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

        2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비목유충 소화액의 다양한 Protease는 Bacillus thuringiensis(이하 B. thuringiensis)가 생성한 protoxin의 활성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소화효소로 알려져 있다. 나비목유충의 소화효소 중 Serine protease인 trypsin은 단백질 가수분해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rotease의 지속적인 가수분해결과 독소 단백질의 불활성화를 초래하여 B. thuringiensis의 살충활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이전 실험에서도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과 protease inhibitor중의 하나인 tannic acid를 혼합하여 중장액에 처리하였을 때, 파밤나방에 대한 살충활성이 높아진 원인으로 protease activity의 감소를 예상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다양한 Protease가 있는 중장액에 protease 특이적기질로 tannic acid가 어떤 종류의 protease activity를 낮추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파밤나방 중장액과 농도별(10, 20, 40, 80mM) Tannic acid와의 protease activity를 측정 한 결과 tannic acid의 농도가 높아 질 수 록 protease activity(%control)는 각각 83.1±2.1, 77.6±1.6, 68.0±0.4, 40.1±2.2로 감소됨을 확인 하였다. 파밤나방 중장액과 serine(azocasein), trypsin(BApNA, BPVApNA), chymotrypsin(BTpNA, SAAPPpNA, AAVApNA), elastase(SAAApNA, SAAPLpNA) 와의 기질 반응을 분석 한 결과 trypsin 기질에서 protease activity가 높음을 확인 하였다. 추후 연구에서 파밤나방 중장액과 Tannic acid를 반응 시킨 후 기질과의 protease activity를 측정 하고 zymogram을 통해 protease 활성 부분을 연구 할 것 이다.
        23.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ills of M/V Hebei Spirit on 7th December 2007 caused a seriously damage to the ecosystem of Korean coast. Of these, microbial communities (i.e., attached benthic micro-algae) were reported to be sentive to the environmental change so it can be used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Our experimen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cological risk assessments for oil pollutant using benthic attached algal community on the artificial substrates of acrylic plates. Field monitoring in the culture system was conducted in Jangmok Bay. The abundances of attached micro-algae on artificial substrates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sampling times. Among them, diatoms were the most important colonizer of coastal water, with the genera Cylindrotheca and Navicular most abundant. In particular, developed the culture system has correctly measur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bundance of attached micro-algae because same acrylic plates as artificial substrates were used. Thus, this culture system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ecological risk experiment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from oil pollutants.
        4,000원
        24.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ttern of wound healing process differs markedly according to the cell types. Gingival wounds heal more rapidly without scar, however dermal wounds show collagen laid down in thick disorganized patterns and keloid formation. This h as b een s uggested t o be d ue t o the presence of d ifferent E C M components a nd c ytokines a s well a s growth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genes in connection with keloid formation in gingival fibroblasts (hGFs) and dermal fibroblasts (hDFs) in response to inflamm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hGFs and hDFs in th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cyclooxygenase (COX-2), prostaglandins E2 (PGE2),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 collagens,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TIMPs)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collagen deposition in wound healing. The hGFs and hDFs were primary cultured and allocated to arachidonic acid (AA)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Protein and mRNA were extracted right after (0 hr) and 24 hr after AA treatment. At a defined concentration of AA in hGFs and hDFs, MTT assay was perform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COX-2, TGF-β, collagen 1 and 3, MMP 1 and TIMP 1 were examined by Real-time PCR and Western blots. The amounts of PGE2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The expression of COX-2 and TGF-β exhibited reduced levels in hGFs , but were increased in hDFs at 24 hr after AA treatment. Production of PGE2 was increased in hGFs and hDFs at right after AA treatment but, not changed at 24 hr after AA treatment.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collagen 1 and 3 were decreased in hGFs , whereas increased in hDFs at 24 hr AA treatment. Expression of MMP-1 protein was increased in hGFs at 24 hr but, was decreased in hDFs at 24 hr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e protein expression of TIMP-1 was decreased in hGFs but, was increased in hDFs at 24 hr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ese observations demonstrate differential expression between gingival and dermal fibroblasts in regulation of collagenolytic capacity by extracellular matrix-associated genes in keloid formation associated with wound repair.
        4,300원
        2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표고 톱밥재배시 최적배지의 기질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 여 본 시험에서는 톱밥입자의 크기, 첨가되는 영양원(미강, 밀기울)과 미량원소(탄산칼슘, 석고, 설탕)의 첨가비율에 따 른 균사배양특성 및 버섯생산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톱밥 입자의 크기는 고운것(1∼2mm)와 굵은것(3∼5mm)을 각 각 1:1로 혼합한 처리구가 균사활착일이 다른 처리구보다 4~5일 정도 빨랐으며 버섯수확량도 증가하였다. 영양원 첨 가에서는 무처리보다 미강과 밀기울을 첨가(10-15%)한 배 지에서 균사생장이 우수하였으나 버섯생산성에서는 처리구 별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석고와 설탕을 첨가한 배지에서는 균사생장이 양호하였고, 탄산칼슘과 석고의 첨가 처리구에 서 버섯생산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청 지원 연구비로 수행되었음.>
        2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mentum is a hard connective tissue, produced by cementoblasts during tooth root formation, which provides for the attachment of the periodontal ligament to the roots and surrounding alveolar bone. Establishment of this attachment is an important event in the regeneration of lost periodontal tissues. We examined whether or not odontoblast conditioned media(CM) have a regulatory influence on the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of cementoblasts(murine cementoblastic cell line, OCCM-30) in vitro. To identify the effect of odontoblast conditioned media and dentin non collagenous proteins (dNCPs) on cementoblast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we treated CM and dNCPs to cementoblast then differentiated the cells for 14 days. To evaluate the formation of mineralized nodules alizarin-red S staining was performed at 0,4,7 and 14 days. Expression of cementum matrix genes was measured by RT-PCR. Mineralization of cementoblasts was accelerated with CM from odontoblastic MDPC-23 and OD-11. The expression of BSP, ALP, and OC mRNA in cementoblastic OCCM-30 cells was facilitated by the MDPC-23 and OD-11 cells. The extracted dNCPs had little influence on the proliferation, cell cycle modification, and chemotaxis of OCCM-30 cells. Although the dNCPs did not exhibit chemotactic activities for cementoblasts, the dNCPs promoted the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of cementoblasts. In conclusion, the dentin matrix protein, or the secreted products of odontoblast, facilitates cementoblast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This represents a new approach and suggests another avenue for cementum regeneration.
        4,000원
        29.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배추) 근권에 서식하는 종속영양세균의 군집 밀도 및 군집수준 생리활성을 2곳의 지역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근권의 종속영양세균군집 평균 밀도는 수원이 2.65×106CFU g-1 soil, 예산이 3.75×106CFU g-1 soil로 나타났고, 토양은 수원이 2.45×106CFU g-1 soil, 예산이 2.97×106
        4,000원
        3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아의 기질특성을 분석하고 이 기질 특성이 시험불안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에서 교육받고 있는 92명의 중학생 과학영재아들과 97명의 전주시내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일반아들이다. 측정도구는 개정판기질차원척도(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TS-R)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아는 일반아에 비하여 집중성, 지속성 및 접근성 기질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일반집단은 활동성, 융통성, 긍정성 기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재아와 일반아의 우세기질에 대한 검증 결과 기질 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과학영재집단은 지속성 기질이, 일반집단은 융통성 기질이 우세기질로 나타났다. 과학영재아와 일반아의 기질 특성과 시험불안의 상관관계분석에서 과학영재아는 접근성, 지속성이 부적상관을 보였고, 일반집단은 집중성이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활동성은 두 집단 모두에서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활동성 기질은 시험불안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과학영재아를 판별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그들의 기질적 특성을 최대한 파악하여 과학영재의 기질특성에 맞는 학습활동을 제공하는데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며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하여 대상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4,000원
        3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강하류역에서 인공기질을 이용하여 부착돌말류의 계절적 천이를 규명하고, 환경요인과 부착돌말류의 관련성을 통계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2004년 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1년간 매 격주간격으로 2개 정점에서 환경요인과 부착돌말류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수온은 전형적인 온대지방의 기후를 나타냈고, pH는 갈수기인 겨울철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기전도도, 질소, 인 등은 정점 간 차이를 보여 정점 2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규산염
        4,200원
        32.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SPARC (Secreted protein acidic and rich in cysteine) is detected in the bone stroma during wound-healing process. To understand the roles of SPARC in bony wound-healing process, SPARC cDNA were synthesized from rat calvarial osteoblast culture, and SPARC protein was synthesized from the cDNA. To observe the effects of SPARC protein on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bony defect were made on rat tibia, and the distributions of bone matrix related proteins and SPARC were investigat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In the rat osteoblastic culture using untreated plastic surface, Collagen-SPARC treated surface presented higher protein synthesis than untreated surface or only collagen treated surface. SPARC synthesis in the bony defect of rat tibia was augmented by introducing SPARC to the bony defect. SPARC synthesis were increased from the center of the defect compared to the control. SPARC synthesis in cells of the center of the defect was increased and maintained for 14 days. We could conclude that SPARC introduction may affect the early bone matrix formation, including SPARC, and mineralization in bony wound healing process.
        4,000원
        3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reported that light-emitting diodes(LED) can be used in the treatment of oral diseases. Although bio-stimulatory effects of LED irradiation such as promotion of wound healing have been well known, there are few reports about molecular mechanisms associated with wound healing by LED irradi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pattern of various extracellular matrix(ECM) molecules in relation to wound healing after LED irradiation on primary human gingival fibroblasts(hGFs) in vitro. The source of light for irradiation was a continuous-wave LED emitting at a wavelength of 635 nm, and manufactured that energy density was 5 mW/cm2 on sample surfaces. The hGFs were irradiated for 1 hour at 37℃ in 5% CO2 humidified chamber. Experimental samples were acquired at 0 (right after irradiation), 24 and 48 hour after irradiation.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s associated with wound healing, we examined the mRNA expression of 6 types of collagens, 7 type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 and 4 types of tissue inhibition of metalloproteinases(TIMPs) after LED irradiation by RT-PCR. The mRNA expression of collagen 4, MMP-3, 9, and 16, and TIMP-3 was influenced by LED irradiation. Generally, the collagen expression of the irradiation group was slightly increased, particularly collagen 4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0 hour. The expression of MMP-3 was increased at 0 and 24 hours and MMP-16 was increased at 24 hours,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MMP-9 was decreased at 0 hour and increased at 24 and 48 hours. The mRNA expression of TIMP-3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24 and 48 hours after irradi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ltered expression of ECM molecules after LED irradiation may contribute to the accelerated wound healing.
        4,000원
        34.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SPARC(osteo n ect in) 이 석회화 물질의 형성에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는 짐 애 착안하여 골조직 재생 괴정 중의 기질-세포 상호자용에 있어 SPARC의 역할 석회화 조직 형성과 연관된 SPARC의 발현조절과 기능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l꾀서 태자 두개관 배양세포로부터 SPARC cDNA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백서 SPARC 단백질을 합성하였다 SP때C 단맥 질을 이용해 백서 조골 세 포의 증식 에 미치는 영호노을 관찰하였다 동시 에 백서 장골에 인위적인 골결손을 형성하고 형성과정에서의 골기질 관련인자의 분포를 관찰하고 SPARC 의 분포를 in situ hyb ridiz a tion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백서에서 분리 합성된 cDNA 조각은 1231bp 크기 였으며 40kD 크기의 단백질을 발현하였다 백서 태자 두개관 세 포의 증식에서 SPARC과 콜라겐 으로 처리된 표띤은 콜리겐 단독으로 표면처 리된 t111 양표연보다 증가힌 세포증식과 단백질 합성 콜라겐 합성을 나티내 었다 백서 -?I-골이1 형성힌 골조직 지| 생괴정에서 SPARC을 투여힌 백서 ;<J-골의 경우 결손부 전체에 걸쳐 증가한 SPARC의 합성을 보였디 SPARC이 투여된 군에서는 질손부의 중심 에서부터 SPARC과 콜라겐의 합성이 증기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in siLu h yb ricli za Li o n 깨 을 이용한 관칠 에서 골결손부 중잉에 있는 세 포에서의 SPARC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그 싱패는 1 4 일 까지 대 조군에 비해 높게 니티났디 이싱의 연구 에서 얻은 결론은 디음과 같다 SPARC은 콜라겐과 결합하여 백서태자 두개관세 포의 배양에서 세 포증식 및 단백질 한성 ‘ 콜라겐 합성 의 뚜렷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 이 같은 OJ상은 SPARC 단독으로 표연 처리하였을 때 는 관찰되지 않았다. SPARC의 골절손부 투여는 골조직 의 재생을 촉진허며 초기 세 포외 기질의 합성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SP뻐C의 형성이 초기애 증가하는 앙싱 융 나타내었다 이상 의 결과로 볼 떼 SPARC의 투여는 골조직 손상회복 시 초기 골기질 형성과 석회화에 영향을 미치며 SPARC 자치1 의 형성 증가에도 영향 을 미치는것으로보인다
        35.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연역조직 회학 방법 및 in situ hybridization 법을 이용하여 골 치유 과정중의 골성 장 반응 빛 골 기질 단백질 형성이| 관여하는 여러 성장인자 및 골기질 관련물질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임 플란트 배식 후 티티늄 표연과 인접한 주변 골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 골 성장과 관련한 성장인지들의 변화를 관칠하고자 히였디 직경 3 -5mm의 thread - ed implan t를 백서 장골에 매 식한 후 시 간적 변화에 따른 골기질 관련 물질 및 관련 mRNA의 분포변호}를 관찰히였다 디1 상은 콜리 겐 . osteonectin(ON). osteopontin(OPN). osteocalcin (OC) 동의 분포의 변호}를 연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보고 이와 힘께 골기질 형 성관련 성장인자인 VEGF와 ON 의 l알헌을 in situ hybricli za tion 법을 이용해서 관찰하였다 3일째 소견에서 는 골 내부에 형성된 나사 산과 잉프란트의 강제적인 접 촉으로 인해서 높은 접촉률을 나티내고 있었으나‘ 부위에 따라서는 혈벙으로민 둘러씨인 부분도 관칠되었 다 7일째 소견에서 는 이 같은 인위적인 접촉부위에서 골 흡수가 일어니연서 골접촉이 크게 감소하였다 7 일과 14일에서 골의 형성은 이주 낮은 정도로 나타났으마. 14 일째에 는 골 집촉의 증기기 다소 나타나지만 골 밀도는 골의 게조로 인해 김소하는 소견을 나타내 었 다 연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대조균은 콜라겐이 결합조직 에 서 항상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반면 실험군에서는 신생 골에서 일부에 서만 약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OC은 신생골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기존 골의 손상부위에 부분적으로 양성 만응을 보였다 OPN은 결함조직 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신생 골의 골양 조직과 골소공 주변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ON은 기존골의 일 부와 신생골에서 관찰 되었다 특히 골모세포와 골세포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 었다 대조군과 실험군들 간의 연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OC은 대조군에서와 마찬가지로 신생골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인접 골 주변부에서 부분적 으로 양성 반응을 보였다 OPN은 대 조군과 실험군 동일하게 결합조직 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신생골의 골양 조직과 골소공 주변에서 발현되는 것도 유시하였다 ON의 말현 OJ상도 대조군의 경우와 통일하였으며 골모세포나 골세포 에서 양성 반응을 나티 내 띤 서 골질에 대해서 는 신생골이니 골 게 조 후의 골보다 석회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골 개조 이전의 골에서 뚜렷한 양성을 보였다 ON 의 발현잉상에서 연띄조직화학 염색소견과 달러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내 mRNA의 발현은 임플란트에 보다 근 접힌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히는 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얻은 겔론은 다음과 같다 i 소형 임플린트의 떼식 시 나타나는 조직 띤응은 정싱크기 의 임 풀란트에서외 동일힌 소견을 나타내았다 2 골재생은 3일 째부터 관칠되었으며 14 일이후 골재소가 나티니 21 일까지 지속되었다 3 임플란트 주맨에서 나타냐는 골재생관련 성장인자외 골기질 단백질은 골결손으로 인한 재생 시와 동일한 소 낀을 니 타내 었다 4 띤약조직화흐l 염색소견과 달리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세 포내 mR NA의 발현은 임플란트에 보디근접한 세포에서 발힌이 증가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임풀란트 제 료의 표면이 골형성 유도능을 가진 것이기 보다는 골형성 유도 능을 가진 세 포외 인지들이 티타늄 표띤 애 수동적으로 홉착됨으로 잔존 기간이 증가하고 이동성이 감소함으로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5. 티타늄 인 플렌트의 표띤은 특띨힌 처리 없이 도 곧형성 유도른 증가시 키는 것으로 보인다
        36.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다양한 약리효능을 가지고 있는 인진쑥(Artemisia iwayomogi)을 기질로 하여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목질진 흙버섯(Phellinus linteus) 및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과 같이 생리활성이 우수한 담자균을 발효시켜 얻은 배양물의 항산화효과를 검토하였다. 인진쑥과 인진쑥을 기질로 한 영지버섯, 목질진흙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 배양물에 대한 일반성분이 각각 수분 9.49, 6.49, 11.16, 10.65 %, 조회분 5.36, 3.70, 5.36, 9.67 %, 조지방 5.16, 1.37, 1.39, 3.6 %, 조단백질 11.84, 7.10, 9.4, 10.49 %, 탄수화물 68.15, 81.34, 72.69, 65.59 %로 나타났다. 인진쑥과 인진쑥을 기질로 한 각각의 배양물을 열수추출 하여 동결건조 한 분말을 Butanol, Ethylacetate, Hexan, Water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검토한 결 과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인진쑥 배양물에 비해 인진쑥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전자공여능은 butanol 과 ethylacetate 층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ethylacetate 층의 경우 항산화제인 BHA, ascorbic acid, catechin 과 유사한 7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dismutase(SOD)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0.1mg/mL의 농도에서 인진쑥보다 인진쑥 배양물에서 40~50%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항산화제인 BHA, ascorbic acid, catechin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37.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진쑥(Artemisia iwayomogi)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예로부터 황달, 간염, 간암, 간경변 등의 간질환 및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소염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있어 민간의학에서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이러한 약리효능 이 있는 인진쑥을 기질로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과 같이 생리활성이 우수한 담자균을 배양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 목질진흙버섯 및 노루 궁뎅이버섯의 최적생육배지는 각각 MYPA, PDA, YMPG로 나타났으며, 최적 pH는 영지버섯 5.5, 목질진흙버섯 5.0, 노루 궁뎅이버섯 6.5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최적 배양온도는 영지버섯과 목질진흙버섯이 30 , 노루궁뎅이버섯이 25 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배양 조건에서 균체량을 측정하여 최적 배양일수를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 6일, 목질진흙버섯 5일, 노 루궁뎅이버섯 8일로 나타났다. 기질인 인진쑥의 수분함량에 따른 담자균의 생육조건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은 인진쑥 중 량에 대해 1.5, 2.0, 2.5배수(w/w)를 첨가한 컬럼테스트에서 생육상태가 비교적 우수하였으며, 특히 2.5(w/w)에서 균사 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목질진흙버섯은 2.0~2.5(w/w)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다른 담자균에 비해서 균사 의 생육이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루궁뎅이 버섯은 영지버섯과 동일한 수분함량조건에서 균사생육이 우수하게 나 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