4과 10속 9종 1변종 총 10분류군이며 도시화지수(U.I) 및 귀화율(N.I)은 3.51%, 2.46%이다. 생활형조성은 H-R5-D4-e type으로 나타났다.
        5,100원
        291.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충청남도 가야산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06년 4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100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던바 가야산의 산림식생은 소나무군락군 유형, 층층나무군락군 유형, 인공식재림 유형으로 대별되었다. 소나무군락군은 철쭉군락, 갯버들군락, 합다리나무군락, 소나무전형군락으로 분류되어졌으며, 철쭉군락은 돌양지꽃군(소사나무소군과 대나물소군으로 세분됨)과 철쭉전형군으로 세분되었다. 층층나무군락군은 헛개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명자순군락, 층층나무전형군락으로 세분되었다. 인공식재림 유형은 일본잎갈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밤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조사지역의 식생유형은 3개 군락군, 11개 군락, 2개 군, 2개 소군으로 분류되었고, 총 13개의 식생단위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소사나무소군과 합다리나무군락은 한반도 산림분포대 및 식생체계의 정립시 난대림 유형과 그 분포지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식생단위로 보이며. 헛개나무군락은 중요한 유전자원으로 보호 관리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4,200원
        292.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장산의 현존식생과 입지환경을 고려한 식생조사구 총 114개소를 설치하여 식생구조를 분석한 결과 산지림유형, 계곡림유형, 인공림유형의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총 23개의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식생 분포는 사면상부와 능선부에 신갈나무군락이, 남사면에는 소나무군락과 굴참나무군락이 각각 분포하였으며, 신갈나무군락의 점유 면적이 34,213ha로 전체 면적의 31.9%로 가장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고 계곡림은 좁은 면적에 매우 많은 군락들로 구성되어 있
        4,200원
        293.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및 주변 약 270km2의 면적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1998년 11월(늦가을)에서 2001년 3월(이른 봄)사이에 이루어졌으며, 2006년 11월에서 2007년 1월사이에 추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1,444마리가 확인되어 1km2당 5.33마리의 노루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돈내코 등산코스 주변에서 270마리로 가장 많았고 제 2횡단도로 주변이 12마리로 가장 적게 관찰되었다. 노루집단의 관찰빈도는 한라산국립공원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겨울철 한라산노루의 분포는 인위적인 간섭보다 먹이의 양과 질에 영향을 더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94.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 식물군집 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4개의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은 28~52년 된 식생으로 TWINSPAN과 평균상대우점치 분석결과 먼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종가시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때죽나무군집 등 총 7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상대우점치와 흉직경급별분포 분석결과 동백동산은 교목층에서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이었다. 먼나무군집과 종가시나무-때쭉나무군집은 교목층이 훼손된 식생이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종인 6개 군집은 0.8745~1.3018이었으며, 먼나무군집이 0.7619로 가장 낮았다. 7개의 군집 모두에서 제주도 상록활엽수림의 전형적인 아교목 및 관목성상 수종인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먼나무, 마삭줄, 백량금 등이 출현하였다. 또한 조사구내 난대기후대의 극상수종으로 추정되는 육박나무, 생달나무 및 참식나무가 출현하였으며 생달나무의 상재도는 80%이상이었다.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은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혼생하는 식생으로 그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이며, 천이방향은 상록활엽수림의 극상수종으로 보고되고 있는 육박나무, 참식나무 등의 세력 이 약하며 하층에 동백나무의 세력이 강하여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였다.
        4,200원
        295.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라산 어리목에서 채집된 개미상은 2아과 9속 21종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에 Camponotus amamianus Terayama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새롭게 추가되며, Lasius hayashi(하야시털개미), L. umbratus(황털개미), Myrmica kasczenkoi(카스코쟁코뿔개미), M. kurokii(쿠로키뿔개미)는 제주도 미기록종으로 추가한다. 그리고 이전에 채집된 한라산 표본들을 추가하여 목록을 정리하였다.
        4,000원
        296.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설악 전나무림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산림 생태계 이해방식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조사는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수행된 것으로 일종의 중간보고서로 작성하였다. 임분의 수직구조 위주로 조사하였으며 비록 내설악 전나무림에 한정된 것이기는 하나 고전 천이론 보다는 Stand dynamic이 산림생태계를 설명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98.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라산 돈내코계곡의 산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2006년에 해발 200m에서 1,350m 구간까지 15개소에서 식생을 조사하였다. TWINSPAN분석결과, 구실잣밤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붉가시나무군집, 혼효림, 서어나무-졸참나무군집, 낙엽활엽수림 등 5개의 식물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산림군집의 수직적 분포를 살펴본 결과, 돈내코계곡에서 출현한 상록활엽수는 총 22종류로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조록나무,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제주광나무, 꽝꽝나무, 굴거리나무 등이었다. 상록활엽수 중 구실잣밤나무는 해발 200m부근부터 해발 350m부근까지, 구실잣밤나무와 붉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림은 해발 400m부근부터 해발 600m부근까지, 붉가시나무는 해발 650m부근부터 해발 700m부근까지 우점하고 있었으며, 꽝꽝나무, 굴거리나무, 보리장나무 등은 1,350m부근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4,000원
        299.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연성 정도를 달리한 산악조망경관에 있어 각 공간별 형태적 특성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 및 시각 선호도를 구명하여 차후 공원관리 및 설계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상에서 촬영한 사진자료를 평가매체로 하여 자연도에 따른 이미지와 선호도를 조사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호도 평가치는 자연성 정도 및 포장의 재료특성 등의 영향으로 정상부로 향할수록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변 이미지 평가는 아름답고 매력 있으며, 깨끗한 이미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인자분석 결과 4개의 인자군은 각각 「경관매력도인자」, 「공간스케일인자」, 「자연성인자」, 「지형지세 인자」라고 명명 분류되었으며 전체 변량중 이들 인자군의 설명력은 57.6%이었다. 자연도와 명명 인자별 관계에서 각 공간별 인자점수의 평균치 변화 결과 자연도가 증가하면 할수록 경관매력도차원의 인자점수 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미적 인 감각과 시설물의 수에 상관성이 있을 것이란 판단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각선호도 모형 분석 결과 경관매력도차원의 인자가 시각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00.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방형구(2,000m2) 28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개서어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지역에서 물참나무와 졸참나무, 신갈나무가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개서어나무와 대팻집나무, 비목, 신갈나무, 말채나무와 섬노린재나무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고로쇠나무와 까치박달나무, 물참나무, 대팻집나무와 비목, 신갈나무, 분비나무와 산벚나무, 음나무, 주목과 섬노린재나무는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종다양성 지수는 0.771로 다른 국립공원들의 식생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