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2

        36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우에서 도축 전 혈청 호르몬 및 혈액 성분의 농도 변화가 거세우와 비거세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은 도축 2개월 전에서 수송 직전 사이에 cortisol과 creatinine이 증가하였고 calcium은 감소하였다. 수송 직전에 비해 수송 직후에는 IGF-1 농도가 감소하였으나 수송 직전에 비해 도축 시에는 IP농도가 감소했다. 혈청 호르몬 및 대사 물질들에서 도축 2개월 전, 수송 직전, 수송 직후 및 도축시 혈청들 간의 상관 관계는 도축 2개월
        4,200원
        36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정란이식의 현장 적용 측면을 중심으로, 한우 체외 수정란의 발생 단계, 일자 및 등급이 젖소 대리모에 이식 후 임신과 유산, 분만과 관련된 임신기간, 생시체중, 난산 및 쌍자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단자 및 쌍자 분만에 따른 임신기간, 생시체중, 성비 및 폐사율을 분석하였다. 발생 단계에 따른 임신율은 배반포 단계(64.4%), 유산율은 부화 배반포(HB) 단계(21.4%)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발생 일령에 따른 임신율은 7일령
        14,700원
        365.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년(5년간) 제주도에서 사육중인 제주 한우와 흑우를 체내 수정란의 생산과 수정란 이식 기술을 통하여 조기 증식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고등 등록우 286두와 흑우 경산우 69두(총 355두)에 대하여 발정 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내에 삽입 후 7일째부터 성선 자극 호르몬() 400 mg을 50 mg씩 균등하게 나누어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근육주사하였다. 투여 6회째에 CIDR를 제거하였으며, 동시에 25mg을 근육 주사하여 과배란을
        4,000원
        366.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투여에 의한 발정 동기화 방법이 한우의 혈청 수준, 발정 발현율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첫째로, 한우 미경산우에서 투여가 혈청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우 미경산우 10두 및 프리마틴 1두에 대하여 MGA를 1일 0.5 mg을 14일간 오전 배합 사료에 섞어 급여하였으며, 19일이 경과한 후에 25 mg을 투여하였다. MGA feeding 후 혈청 농도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MGA 급여 기간과 급여 종
        4,000원
        368.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 난포란의 체외 성숙은 과립막 세포, 난자의 핵성숙을 촉진하는 미지의 혈청내의 물질뿐만 아니라, 호르몬이나 생리 활성 인자 등에 의해 촉진됨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체외 성숙 및 체외 발달에 사용되는 배양액의 조성도 복합 배양액에서 단순 배양액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으며, 체내의 조건에 보다 더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우 난포란의 성숙 시 FGF의 첨가가 체외 성숙율 및 체외 수정 후 배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
        4,000원
        369.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MOET 기법에 의해 우수한 한우로부터 다수의 수정란을 회수하여 농가의 소에 이식하므로서 우수한 유전 자원을 확산시키고자 실시하였다. 80두의 우수 한우 공란우를 선발하여, 발정 확인 후 황체기에 성선 자극 호르몬()을 투여하는 기존의 과배란 처리법과 임의의 발정주기에 CIDR를 삽입하고 성선 자극 호르몬을 투여하는 새로운 과배란 처리법에 의한 수정란 생산 비교와 CIDR 삽입한 한우 공란우에서 성선 자극 호르몬 ()의 투여 용량의 차이 (3
        4,000원
        370.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산간지(표고 450m)에서 한우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으로 년(2년간) 남원 운봉에서 혼파조합별 식생비율의 변화, 건물 및 TDN 생산성, 채식량, 사료가치 등을 조사 및 분석 시험하였다. 한우방목 1년차는 주 초종의 비율이 감소하며, 오차드그라스 위주 혼파조합은 44.9%,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조합은 27.6%, 티머시 위주 혼파조합은 40.9%,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조합은 40.7% 감소하였다. 그
        4,000원
        37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우 종모우에 있어 정액 채취시 승가 조건(의빈우 혹은 의빈대)이 정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의빈우 승가 종모우 21두, 의빈대승가 종모우 9두 등 보증 종모우 30두를 공시하여 연구하였다. 정액은 일 간격으로 채취하였으며 채취 당일 1시간 간격으로 총 2회 정액 채취하여 6개월간 정액성상을 조사하였다. 의빈대 승가 종모우가 의빈우 승가 종모우보다 1차 및 2차 정자농도에 있어 유의적으로 높아(p<0.05) 1차 및 2차 총 정자수에서도
        4,000원
        372.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성체 유래 귀세포(Korean bovine ear skin fibroblasts, KbESF)와 태아 섬유아세포(Korean bovine fetal fibroblasts, KbFF)를 이용한 체세포 복제(SCNT) 시 세포종류, 배양기간 그리고 융합방법이 핵이식 수정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태아 섬유아세포는 임신 51일령의 한우태아에서 분리하였고, 귀세포는 28개월령의 성우의 귀에서 채취하였다. 세포는 15주 동안 체외에서 배양하며 체세포 핵이식(SCNT)에 공시하였다. 융합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챔버방법과 전극 바늘을 이용한 방법으로 핵과 세포질을 융합하였다. 세포의 doubling time은 KbFF에서 17.3시간, KbESF에서 24.3시간으로 나타났다. 핵이식 후 융합과 분할율은 needle 방법에서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각 각 76.1과 81.2%, P<0.05), 배반포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다. KbESF의 경우, 배반포 발달율은 passage 5~9(39.4%)와 13~15(40.4%)에서 passage 1~4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KbFF의 경우, 융합율은 passage 5~8과 13~15에서 각각 75.0 및 76.8%로 passage 1~4(61.5%)보다 높았으나, 난분할율과 배반포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SCNT 수정란의 발달은 융합 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계대배양 15회까지 장기배양을 한 경우는 복제수정란의 발육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7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를 공란우로 이용시 효율을 최대화하고, 과도한 호르몬의 투여를 억제하며, 그로 인하여 공란우의 경제수명을 연장하고자 과배란 처리시 차기 발정을 고려하지 않고 과배란을 유도하였을때 공란우의 반응과 수정란의 생산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자연발정을 확인하고 차기발정 5일전에 FSH를 1일 2회 4일 간 투여한 것과 발정을 확인하지 않고 CIDR를 이용하여 동일한 호르몬을 방법으로 과배란을 처리
        4,000원
        37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난구 복합체의 체외성숙에서 OA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도축 한우암소의 난소로부터 난구 복합체를 채취하여 PVA-TCM199로 3회 이상 세정 후 PVA-TCM 199, 0.2 uM, 2 uM, 20 uM OA를 각각 첨가하여 공기, 에서 6, 12, 24시간 동안 체외성숙을 실시하였다. 또한 체외성숙시 cycloheximide(CX)와 OA와 체외성숙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0.1M-PVA TCM199, CX 25 ug/m
        4,000원
        375.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우의 혈액성분과 도체형질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여 도체 품질을 예측하고 예견되는 능력에 따른 사양관리로 도체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우에서 도축 2개월 전과 수송전 그리고 도살시 혈청성분 농도와 도체 형질간의 표현형 상관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거세우의 도살 2개월 전 혈청 성분 농도와 도체 형질간의 상관에서 육량지수는 total protein (0.23), albumin(0.26), calcium(0.31)과 정의상관이나 BUN (-0.30)
        4,800원
        37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dietary Rhus verniciflua Stockes were feeded on the porks and Hanwoo beef to determinate sanitation effects.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measure oxygen contents and total flavor compounds of pork and beef inoculated Pseudomonas aeruginosa in headspace with SPME-GC. The headspace oxygen contents in Hanwoo beef were no difference on the diet supplementation ratio of Rhus verniciflua Stokes during storage at 5℃. Headspace oxygen contents of teratment dieted for 5 and 6months were higher than that of treatment dieted for 3 and 4months. No remarkable difference was observed in headspace oxygen contents in pork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during storage at 0℃. Oxygen contents in pork of treatment diet containing 4% Rhus verniciflua Stokes was higher than that of treatment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on Hanwoo beef. Flavor compounds were the lowest in diet supplemented 6% of Rhus verniciflua Stokes during 4 months. Flavor compounds of pork is no change at 0℃. The longer storage periods It had the more increasing total flavor compounds and Rhus verniciflua Stokes supplement ratio had no effects on change of total flavor compounds. Such as this experiment, Flavor compounds and oxygen contents in headspace could be analyzed by SPME-GC method promptly and easily in accordance with, it is expected to apply SPME-GC method to evaluation of food quality.
        4,000원
        377.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mitochondria function assessment can be used for the prediction of sperm fertility through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itochondria fluoromicroscopic frequency of frozen-thawed eight Hanwoo bull semen using rhodamine123 (R123) and in vitro embryo development following fertilization. Individual sperm were stained in 5ug/mL R123-added calcium-free Sp-TALP for 30 min at 0 h, 6 h, 12 h and 24 h after thawing and examined their mid-piece under an epifluorescence microscope using 495 nm excitation filter (x1,000). Three replications were taken, and at least 300 sperm per individual were examined. When semen sample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good and poor) by sperm motility and fluorescent frequencies at just after thawing, average fluorescent frequencies were remarkably reduced as time going (0 h; 53.29~72.94%, 6 h; 21.40~58.90%, 12 h; 8.26~25.93%, 24 h; 1.00~13.78%, irrespective of selected group,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t 6 h or 12 h after thawing between selected groups bu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at 24 h after thawing (p<0.05). In vitro fertilization rates in good and poor groups ranging 70.8~77.8% and 52.1~84.5%, respectivel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in vitro development rates of the same groups ranging 25.7~40.0% and 12.9~1.8%,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 different (p<0.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itochondria fluoromicroscopic assessment of frozen-thawed bovine sperm may be used as a criterion to select more fertile sperm.
        3,000원
        378.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에 있어서 다량의 수정란을 생산하여, 고능력의 유전인자를 조기에 확산할 수 있도록, 한우 공란우의 반복 과배란을 유도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수정란 생산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4회 반복적으로 과배란 처리하였을 때, 수정란 채란이 가능한 공란우는 였으며, 3회 처리시 다소 낮아, 약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2.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4회 반복적으로 과배란 처리하
        4,000원
        379.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상 및 저수태 한우에 rbST를 투여하였을 때 수태 및 분만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축은 성빈 한우 383두와 임상적으로는 정상이나 3회 이상 수정시켜도 수태가 되지 않는 저수태 한우 79두, 총 462두를 시험에 공시하였다.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시험구 배치는 5개의 처리구, 즉 T1(무처리, 2ml의 생리 식염수), T2(rbST 250mg 수정시 1회 미근부에 투여), T3(rbST 250mg: 수정시 및 수
        4,000원
        380.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혈통이 등록된 우수한 한우 공란우로부터 회수한 수정란을 간편한 방법으로 성 판별하여 우수한 암송아지를 생산하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수한 수정란을 punching 또는 bisection 방법으로 biopsy하여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법으로 성 판별하였으며, 암컷으로 예측되는 성 판별 수정란을 6두의 수란우에 이식하여 2두가 임신되었고, 수정란 이식 후 278일과 285일에 정상적인 암컷 송아지를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