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2

        281.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changes in quality during storage of cooki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these are functional foods. We chose the quantity of pine needle powder (0%, 3%, 6%, or 9%, by weight) and storage time (1 day, 3 days, or 5 day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ducted sensory tests, measured chromaticity, and investigated physical properties. Differences in sweetness (p
        282.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V-C 조사가 고춧가루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변화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고춧가루에 UV-C 조사를 27, 54, 으로 처리한 후 에서 4 주간 저장하였다. UV-C 조사에 의해 고춧가루에 존재하는 오염된 미생물 수의 감소는 호기성 세균과 B. cereus에서 대조구 대비 각각 1.03, 0.90 log CFU/g 감소하였으며, 4주 저장기간 동안 초기 감균 효과를 유지하였다. UV-C 조사된 시료의 Hunter L, a, b 값
        283.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의 저장 유통시키는 기존 방식을 개선키 위한 기초 연구로 표면 세척을 한 인삼의 저장 중에 품질변화를 세척 살균수로 저온 냉각수(), 전해수(pH 8.0-8.5, HClO 80 ppm), 이산화 염소수(5 ppm)를 사용하여 품질특성을 비교 하였다. 경도 분석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연화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처리 후 저장 조건의 CT-10 처리구의 경우 15일 경과 후에 급격히 표면의 경도 저하 현상이 나타났으며, 저장온도에서
        284.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관행, 저농약 및 유기농 재배한 참다래 과실의 저온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경도는 저장초기 심하게 감소한 다음 연화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연화 속도는 유기농 과실에서 다소 빨랐다. 당도는 저장 중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산함량은 감소하였고, pH는 변화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전분함량이 감소하면서 저장초기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농 과실은 저장 중 부패율이 관행재배나 저 농약재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병을 유기하는 병원
        285.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척시간과 세척방법에 따라 처리한 상추의 세척효과와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척시간 설정을 위한 실험을 통해 마이크로버블로 1, 3, 5분간 세척하여 미생물변화, 관능검사, 세척된 정도를 측정한 결과 5분간 처리한 시료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세척방법에 따라 전처리한 상추의 미생물 변화는 세척처리 한 직후 무세척(CT)구는 4.30 log CFU/g, 손세척(HW)구는 4.10 log CFU
        287.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순의 포장재에 따른 저장기간 중 품질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PET 포장재는 통기구멍의 유무에 따라 PO 및 PC 포장재를 사용하였고, 방담OPP film은 산소투과도에 따라 LO, LM 및 LH 포장재를 이용하였다. 포장 내 가스 조성의 경우 PO 포장재에서는 비교적 높은 농도와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중량감소율은 PO 포장재 경우 가장 높았으며, 가용성고형분의 함량은 PO 포장재의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
        288.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수에 생리활성기능이 뛰어난 스피루리나를 0%, 0.63%, 1.25%, 2.5%가 되도록 첨가하여 복합분으로 생면을 제조.포장하여 냉장() 저장고에서 10일간 저장 하면서 저장일에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변화를 측정하여 제면특성, 관능적 특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능성 국수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생면의 저장 중 총균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스피루리나 첨가구가 대조구에
        289.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uk, a traditional Korean rice cake, to which Spirulina (0, 1, 2, 3%, all w/w) was added. Moisture content of Spirulina-containing Garaeduk both before and after cooking increased with Spirulina level. During storage, moisture content was greater in Spirulina-containing cakes compared with control cakes, and the Hunter color L and b values of Spirulina-containing cakes decreased. Textural properties (hardness, chewiness), measured using a texture analyzer, of Spirulina-containing cakes were greater than those of control. During storage, hardness and chewiness of Spirulina-containing cakes remained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cak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pirulina-containing cakes increased with Spirulina content, owing to increased phycocyanin levels. Amylography showed that peak viscosity, and thus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Spirulina-containing Garaeduk cakes were similar. Sensory preference tests revealed that Garaeduk with 2% Spirulina had the highest scores for color, odor,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It is suggested that Spirulina to 2% can be added to Garaeduk to improve quality.
        290.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규산 시용에 따른 수량 및 미질 관련해서는 많이 보고되고 있지만 도정 특성과 관련된 보고와 특히 저장관련 자료가 거의 없어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서는 규산 시용구에서 수수 및 영화수가 증가하였으며, 등숙비율도 2%이상 증가하여 완전미 수량은 7.7~9.5% 정도 증가하였다. 2. 미질 특성의 이화학적 성분 함량은 규산시용에 따라 단백질 함량은 0.2~0.3% 감소하였으며, 쌀의 외관상 품위 변화는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분상질립 및 피해립율이 감소되면서 완전미의 비율이 규산 무시용(83.2%)에 비해 규산 1배 시용시 85.6%, 1.5배 시용시 86.4%, 2배 시용시 88.7%로 높아지는 효과가 있었다. 3. 규산을 시용함에 따른 색체 선별율은 4.2~7.2% 향상되었고, 색미율은 5.5~16.6% 낮아져 완전미 도정수율은 5.5~8.6% 향상되었다. 4. 규산 시용에 따른 저장성 변화에 있어서 지방산도는 저온 저장(15℃ )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큰 변화는 없었으나, 상온저장에서는 6월 이후 증가하여 노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었다. 5. 쌀의 pH에 의한 최상위 등급 비율은 저온 저장에서는 9월 이후부터 낮아지는 경향이나, 상온 저장에서는 6월부터 급격히 낮아져 신선도가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저온과 상온 저장 모두 규산 시용구에서 쌀의 신선도가 무시용구에 비하여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었다.
        291.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V-C 조사가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수입 건어포류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변화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UV-C 조사량은 5, 10, 으로 처리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조사시간은 5분 33초, 11분 6초, 22분 12초를 사용하였다. UV-C 조사에 의한 건어포류에 존재하는 오염된 미생물의 감소는 처리에서, 쥐포는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에서 각각 0.82, 1.23 log CFU/g, 문어포는 각각 1.20, 1.01 lo
        292.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울릉미역취의 저장기간 연장을 위한 MAP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포장재질과 저장온도가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울릉미역취를 6월경에 수확하여 PP, Antifogging-OPP, LDPE, Macroperforated-HDPE, Nylon/PE, PVC/PE 재질의 필름으로 밀봉포장하고 4, 10, 에서 저장하면서 포장내의 기체 농도와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장온도 에서 포장 내의 산소 농도를 비교해보면 PP와 A-
        293.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의 보존기한 연장 및 미생물학적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적숙기의 포도에 1 kGy의 감마선 조사를 실시한 다음, 와 의 저장조건에서 6주간 저장하면서 포도의 일반적인 품질특성 및 관능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포도에 대한 1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총당, pH, 적정산도, 안토시아닌 함량 등의 일반 품질 특성변화는 나타나지지 않았으며, 미생물분석 결과 포도의 초기 오염미생물을 약 단위() 감소시키는 미생물 제어 효과
        29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grains were stored extreme condition, high temperature (40℃) and high relative humidity (> 95%), for 7 weeks. The extreme storage condition accelerated deterioration of seed viability based on germination percentage and seedling growth. Seed germination percentage was continuously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The percentage was dramatically reduced at 4th week. During the deterioration of seed, seed chemical properties were also changed. Sugars content, however, showed no large changes in content. The most conspicuous change was observed in electric conductivity by seed leachate. EC changes precisely reflect the seed viability change during storage. Although lipid peroxidation measured by TBA test was increased as storage period increased, the peroxidation did not show great change as much as EC change. Water activity of seeds was dramatically decreased until 2 week after storage then the activity was stable until 5 weeks after storage at which microbial contamination occurred. Isoflavone content was decrease at 3rd week, the content was reduced by 18 % at 7th week as compared to control. Proteom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several changes in polypeptide profile in imbibed axis during storage under unfavorable conditions.
        295.
        200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총각김치의 신선도표시계 개발을 위하여 총각김치를 제조한 후 에서 저장하면서 총각김치의 발효 중 pH, 총산도, 총균수, 젖산균수, 환원당 측정 및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모든 저장 온도에서 pH는 약간 증가하다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까지 낮아졌고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속도가 빨랐다. 총산도는 에서 1일, 에서 5일, 에서 7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저장 온도 에서 4일, 에서 10일, 에서 30일
        29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 has been used as the immature fruit of the trifoliate orange tre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nge of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 depending on packing materials (vacuum packing, PP (polypropylene) packing, gunny sack packing), storage places and storage periods up to 12 months. The change of loss on drying content, content of poncirin were measured during the 12 months. As a result, the loss on drying content was decreased rapidly in gunny sack packing after storage of 12 months at room temperature. The content of poncirin was decreased generally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and its average loss percent was 38.8%.
        297.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미저장 중 저장온도에 따른 쌀과 밥의 품질변화를 구명하고자 추청벼 등 14품종의 현미를 15℃ 와 35℃ 에 10주간 저장 후 현미 및 백미, 밥의 품질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1. 15℃ 저장이 35℃ 에 비하여 현미의 Tz값이 높아 배아 활성 정도가 높았으며 도정 후 백미 완전미율이 높아 15℃ 저장 쌀의 품질이 양호하였다. 2. 35℃ 에 비하여 15℃ 에 저장한 현미에서 쌀밥의 윤기치는 높았으나, 밥 색도 b 값, 밥 경도, 호화점도(최종점도, 강하점도)가 낮아 밥의 품질이 우수하였다. 3. 밥 색도 b값은 조생종이 중.만생종에 비하여 높았고, 밥 경도는 조생종이 낮았으며, 저장 현미의 도정 후 백미 완전미율은 15℃ 에서 78%, 35℃ 에서 70%이었으며 35℃ 에서 화성벼, 추청벼, 남평벼는 82%이상을 나타냈다. 4. 15℃ 저장에서 밥 색도 b값은 pH와 -0.693**, 윤기치와 -0.823**, L값과 -0.772**, 지방산도와 -0.548* , 백미 완전미율과 -0.576* , L값과 -0.772**, a값과 0.557* 의 유의성을 나타냈으며, 백미 완전미율은 밥색도 L값과 0.638* , 밥색도 b값과 -0.576* 의 유의성을 나타냈다.
        298.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봉감귤의 Si+CaO 혼합필름포장과 LDPE 필름포장에 따른 저장 중에 품질변화를 검토하였다. 과육율은 포장처리와 무처리에서 로 저장기간에 따른 한라봉과 M16A의 과육율의 변화가 없었으며, 무처리에서 저장 후기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경도는 M16A가 한라봉보다 100 g-force 정도 높은 값을 보였으며, 포장재처리에 따른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가용성고형물은 한라봉과 M16A 모두 Brix였으며, 무포장처리에서 저장 후기에 약간의
        299.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염양파오곡된장(DFO)의 품질과 저장특성을 조사하였다. DFO는 양파분말(3%)과 소금(8%)을 혼합한 대두코지분말에 쌀, 보리, 차기장 및 차조분말을 등량으로 혼합, 증자하여 범위로 섞어 숙성시켰다. 저장은 polypropylene 튜브에 250 g씩 진공 포장한 후 에서 30분간 살균하였다. 발효와 저장은 에서 각각 60일간 행하였으며, 대조구 된장(GD)은 염도 16%의 대두된장으로 살균하지 않고 plastic 용기에 담아 저장하였다.
        300.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장기저장이 가능한 김치제조를 위해 사용된 20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된 김치와 동결건조된 김치의 미생물학적,조직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김치의 총균수는 감마선조사 후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나 동결 건조된 김치는 비조사 대조구에 비해 1 log 수준의 미생물 감소를 나타내었다. 감마선조사 김치의 경도는 동결건조 후 재수화된 김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자현미경을 통한 김치 조직 관찰 결과 동결건조 후 복원된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