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2

        361.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월동배추(품종 : 동풍)를 에서 저온저장중 선도 유지를 위하여 포장과 적입방법 개선에 대한 효과가 조사되었다. 저장과정중 배추의 상품성을 보았을 때 월동배추는 에 저온 저장한 경우 4개월 이상 저장, 출하가 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포장용기간 저장성은 0.03mm 폴리에칠렌 플라스틱필름에 4포기씩 세로로 적입하여 플라스틱콘테이너에 저장한 경우가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그물망과 철제파레트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우수하게 나타났다. MAP 저장시 포장내
        362.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늦가을배추의 저온저장중 선도연장을 위하여 포장방법과 적입방법 개선에 대한 연구가 행하여졌다. 전반적인 상품성을 보았을 때 늦가을 배추는 에 저온 저장한 경우 3개월까지 저장, 출하가 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저장 비용과 상품성에 따른 출고가격 등을 고려할 때 늦가을 김장 배추는 저장용 배추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여겨졌다. 포장용기간 저장성은 플라스틱콘테이너와 골판지박스가 기존 그물망에 비하여 우수하게 나타났다. MAP 저장시 포장내의 가스
        363.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밤(Castanea crenata, 은기)의 수확 후 품질유지에 있어서 지연 감마선 조사와 CA 저장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밤을 수확하여 에서 3개월간 보관한 후 0.25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의 CA (3%O+5% ) 및 air조건에서 6개월간 저장한 다음 이화학적 품질특성들을 측정하였다. 밤의 발아(근)는 지연 감마선 조사에 의해 완전 억제되었으며 부패는 CA저장과 병행시 더욱 적게 발생되었다. 중량감소는 CA저장 밤이 air 저장
        364.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밤(Castanea crenata, 은기)의 저장특성에 대하여 수침처리와 감마선 조사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확된 밤을 48시간 동안 수침 처리한 후 0, 0.15, 0.25 및 0.35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와 952%의 상대습도에서 9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발아현상은 수침 처리된 밤에서만 저장말기에 나타났으며, 감마선을 0.35 kGy 조사한 밤에서는 발아되지 않았다. 수침처리 밤에서는 조사 선량에 무관하게 저
        365.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장한 방법 및 기간이 탈삽감의 저장 후 shelf-life 동안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떨은감인 '청도반시'를 에서 70% +5% 의 기체조성비로 39시간 동안 탈삽처리하고 의 CA(5% +3% , 8% +3% ), MAP(0.06 mm LDPE, 5.2% +6.8% ) 및 air 방법으로 15, 45, 75, 105일 동안 각각 저장한 다음 1에서 보관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육경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366.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respirat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sugaru' apple(Malus domestica Borkh) during storage at 4C, 10C and 20C. Respiration rate of the apple just after harvest was 7.57 mL CO/kg/h at 20C. It was decreased rapidly and was 2.86 mL CO/kg/h after storage for 45 days at 20C. The apples showed the highest ethylene production rate at 10C and 20C after 14 days, and at 4C after 28 days during storage. Weight of the apple was reduced by 2.9% after 120 days at 4C and by 6.1% after 45 days at 20C. Color difference of peel and pH increased with the temperatures but titratable acidity and flesh firmness showed the reverse trends during storage. According to the subjective quality test,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shelf-life of the apple is 86 days at 4C, 65 days at 10C and 37 days at 20C, respectively.
        367.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s on keeping quality according to the different package environment in cabbage and brccoli were studied. Opened 2 mil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sealed 4 mil LDPE and BA(barrier polyethylene) were used as package films. Weight loss was markedly in opened 2 mil LDPE in cabbage and broccoli as 6 and 28%, respectively. Carbon dioxide was higher in seal-packaging cabbage and broccoli with BA held at 4 was above 15 and 31% within 15 days, respectively, while oxygen content was depleted to 2% or less after 10 day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volatile sulfur-containing compounds produced from cabbage and broccoli were the relative quantities and rates of production of hydrogen sulfide, carbonyl sulfide, methanethiol and dimethyl disulfide in opened 2 mil LDPE , sealed 4 mil LDPE and barrier bags during storage.
        368.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find out the storage quality as influenced by the amount of kalium fertilizer in the Onion (Allium Cepa L.) cultivation , 4 different levels of kalium fertilizer amount, 0, 11, 154 and 462 kg/ha, were applied to cv. "Changnyungdaego" with the following results. As the amount of kalium fertilizer was increased, the content of kalium was increased in the soil and plant, the progress of falldown was somewhat delayed at the level of 462kg/ha kalium fertilizer , but the plant growth and yield were not different , respectively. The rotting ratio was decreased 7.5% by October at the 462kg/ha kalium than the 0 kg/ha treatment . The sprouting and total weight loss ratio were decreased at the levels of 154kg/ha kalium fertilizer.
        369.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he storability of onions on calcium spraying, after cutting foliage, 6 different treatemnt , the dilution spraying of calcium nitrate 9 3%, 6%) , calcium carbonate(3%, 6%), dust scattering and the controls were evaluated for rotting, sprouting, healthy bulb and total weight loss ratio during storage. Rotting ratio on the dilution spraying of 6% calcium carbonate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fter 4 months storage by 16.7%. Sprouting and total weight loss were decreased in the dilution spraying of 6% calcium carbonate.
        370.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치미에서 분리한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 brevis를 무주스에 접종하여 에서 2일간 혼합 배양하여 와 8에서 각각 30분, 15분으로 열처리하여 25, 15, 5에서 8주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한 무주스에서는 미생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아 모두 사멸되었음을 알수 있었으며 이화학적 품질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열처리를 하지 않은 무주스의 경우는 저장온도가 높
        371.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쑥갓과 케일을 시료 중량 50배의 5로 냉각한 전해산화수에 2분 3회 다단침지 처리한 후 저장중의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쑥갓의 경우 총균수는 무처리 쑥갓에 비해 평균 1/130, 대장균군수는 평균 1/1,170, 케일의 경우 총균수는 무처리 케일에 비해 평균 1/870, 대장균구수는 평균 1/47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1 저장 6일후 부터는 무처리, 수도수 침지 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저장중 중량감소율은 쑥갓과 케일 모두 저장
        372.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외 CA저장시 적정 농도 및 농도를 구명하기 위해 경북 성주산 참외 금싸라기 품종을 공시하여 농도를 5, 10, 15%로 하였고 농도는 3, 10%로 하여 15일, 30일, 45일 동안 각각 저장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참외 저장후의 부패과율은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으며, 중량감소율은 저장 45일까지도 일반저온저장에서 5.01%, CA저장에서는 1.0%내외로 낮았다. 과육의 경도는 저장 30일까지는 일반저온저장, CA저장 모두 저장전과
        373.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저장에 적합한 떫은감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청도반시, 사곡시, 고종시, 봉옥시 4품종을 공시하여 농도를 12, 16%로 하였으며 농도는 같이 3%로 하여서 약 160일간 저장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였으며, 청도반시, 사곡시, 고종시는 12%, 16% 모두 일반 저온저장고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봉옥시는 고농도의 로 가용성 고형분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374.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쓰가루사과를 차압예냉처리하여 1와 에 저장한 경우 표면색택의 변화는 예냉처리구가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에 저장하였을 경우 a값은 저장기간중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b값은 저장기간중 크게 증가하였으나 1에서는 a, b값 모두 저장 1개월후까지도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도 및 총산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예냉구의 경우가 총산도의 감소가 적게 나타났는데 무예냉구의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쓰가루 사
        375.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의 소포장화 유통을 위한 기초연구의 하나로서, 적정 필름의 선정과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께 0.04, 0.06, 0.08mm의 LDPE 필름에 생강을 저장함과 동시에 0.06mm의 LDPE 필름에 흡습제를 sachet형태와 씨트 형태로 첨가한 다음 생강을 150일 동안 저장하면서 생강의 MA 저장 중 필름 두께 및 흡습제의 첨가방법에 따른 저장 효과를 조사하였다. 흡습제를 첨가하지 않은 MAP방법에서는 필름두께별로 저장 150일 동안
        376.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추의 V/H ratio는 PE film으로 포장한 배추가 포장하지 않은 control에 비해 더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속잎이 겉잎에 비해 V/H ratio가 더 높게 유지되었다. Pouch내의 의 농도는 처리구 모두 15일 정도까지는 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그 이후부터는 거의 일정한 경향을 보였다. pouch내의 농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15일까지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후에는 변화량이 적었다. 의 농도는 와 반대로 film의 두께가 얇
        377.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필리핀산 바나나를 온도(18, 21, )별로 5일간 후숙하고 13와 및 상온(13-2)에서 16일간 저장하며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후숙 직후 바나나의 색도와 당도는 18와 21 후숙이 4.2-5.2와 18.7-18.8이었고 후숙이 각각 5.5와 20.1를 나타냈다. 저장온도 및 후숙 방법에 따른 중량의 변화는 큰 차이 없이 저장 10일경에 약 1%로 증가하였으며, 당도는 20 내외에서 거의 변화가 없거나 약간 증가 후 감소하였으며, 색도
        378.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의 저장조건을 저온(2-4, 80% RH), 움식(3-15, 75-85% RH), 실온방열(10-23, 75-98% RH) 및 상온(2-, 62-72% RH)으로 구분하여 저장 중 물리적 및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양파의 발아율은 저온 저장된 양파를 제외하고는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저온 저장된 양파에서는 저장 11개월까지 거의 발아되지 않았다. 양파의 부패율은 실온방열 저장된 양파를 제외하고는 7개월까지 낮았으나 7개월 이후에는
        379.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늘의 저장조건을 저온(31, 805% RH, LT), 움(96, 805% RH, PT) 및 상온(1411, 675% RH, AT)으로 구분하여 9개월간 물리화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마늘의 발아율은 저온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움식 및 상온저장에서는 높게 나타나 이상의 조건에서는 발아억제 방안이 요구되었다. 마늘의 부패율은 저장 7개월 째인 이듬해 3월까지는 낮았으나 그 이후에는 저장조건에 상관없이 급격히 부패되었다
        380.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esh gingers, harvested in Seosan, Choongcheongnam-do, were pre-treated by a washing-pasteurizing-drying process, a curing process, and non-treated, respectively. Then they were stored in a lab-scale storage room(12, >92%R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the quality changes during long-term storage. Weight loss of ginger during storage showed ranges in 0.7∼4.3%, and the weight of gingers pre-treated by washing-drying process showed a tendency to change less than those treated by curing. After storage of 130 days, spoilage rates were about 20% in non-treated, 11% in curing treated, and 12% in washing-drying treated ginger,, showing the effect of pre-treatment. The final rate of sprouting was 13∼15% regardless of treatment methods. The firmness of ginger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stored ginger for the longer period; however, the values were ranged from 1,200 to 1,400 g/, that is hard enough to show a marketable quality.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the lapse of storag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