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65

        28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entive spirometry and Ujjayi breathing technique on the pulmonary function of smokers. Subjects were individuals who had a smoking habit of at least a year.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the incentive spirometry group (n=8), Ujjayi breathing technique (n=9), and a group applying both incentive spirometry as well as Ujjayi breathing technique (n=8). Each intervention was performed twice a day, 5 times a week, for a total of 8 weeks whereupon the change in pulmonary function was evaluated. A spirometer was used to measure FVC, FEV1, and FEV1/FVC. The survey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the Fagerström Test of Nicotine Dependence (FTND) and the Shortness of Breath Questionnaire (SOBQ). Study results for the comparison within groups showed that in the group that performed both the incentive spirometry and Ujjayi breathing technique, FEV1 improv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Furthermore, within this comparison the FEV1/FVC improv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ison amongst the group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Following, to effectively increase pulmonary function in young adult smokers, both incentive spirometry and Ujjayi breathing technique should be employed together.
        4,000원
        28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fatigue and stress in seafarers. Ninety healthy adults were recruited and cumulative fatigue, stress index and stress resistance of seafarers were measured using autonomic nervous system analysis device (SA-6000; Medicoa Co. Ltd. Korea). The stress index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resistance (p<.01). Cumulative fatigue and the stress index ha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781) with the stress resistance, cumulative fatigue ha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r=.782) (p<0.01). Furthermore, the stress index ha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resistance (r=.924) (p<.01).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umulative fatigue and stress index, cumulative fatigue and stress resistance, as well as stress index and stress resistance in the seafarers (p<.01).
        4,000원
        28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자녀의 양안시기능에 대한 인식 현항을 파악하여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시기능 이상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2016년 4월부터 12월까지 근시를 가지고 있는 경기도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굴절 이상, 양 안 감각 기능, 시기능 검사를 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학생들이 양안시 할 때 느끼는 자각적 증상과 보호자의 자녀 시각적 상태 및 시기능 훈련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학생 72명 가운데 19명(26%)이 안경을 착용하고 물체가 때때로 두개로 보이거나 흐리게 보이는 시 기능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었으나, 19명의 학생 보호자 가운데 시기능 처치를 받거나 시기능 훈련 프로그램 은 권유한 보호자는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호자의 시기능 훈련에 대한 전반적인 설문 결과 보 호자의 60명(83%)은 자녀가 시기능 이상 증상을 호소할 경우 자녀에게 양안 시기능 이상 처치를 받거나 시 기능 훈련 프로그램을 권유하지 않겠다고 응답하였다. 시기능 훈련에 대해서는 보호자의 11명(15%)이 알고 있었고, 보호자의 62명(86%)이 시기능 훈련이 학습장애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하였으나, 자녀의 학교에서 시 기능 훈련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은 적이 있다고 대답한 보호자는 2명(3%)이었고, 시기능 훈련에 대해 보호 자의 46명(64%)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학생이 시기능 이상을 가지고 있어도 처치를 받거나 시기능 훈련프로그램을 권유한 보호자가 한명 도 없다는 것은 보호자가 시기능 이상에 대한 개념 이 부족하고 시기능 이상 처치에 대한 중요성을 모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보호자는 시기능 훈련이 자녀의 학습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 으나 시기능 훈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기회가 거의 없어 시기능과 시기능 훈련에 대한 인식도가 매우 낮 은 것으로 사료되는 바,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시기능 이상과 시기능 훈련에 대한 교육과 정보제공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4,500원
        28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주간의 동계훈련기간 중 산수유 추출물을 섭취시켜 간 기능, 근 손상 및 혈중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중 축구선수 20명을 대상으로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10 명), 동계훈련군(1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동계훈련은 1일 오전, 오후, 야간운동으로 구분하여 주 6 일, 4주간 실시되었으며, 운동강도는 70-95%HRR로 수행되었다. 산수유 추출물은 매일 아침과 저녁 식사 후 각각 80 mL(1일 160mL)를 4주간 섭취시켰으며,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변화율을 산출 한 뒤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혈중 피로물질의 젖산은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동계훈련군 보다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암모니아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p<.05), 동계훈련군(p<.001)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근 손상지표의 CK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LDH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p<.001), 동계훈련군(p<.05)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간 기능 효소 중 AST(p<.01), ALT(p<.05)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AST는 동계훈련군 보다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계 훈련 시 피로에 쉽게 노출 될 수 있는 선수들에게 있어 산수유 추출물 섭취는 항피로의 역할을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28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구등에 오염된 E. coli와 S. aureus를 제어 하기 위해 이산화염소의 농도별 접촉시간에 따른 살균소 독력을 평가하여 살균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E. coli의 경우 초기균수가 9.13 log CFU/mL이었고, 청정조건에서 5 ppm으로 1분, 3분, 5분 처리한 결과 각각 0.04, 0.07, 0.10 log CFU/mL의 감소값을 나타내었다. 20 ppm을 처리한 결 과 각각 0.74, 0.79, 0.84 log CFU/mL의 감소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CCD에 의한 최대농도 35 ppm으로 처리한 결과 각각 2.49, 2.70, 3.65 log CFU/mL의 감소값을 나타내었다. S. aureus의 경우 초기균수가 8.70 log CFU/mL이었고, 청정조건에서 5 ppm으로 1분, 3분, 5분 처리한 결과 각각 0.14, 0.28, 0.36 log CFU/mL의 감소값을 나타내었다. 20 ppm을 처리한 결과 각각 0.66, 0.79, 0.90 log CFU/mL의 감소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CCD에 의한 최대농도 35 ppm 으로 처리한 결과 각각 4.59, 5.25, 5.81 log CFU/mL의 감소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산화염소의 살균소독력 평 가결과는 E. coli와 S. aureus에 대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 살균소독력 기준에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균 예측모델의 경우, R2값이 모두 0.98 이상으로 두 균주에 대해 모두 높은 적합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산화염소의 살균예측모델을 식품산업 적용을 위한 기초자 료로 활용함으로써 E. coli와 S. aureus를 적절한 농도와 접촉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8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numerous errors already revealed in Shuo Wen Jie Zi by Xu Shen in Eastern Han dynasty, it is still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 studies. This study utilizes tools, such as mathematical functions, set and logic, to look into Shuo Wen Jie Zi from a new perspective. Through this approach, one can get a macro-scale tendency or trend. At the same time, one can pin-point numerous micro-scale errors. This study firstly defines functions that constitute the framework, and then processes the entire data set within Shuo Wen Jie Zi, addressing the topics associated with it.
        5,400원
        28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s focuses on remanufacturing processes in a closed loop supply chain. The remanufacturing processe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ffective strategies for enterprises’ sustainability. For this reason, a lot of companies have attempted to apply remanufacturing related methods to their manufacturing processes. While many research studies focused on the return rate for remanufacturing parts as a control parameter, the relationship with demand certainties has been studied less comparatively. This paper considers a closed loop supply chain environment with remanufacturing processes, where highly fluctuating demands are embedded. While other research studies capture uncertainties using probability theories, highly fluctuating demands are modeled using a fuzzy logic based ambiguity based modeling framework.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manufacturing have been limited in solving the actual supply chain management situation and issues by analyzing the various situations and variables constituting the supply chain model in a linear relationship.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s consider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 and demand is nonlinear. In order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demand and price, a new price elasticity of demand is modeled using a fuzzy based nonlinear function and analyzed. This papers contributes to setup and to provide an effective price strategy reflecting highly demand uncertainties in the closed loop supply chain management with remanufacturing processes. Also, this papers present various procedures and analytical methods for constructing accurate parameter and membership functions that deal with extended uncertainty through fuzzy logic system based modeling rather than existing probability distribution based uncertainty modeling.
        4,000원
        28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작업치료중재를 통한 유방암 환자의 신체기능과 근 활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칭, 치료적 활동 및 일상생활활동으로 구성된 작업 치료중재 프로그램을 40분씩 주 2회 총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신체기능은 한국판 간이 피로 평가지 (Korean version of Brief Fatigue Inventory; BFI-K), 기본 호흡곤란 지표(Baseline Dyspnea Index; BDI)를, 근 활성도는 surface Electromyoghraphic (sEMG)를, 그리고 암 치료 관련 기능적 평가 - 유방 암(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Breast; FACT-B)를 통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결과 : 신체기능에서 피로도와 호흡곤란 정도는 감소하였으며(p<.01), 근 활성도는 앞쪽․중간 어깨세모근, 큰가슴 근의 복장갈비머리 부분, 가시아래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삶의 질은 총점과 하위 영역 중 Physical Well-Being(PWB), Functional Well-Being(FWB), Breast Cancer Subscale(BCS)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01). 결론 : 중재 후 신체기능과 근 활성도, 삶의 질 모두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이는 작업치료 중재가 유방절제 술 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28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직업재활을 위한 직무기능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장애인의 손 기능, 인지기능, 사 회적 기술, 직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손 기능, 인지기능, 사회적 기술이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진 실험 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의 전후-검사 통제 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주 3회 50분씩, 12주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비교를 위해 손 기능은 핀치 게이지(pinch gauge)와 퍼듀페그보드(Purdue pegboard)를, 인지기능은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평가(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를, 사회성 기술 평정 척도(Social Skills Rating Scale; SSRS)를, 직무능력은 직업인성 프로파일(work personality profile)을 사용하였다. 결과 : 직업재활을 위한 직무기능 강화 프로그램은 실험군의 손 기능, 인지기능, 사회적 기술, 직무능력을 향상시켰고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적장애인의 직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인지 기능과 사회적 기술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직무기능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직업재활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 및 효용성을 확인하였기에 취업이나 구직을 원하는 지적장애인의 직무기능을 강화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4,900원
        29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의 중재 목적, 방법 그리고 결과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작업치료 사들에게 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전동휠체어 급여제도 개선을 위해 전동휠체어 착석기능의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7년 이후부터 2016년까지 데이터베이스 ScienceDirect, ProQuest에서 주요검색어 “Power wheelchair user” OR “Handicapped with people” AND “Tilt-in-space” OR “Backrest recline” OR “Elevating legrest” OR “Seat elevator” OR “Power Seat Function(PSF)”을 사용하여 최종적으 로 14개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은 휠체어 내에서의 편안함, 착석압력 감소 및 휠체어 사용자들의 안정적인 일 상생활수행을 위해 중재되었다. 중재 목적에 따라 틸팅과 등받이 리클라인의 각도 조합이 달라지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전동휠체어 착석기능 중 틸트와 등받이 리클라인은 자세조절을 스스로 할 수 없는 휠체 어 사용자의 엉덩뼈 및 꼬리뼈에 가해지는 착석압력 감소에 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전동휠체어 착석기능 중재 목적, 방법 그리고 결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착 석기능에 대한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추후에는 다양한 환경에 속한 여러 대상자들에게 중재를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가 사용자의 사회참여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작업치료적 관점의 연 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
        292.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bdominal bracing exercise (ABE) and abdominal hollowing exercise (AHE) improve the lumbar flexibility and pulmonary function in various patients, yet the efficacy of ABE or AHE have not yet been evaluated.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umbar flexibility and pulmonary function during both ABE and AHE in healthy adults. Methods: The study included 40 healthy adults, wh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with 20 subjects. All subjects performed ABE (experimental group) and AHE (control group). The lumbar flexibility such as trunk flexion test (sitting and standing position) and schober test and pulmonary function such as the spirometer including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and chest circumference measurement (middle and lower chest) were measured, respectively. Two-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compare the lumbar flexibility and pulmonary function, respectively. Results: No significant effects of lumbar flexibility were observed on trunk flexion test from the sitting position (P=.478) and standing position (P=.096) in the ABE than in the AHE. However, the length of ABE was longer significantly than it of AHE (P=.024). No significant effects of lung function were observed on the FVC (P=.410) and FEV1 (P=.072) in the ABE group than in the AHE group. And also, no significant effects of chest circumference measurement were observed on the inspiration (P=.468) and expiration (P=.563) in middle chest circumference and inspiration (P=.104) and expiration (P=.346) in lower chest circumference.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BE is only more effective in lumbar flexibility by lumbar length difference than AHE in healthy adults.
        4,000원
        29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9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ntinus tigrinus (L. tigrinus), a white-rot fungus that grows naturally on rotten hardwood during spring and summer in China, is an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 containing a valuable combination of nutrients including high amino acid concentrations and low sugar levels. However, no reports have isolated and characterized FIP genes from L. tigrinus to date. In our study, two novel fungal immunomodulatory proteins (FIPs) from Lentinus tigrinus were identified and named Fip-lti1 and Fip-lti2. The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Fip-lti1 and Fip-lti2 were compared to a well-known FIP (LZ-8 from Ganoderma lucidu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ip-lti1 and Fip-lti2 expression on Concanavalin A (ConA)-induced liver injury. Both Fip-lti1 and Fip-lti2 protected livers from ConA-induced necrosis, as evidenced by decreased serum aminotransferase levels (AST, ALT) and relieved liver histology.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1β, and IL-6) and oxidative stress (SOD, MDA) were shown to be reduced by expressing Fip-lti1 and Fip-lti2. In addition,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Fip-lti1, Fip-lti2, and LZ-8 correlated with ameliorating the imbalance of Th1/Th2 (IFN-γ/IL-4). The observed liver protection of Fip-lti1 and Fip-lti2 was mechanistically explored. Treatments with Fip-lti1 and Fip-lti2 regulated GATA3/T-bet expression, activated the decreased Nrf-2/HO-1 pathway, and countered the upregulated NLRP3/ASC/NF-κBp65 signaling in ConA-stimulated liver injury. In conclusion, we identified two fungal proteins (Fip-lti1 and Fip-lti2) that can protect liver from ConA-induced liver injury.
        298.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joint mobilization with respiratory muscle taping on pulmonary function and chest expansion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hirty subjects (n=30)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 joint mobilization group (n=10), a respiratory muscle-taping group (n=10), and a joint mobilization with respiratory muscle-taping group (n=10). Measurements for pulmonary function and chest expansion were performe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A spir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pulmonary function, and a tape measure was used to assess the chest expansion. In the joint mobilization group, peak expiratory flow (PEF) was increase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upper and lower chest expansion were also increased. All of variables of respiratory muscle-taping group also were increased. FEV1 and FV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joint mobilization with respiratory muscle-taping and respiratory muscle-taping group.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mobilization with respiratory muscle taping increase the pulmonary function and chest expansion.
        4,000원
        299.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차즈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추출물이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방 법 : 실험은 안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고 등가구면 굴절이상이 –3.00D 이상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차즈기 추출물과 대조군인 위약(placebo)을 각각 복용하고, 그로부터 2시간 후에 스마트폰으로 근 거리 작업(VDT)을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시기능(폭주근점, 조절력, 조절용이성)은 차즈기 추출물과 위약 을 복용하기 전과 후 각각 검사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평균 폭주근점을 비교한 결과, 차즈기 추출물을 복용 했을 때는 –0.86 ±0.16 cm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위약을 복용했을 때는 +1.23±0.75 cm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평균 조절력을 변화를 비교한 결과, 차즈기 추출물을 복용했을 때는 우안 +1.80±2.66 D, 좌안 +1.58±2.54 D, 양안 +1.83± 2.53 D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고, 위약을 복용했을 때는 우안 -0.78±2.27 D, 좌안 -1.27±2.04 D, 양안 -0.84±1.30 D로 조절력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평균 양안 조절용이성 에서는 차즈기 추출물을 복용했을 때만 +1.27±2.41 cpm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결 론 : 차즈기 추출물을 이용한 검사에서 모양체근의 이완과 수축 작용에 도움을 주어 유의하게 폭주근 점 증가를 억제하고 조절력과 양안 조절용이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차즈기 추출물이 조절에 관여 하여 조절 기능 수행에 도움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4,000원
        300.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teracy skill is an essential element in promoting the educational outcome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variety of apps that are effective in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launched and are being used effectively. This study investigates literacy instruction app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future app development and educational application. 7 iOS-based apps, 7 android-based apps, 14 apps in total were analyzed, and assessed by program category, lear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criteria. In addition to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of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app selection were suggested.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