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8

        361.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zone (O3 )-induced changes in chlorophyll content and specific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ascorbate peroxidase (APX), guaiacol peroxidase (GPX), dehydroascorbate reductase (DHAR)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were investigated in two rice cultivars (Oryza sativa L.) grown under variable nutrient treatments. For this study, two rice cultivars of Ilpumbyeo (IL) and Keumobyeo#l (KM), which were known as resistant and susceptible to O3 , respectively, were exposed to O3 at 0.15ppm for 30 days and investigated with 10 days interval. The available nutrient regimes were varied by doubling the supply of nitrogen (N), phosphorus (P) and potassium (K) Within a basic fertilizer status (N, P, K; 15, 12, 12kg/l0a-1 ). In both cultivars and at all nutrient status, chlorophyll content in O3 -treated plants decreased with prolonged treatment period, although higher N, P and K supply with O3 treatment alleviated the decrease in chlorophyll content. The activities of almost all enzymes investigated for this study were decreased during initial stages of O3 - exposure except GPX which maintained higher activity throughout the exposure period than the non-treated plant. However, the antioxidant enzymes in O3 -treated plants showed almost the same or higher activities on 30 days after O3 - exposure.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activities were observed in GR of the O3 -treated leaves. With the prolonged treatment period, the activity of GR at 30 days was increased by 3-8 times compared to those in 10 days. Most of the investigated enzymes showed very similar tendency to O3 treatment in all fertilizer status. There was no observed evidence for enhanced detoxification of O3 -derived activated oxygen species in plants grown under higher fertilizer status compared with that in plants grown under basic fertilizer status. The increase in the activities of SOD, APX and GR in rice leaves by relatively long-term treatment with O3 at low concentration is considered to indicate that the plant became adapted to the O3 stress and the protection system increased its capacity to scavenge toxic oxygen species. Our results in two rice cultivars indicat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between IL and KM, which were known as resistant and susceptible cultivar to O3
        362.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러 가지 담자균 자실체의 물과 m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5가지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실험을 실시한 결과, 석이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있었으며, 석이버섯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높은 항균력이 확인된 석이버섯, 상황버섯의 80% methanol추출물을 diethyl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물의 순으로 분획물을 얻어서 항균 및 항
        363.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L. ex fr.) Link)의 수소전자공여능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살펴본 결과 부탄을 분획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수소전자공여능이 다른 시료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결과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 4NQO 그리고 간접변이원인 B()P, Trp-P-1에 대해서 유의성 있는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보였다. MNNG(0.4 /plate)의 경우 S. typhimuriu
        364.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밤나무(Castanea crenat)의 지상부를 대상으로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2종의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활성물질은 NMR과 mass 분석에 의하여 quercitrin, isoquercitrin으로 밝혀졌다. 두 화합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RC50 : 12μg)은 BHA (14 μg)와 α-tocopherol (12μg)과 비슷하였다.
        365.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xty local soybean cultivars were evaluated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by superoxide dismutase (SOD),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thiobarbituric acid(TBA), and chemiluminescence using the FI-CL system. Soybean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were grown over two years (1997 and 1998) for measuring antioxidative activity in soybean seeds. There were differences in antioxidative activity depen-ding on the method of measurement and variation of the crop year. Soybeans from Kwangyang-shi-1 (76.78%) in 1997 and Kangjin-gun-3(79.14%) in 1998 showed the highest SOD activity, whereas those from Hwasoon-gun (80.43%) in 1997 and Kangjin-gun-2 (49.82 %) in 1998 exhibited the highest DPPH activity. Soybeans from Chongup-gun-2 (75.77%) in 1997 and from Yochon-shi-5 (69.17%) in 1998 exhibited the highest TBA activity, and those from Jinahn-gun (48.99%) in 1997 and Kohung-gun (49.73%) in 1998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using the chemiluminescence meth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may be possible to develop soybean varieties with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366.
        200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백피의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종 용매로 유백피 추출물을 제조하여 lard emulsion에 첨가하여 6에서 저장하면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용매별로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 분획물의 첨가농도의 결정 및 기질특이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생체내에서도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흰쥐 간 micmsome 을 사용하여 유도된 지질 과산화 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유백피의 추출물
        367.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activity of rice grain using 1, 1-Diphenyl-2-picrylhydrazyl(DPPH) and thiobarbituric acid (TBA) method and germination ability for screening rice varieties with high antioxidative activities on korean native and foreign rice varieties harvested in 1998 and 1999. The average antioxidative activity of foreign rice varieties (DPPH 63.5% and TBA 55.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ative rice varieties (DPPH 47.2% and TBA 45.6%) on varieties harvested in 1999. The promptness index (PI) of native rice varieties was higher in stored rices for three months (mean PI=160.7) than that of stored rices for a year (mean PI=141.6). On the other hand, the PI of foreign rice varieties was higher in stored rices stored for a year (mean PI=176.7) than that of stored rices for three months (mean PI=157.5). Varieties with high redness of hulled rice (a-value) showed significant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to DPPH in a stored rices for a year (r=0.5744** ) and stored rices for three months (r=0.5630** )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igments of hulled rice varieties may play important antioxidative roles and colored rice varieties with higher antioxidative potentials can be developed and also may provide information with rice breeder to breed rice variety with a high antioxidative activity for a rapid screening of a small amounts of a large number of samples using color value.
        368.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tent of anthocyanin, cyanidin 3-glucoside (C3G) and the peonidin 3-glucoside (P3G) from 591 rice cultivars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OH extract from 8 rice cultivars were evaluated. Among them, C3G content of pigmented rice were ranged from 0 to 451.9mg in 100 g brown rice, while the P3G contents were in the range from 0 to 42.7mg in 100g brown ric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3G and P3G content. Total anthocyanin content ranged from 0 to 475.1mg in 100g brown rice. The antioxidative activity, the scavenging activity on DPPH (2,2-diphenyl-picryl-hydrazyl) radical of MeOH extracts from rice grai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ultivars. The activity of blockish purple pericarp rice cultivars was twice stronger than that of white pericarp cultivar. Especiall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Heugjinjubyeo was four times stronger than that of white pericarp cultivar. The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in rice extracts was related to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s of the extracts.
        369.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유지에 대한 고구마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와 돈지에 70% methanol 고구마 추출물을 가하여 에서 저장하면서 POV를 측정하여 항산화능을 비교하였으며, 고구마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여 HPLC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70% methanol 고구마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목포18이 율미보다, 껍질부위가 속부위보다 강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고구마 페놀화합물 3개 분획 중
        370.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성 및 토양수분에 따른 시호근의 생육특성과 saikosaponin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 변화를 조사해 본 결과, 수분과다 토양에서 는 삼도시 호는 장수시호보다 생육 억제정도가 매우 높았고, 건물중은 과습, 적습, 과건 재배 순으로 높았고, 수분조건에 따른 토성별로는 과건은 식양토, 사양토, 사토 순으로, 적습과 과습시는 사토, 사양토, 식양토 순으로 높았다. 토양수분조건별 saikosapon a, d, c함량은 과건, 적습, 과습 순으로 높았고, 토성간에는 사토, 사양토, 식양토 순으로 높았다. POD 활성은 지상부는 장수시호가 삼도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토양 수분함량간에는 장수는 과건, 과습, 적습 조건 순으로 높았으나, 삼도시 호는 과건, 적습, 과습 순으로 높았다. SOD활성은 지상부와 지하부 공히 장수시호가 높은 경향이나, 수분조건별로는 과건, 과습, 적습순으로 높았으며, 건조상태의 경우 두 품종 모두 사토에서 높았다. 시호에서 뿌리의 Saikosaponin함량과 POD 및 SOD 함량과는 정의상관을 나타내는 경향이었고 줄기 및 뿌리길이와 POD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371.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활성산소에 기인하는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물질을 천연물로 부터 개발하기 연구의 일환으로 오배자의 주성분에 대한 항산화효과 및 간보호효과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erric-Thiocyanate 법에 의하여 과산화반응 억제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tocopherol보다 강한 과산화반응 억제 활성을 보였으며 gallic acid methyl ester, protocatechuic acid와 syringic acid는 tocopherol 보다는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BHA와는 유사 또는 그 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특히 1, 2, 3, 4, 6-penta-O-galloyl-β-D- glucose는 tocopherol과 BHA보다 매우 강한 과산 화반응억제 활성을 보였다. 2. TBA 법에 의한 과산화지질의 생성의 지표인 MDA 억제효과에 의한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gallic acid 는 1.6×10-4의 농도에서 BHA 보다 높은 억제율을, protocatechuic acid는 1.6×10-6의 농도에서 BHA 보다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gallic acid methyl ester와 1, 2, 3, 4, 6-penta-O-galloyl-β-D-glucose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우수한 MDA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3. Glycyrrhizin을 비교군으로 하여 간 보호 실험을 한 결과 1, 2, 3, 4, 6-penta-O-galloyl-β-D-glucose의 0.5mg/ml첨가군에서는 GOT의 강한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GPT 실험에서는 각 시료 0.5mg/ml 첨가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72.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톱풀 Achillea sibirica Ledeb. (Compositae: 국화과)은 국내 산지의 초원에 널리 분포하는 흰색꽃이 피는 다년생 초본으로 민간에서 봄의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전초와 종자를 말린 것(신초;神草) 을 , 건위(健胃), 강장(彈壯), 해열(解熱), 진경(鎭湮), 진통(鎭痛), 정기증진 (精氣增進), 출혈이 심한 치질에 사용해 왔다. 천연물로부터의 우수한 항산화제의 개발의 일환으로 이 식물의 전초의 MeOH extract와 그것의 Hexane fraction., Methyene Chloride f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Butanol fration 에 대해 DPPH radical 소거 효과에 의한 검색을 실시한 결과 EtOAc 분획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그 EtOAc 용매분획층을 column chromatography 하여 2종의 flavonoid glycoside (E-1,2) 를 분리하였으며, hexane분획에서의 1종의 sterol 화합물 (H-1)과 더불어 각종 이화학적 성상과 spectral data로부터 구조를 동정한 결과 각각 sterol mixture (H-1), kaempferol-3-O-glucoside(E-1), luteolin-7-O- neohesperidoside(E-2)로 확정하였고, 그 중 화합 H-1은 campesterol, stigmasterol, β-sitosterol이 혼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E-1, 2에 대해 항산화 활성 검색을 실시하여, DPPH radical 소거 효과에 의한 검색에서 각각 12.5μg/ml과 15.4μg/ml에서 EC50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를 보였고, TBA에 의한 비색정량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검색에도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373.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예로부터 식품으로 사용되어온 산돌배나무 (Pyrus ussuriensis) 열매를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 성분을 찾기 위하여 그 MeOH추출물의 EtOAc분획을 대상으로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1, 4-dibenzenediol, chlorogenic acid 및 quercitrin등 세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DPPH free radical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quercitrin은 a-tocopherol 및 BHA보다 낮은 활성 (RC50=20μg)을 보였으나 1, 4-dibenzenediol (RC50=0.4μg) 와 chlorogenic acid (RC50=4μg)는 강한 활성을 보였다.
        374.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년초(손바닥 선인장)는 제주도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남해안에서 많이 생산되는 선인장의 일종으로 오래전부터 그 임상효능이 알려져 여러 가지 기능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 및 방법에 따른 백년초 추출물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백년초의 항균활성은 대체적으로 환류추출법이 상온에서의 진탕추출법보다 조금 강하게 나타났고, 각 용매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
        375.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식물을 비롯하여 45종 식물체 지상부의 MeOH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free radical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나무(Acer ginnala Max.)의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활성(RC50 : 15μg)을 보였으며,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RC50 : 28μg)와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 RC50 : 33μg)에서도 활성이 비교적 높았다. 신나무의 지상부로부터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지표로 2개의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활성물질을 각종 기기분석을 통하여 3, 6-di-O-galloyl-1, 5-anhydro-D-glucitol(acertannin)과methyl-3, 4, 5-trihydroxybenzoate(gallicin)로 동정 하였다. acertannin(RC50 : 3.5μg)과 gallicin(RC50 : 2.8μg)은 기지의 항산화 물질인 BHA(RC50 : 14μg), vitamin E(RC50 : 12μg)보다 강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냈다.
        376.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rni Fructus extracts were investigated for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the methanol, ethanol, water extracts from Corni Fructus,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was stronger than the others.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strong against microorganisms such as Streptococcus mutans, Bacillus subtilis,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and Escherichia coli O-157, the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 was the strongest of all the microorganisms. The growth of all the microorganisms were completely inhibited to 48 hours in the 150 per of culture media. the shape of E. coli O-157 treated with Corni Fructus water extract was expended and its cellular surface was collapsed severely. When Corni Fructus water extract of 200 was treated, hydrogen donating effect was more than 90%, and antioxidative activity using linoleic acid was similar to 0.1% BHT at the concentration of 50.
        377.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단피의 메탄을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균작용,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검색하고, HPLC와 GC를 이용하여 페놀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항균작용은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람 음성균보다는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이었다.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의 MIC를 측정한 결과,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는 156-1250/ml, 그람 음성균에는 2500-5000/ml 이었다. DPPH 라디칼에 대한 프리라디칼
        378.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디의 기능성(機能性)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의 일환으로 뽕나무 품종에 따라 9종의 오디를 채취(採取)하여 냉동건조(冷凍乾燥)한 후 각각에 대하여 항염증 및 항산화효과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작용을 검색하기 위하여 cyclooxygenase II의 활성억제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광뽕 〉 검설뽕 〉 4배성 휘카스 〉 2배성 휘카스 〉검설뽕 등의 순으로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현재 항염증제의 표준물질로 사용되고 있는 nabumetone 10ppm에서 활성억제도(活性抑制度)를 1이라 했을 때,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낸 신광뽕 오디의 경우는 0.55의 활성도를 나타냈다. 2. 최근에 천연물(天然物)로부터 항암작용과 더불어 소염작용을 갖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phosphlipase A2의 활성억제도법을 이용한다. 오디 9품종의 MeOH 추출물 100μg/ml의 농도에서 phospholipase에 대한 억제활성은 신광뽕 〉 검설뽕 〉 휘카스 〉 북산2호의 순으로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3. 항염증 작용과 항산화 작용은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DPPH법을 이용하여 radical scavengingrate를 측정했다. 그 결과 신광뽕 〉 검설뽕 〉 휘카스 〉 청일뽕의 순으로 항산화작용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9종의 오디품종중 항염증제로의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은 검설뽕, 휘카스 및 신광뽕이었고, 북산2호와 대도상의 항산화 항염증 효과는 전혀 없었다.
        379.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구의 수명이 연장되고 노령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이 야기되고 있고, 이들 성인병의 원인이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이들의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30종을 대상으로 그들의 MeOH 엑스에 대한 자유라디칼소거효과 및 오배자의 분획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PPH법을 사용하여 약용식물 10종의 MeOH 엑스에 대한 1차 라디칼 소거작용 검색 시험을 한 결과 오배자, 토복령과 호장근의 MeOH 엑스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 을 나타내었으며 이중에서 오배자의 자유라디칼 소거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1차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오배자에 대하여 오배자의 MeOH 엑스로부터 각 극성별로 분획하여 얻어진 n-Hpxane, EtOAc, BuOH, H2O 엑스에 대하여 DPPH법을 이용한 라더칼 소거작용을 시험한 결과, n-Hexane, EtOAc, BuOH 엑스가 강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3. Ferric-Thiocyana법을 이용하여 오배자의 n-Hexane, EtOAc, BuOH 및 H2O엑스에 대하여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시험한 결과 오배자의 n-Hexane, EtOAc, 및 BuOH 엑스는 천연 항산화제인 tocopherol 및 합성 항산화제 인 BHA 보다 우수한 탁월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H2O 엑스는 tocopherol 보다는 우수하고 BHA와는 유사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380.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fteen varieties of Oryza sativa mainly includig those of Korean native rice were exactly cutted into three layers such as L1 layer (the outer part of 90% from rice center), L2 layer(the part of 81 ~ 91% from the rice center) and L3 layer(the inner part of 80% from the rice center) and ferulic acid derivativ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of antioxidative action, were quantitiavely analyzed by UV absorption spectrometric method at fixed 314nm. From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more it enters from the surface into the rice center, the more those secondary metabolites contents were highly reduced. The varieties showing contents more than 20 mg/g were as follows: Hwasunchalbyeo(25.8mg/g), Jojeongdo(24.1mg/g), Suwon425(21.2mg/g), Daigolbyeo(20.6mg/g) and Nonglimna 1(20.2mg/g) by this order. Estimation onthe anthocyanin contents of both Suwon 425 and Sanghehanghyeolna revealed that its total. contents were very exactly close each other. However, it was charateristically differentiated in the contents of L2 layer with respect to showing a considerably higher content of Suwon 425 than of Sanghaehanghyeolna. Conclusively, the selected Suwon 425 variety, which is coloured and flavour volatile one, showed relatively higher contents of anthocyanin, ferulic acid derivatives in the L2 layer as well as L1 layer when compared with Sanghaehangyeolna and even other varieties. This fact suggested that Suwon 425 could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rice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