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1.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적용하였을 때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감각통합중재의 객관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주요 검색어는 “sensory integration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sensory integration and autism”, “감각통합중재”, “전반적 발달장애”, “자폐”를 사용하였으며, 대상논문의 범위는 2000년 1월부터 2011년 7월까지로 하였다. ◉ 결과 : 본 연구에 포함된 5편의 논문 중 무작위 실험설계는 1편이었고, 개별 실험설계는 4편이었으며, 종속변수 측정 방법으로는 비디오 녹화를 통한 등간 기록 분석법 4편, 평가도구를 통한 분석법 1편이었다. 무작위 실험연구의 질적 평가를 위하여 CONSORT form 2010을 사용하였으며, 명백한 문항이 36%로 나타났다. 비 무작위 실험연구의 질적 평가에서는 RoBANS를 사용하였고, 평가 결과 4편 모두 비뚤림(bias)의 위험 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모든 논문에서 감각통합중재 이후 문제행동이 감소될 것이라는 가설과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 결론 :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대하여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겠다
        4,500원
        22.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AASP)과 우울(KDS)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 연구방법 : 장애아동 어머니의 감각처리능력과 우울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아동 어머니 90명(ADHD 아동 모 44명, 뇌성마비아동 모 46명)을 대상으로 감각 프로파일(Adolescents/Adults Sensory Profile : AASP)과 한국 우울증 검사(Korean Depression Scale : KDS)를 실시하였다. ◉ 결과 : 장애아동 어머니의 감각처리능력에서는 감각등록 저하, 감각 민감성과 감각 회피는 평균의 점수 분포를 나타냈고 감각 찾기만이 평균이하(1표준편차)의 수준을 나타냈다. 장애유형별로 살펴보면 ADHD 아동 어머니는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 보다 감각등록 저하와 감각 회피 영역에서 점수가 높았고 이는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5). 또한 ADHD 아동 어머니가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에 비해 우울감도 높게 나타났다. ADHD 아동 어머니의 감각처리능력과 우울감 비교에서는 감각등록 저하가 우울감과 관련성이 있었고,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에서는 감각 회피와 민감성이 우울감과 상관성이 있었다. ◉ 결론 : 우울이 감각처리능력과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연구에서는 장애 유형에 대한 부모의 감각처리능력과 양육 스트레스와 부모 기질 등과 같은 정신적 요인들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300원
        2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만 3∼5세 일반 유아 162명과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 204명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번역판 감각프로파일의 평가용지와 평가지침서를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라쉬 분석을 실시하여 단일차원모형의 적합성, 항목의 난이도, 평정척도의 적합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라쉬분석에서 23개 항목이 부적합 항목으로 판정되었고, 항목의 난이도 분석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감각처리능력에 비해 낮은 난이도의 평가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난이도가 높은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프로파일의 평정척도분석결과 5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감각프로파일의 임상적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난이도를 높인 새로운 평가항목과 3점 척도를 사용하여 한국형 감각프로파일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뤄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2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ADHD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과 불안을 일반아동과 비교하고, 감각처리에 어려움이 있는 ADHD 아동과 감 각처리에 문제가 없는 ADHD 아동과의 불안수준을 비교함으로써 감각처리 능력이 불안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 10월 4일부터 2011년 1월 14일까지 K시에 소재한 소아정신과 2곳에서 ADHD로 진단받은 만 7~9세 아동과 K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감각처리능력과 불안 설문 지를 실시하였다. 감각처리능력은 Short Sensory Profile을 사용하였으며, 불안은 한국형 소아 상태 및 특성 불안 척도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를 사용하였다. 총 150부를 방문 및 우편 배부하여, 102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 ADHD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더 보였으며, 불안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아동의 성별, 연령, 유형에 따른 감각영역과 불안 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성불안은 시각/청각 민감성, 활력부족/허약, 과소반응/특정자극 찾기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중 시각/청각 민감성은 특성불 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상태불안은 감각영역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감각처리에 어려움 이 있는 ADHD 아동은 그렇지 않은 ADHD 아동보다 특성불안에서 불안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태 불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ADHD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과 불안은 일반아동과 차이가 있으며, ADHD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은 불안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ADHD 아동을 평가하고 치료할 때 감각처리와 불안간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4,300원
        25.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감각 자극이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빈도수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지적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다감각 자극을 중재하였다. 아동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해 기초선과 유지기에LOTCA-II를 시행하였다.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 research design)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의 ABA'를 사용하였다. 연구는 기초선, 중재기, 유지기에 걸쳐 총 14회 동안 이루어졌으며 각 회기는 30분씩 시행되었다. 문제행동 빈도수는 20분 동안 측정되었다. ◉ 결과: 본 연구 결과 대상자 1의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기초선과 비교하여 다감각 자극 중재기 동안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 대상자 3, 대상자 4의 중재기 동안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감소하였다. 대상자 1, 대상자 3, 대상자 4의 유지기 동안 문제행동은 중재기 보다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는 감소하였다. 기초선과 비교하여 유지기 동안 대상자 1의 문제행동은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의 문제행동 빈도수는 감소하였다. 대상자 3과 대상자 4의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결론: 본 연구는 다감각 자극이 지적장애인의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효과를 보였다. 대상자 2는 기초 선과 중재기보다 유지기에 더 많은 감소를 나타냈으나 대상자 1, 대상자 3, 대상자 4는 지속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4,500원
        2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발달장애아동의 질환별 감각처리능력을 파악하여 감각통합치료에 방향성을 제시 하고, 작업치료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달장애아동의 질환별 감각처리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임윤정 등(2007)이 한국어로 번역한 Sensory Profile을 사용 하였다. 연구대상은 발달장애아동으로 진단받은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보호자에게 설문조사에 대한 동의를 얻어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방문 및 우편 배부를 하여, 총 325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성과 감각처리능력의 감각영역 14항목과 감각요인 9항목은 빈도 분석하였으며, 감각통합처리기술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후검정은 Scheffe 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 감각영역에서 G영역(지구력/근긴장도 조절)이 네 집단(ADHD아동, 자폐아동, 정신지체아동, 발달지연 아동)에서 모두 문제범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아동의 질환별 감각요인 비교에서 요인1(감각추구)과 요인2(정서반응)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결론 : 발달장애아동은 역치와 행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4개의 감각모델(감각등록저하, 감각민감성, 감각회피, 감각 찾기) 중 감각등록저하에 공통적인 문제점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정상아동과의 연구를 통해서 발달장애아동과의 차이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결정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4,500원
        27.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감각통합치료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지속적 몰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한 명의 만 5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지속적 몰두 행동을 가지 고 있는 아동을 선정하였다. 대상 아동의 지속적 몰두에 관한 표적 행동은 ʻ숫자를 보거나 만지면서 발화ʼ 와 ʻ의 미 없이 물체를 입에 넣고 물기ʼ 를 표적 지속적 행동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 사례 연구 방법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고, 자료수집 단계는 2회, 기초선 단계는 3회로 자유놀이 20분을 비디오 촬영을 통해 기록 하였고, 중재 단계는 8회로 중재 40분 후에 자유놀이 20분을 비디오 촬영을 통해 녹화 기록하였다. 결과 자료는 빈도수를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고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기초선 단계 3회기, 중재 단계 8회기 동안 지속적 몰두 행동의 빈도가 측정되었다. ʻ숫자를 보거나 만지면서 발화ʼ 는 기초선 단계에서 평균빈도는 70.33±15.14에서 중재 단계의 평균빈도는 12.75 ± 8.68로 크게 감소하였다. ʻ의미 없이 물체를 입에 넣고 물기ʼ 는 기초선 단계의 평균빈도가 16.00± 11.36에서 중재 단계 의 평균빈도가 7.75± 6.43로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감각통합치료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지속적 몰두로 나타난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치료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의 설계로 기능적 관계를 증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4,000원
        28.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만 3-6세의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발달장애아동 111명과 일반아동 135명의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에 관한 문항, 그리고 단축형 감각 프로파일에 관한 문항으로 총 95문항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고,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내외적 요인은 기술통계, 그룹 별 감각처리능력은 독립표본 t-검정, 그리고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은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결과 : 발달장애아동에서 감각처리능력의 평균 점수는 135.37±21.17점이었고, 일반아동에서 평균 점수는 165.02±16.69점으로 두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동 기질의 정서성과 또래관계이었다. 일반아동은 아동의 출생 시 몸무게와 기질의 정서성이 감각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4,600원
        29.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태도 및 감각처리 정도를 비교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각각 20명)를 대상으로 감각처리 질문지(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SP)와 어머니 양육태도에 관한 설문지(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를 실시하였다. 질문지의 작성 시간은 ASP 15분, MBRI 10분, 총 25분이 소요되었고, 2007년 9월, 10월 두 달간 설문이 실시되었다. 양육태도와 감각처리 점수는 평균을, 양육태도와 감각처리 점수와의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비교해 본 결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5). 감각처리 비교에서도 장애아동 어머니가 일반아동 어머니에 비해 평균적으로 점수가 낮았으며, 특히 자신에 맞게 환경적 자극이나 감각을 찾는 능동적인 행동이 많이 부족하였다.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와의 관련성 비교에서는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 모두 감각처리의 4가지 영역과 상관성 있게 나타났다(p<.05). 결론 : 환경적 자극의 인식과 민감성, 자극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부모일수록 아동에게 더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와의 관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부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30.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intended to compar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autism or PDD (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in sensory processing skills. To accomplish this goal, was translate and change of Short Sensory Profile(Dunn, 1999). The first step was perform factor analysis, items-total raw score relations and reliability of the scales. Then,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utism or PDD children was compared. Also, each two age group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utism or PDD children were compared. Finally, gender of eac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utism or PDD children were compared.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186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95 autism or PDD children aged 3 to 10 years. The result of the study have shown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otal score and sub factor score. This results yield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suggest that autism or PDD children had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age groups differences of autism or PDD children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age group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n fore sub-factor score and total score.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ender group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utism or PDD childre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es the fact that differences between typical children and autistic PDD children in sensory processing skills. The scales utilized this study can be used to screening the autism or PDD children with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It is expected that development of screening test tool for various disabilities children with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