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세종특별자치시 관내 국․공립 단설 및 병설유치원, 사립유치원 교사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상·중·하 집단의 인식을 보면 모든 집단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주된 목적은 ‘교육의 질 향상’으로, 가장 필요한 사항은 ‘공정하고 신뢰로운 평가도구’를, 불필요한 사항은 ‘업무과중으로 인한 수업 불충실’로 나타났다.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요소로는 교직전문성 인식의 상·중·하 모든 집단 교사가 ‘수업실행’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방법은 ‘기준점수를 정하고 그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을 때’ 우수교사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교사 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동료 교사 간 갈등과 위화감 조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결과는 교원 스스로의 전문성 향상 자료로 활용되어져야 하며, 전문성과 자질 이 우수한 교사는 학습연구년제 등 특별연수 기회를 부여해야 하고, 전문성과 자질이 부족한 교사는 현장 근무와 동시에 부족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별 맞춤형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조치로써 교원능력평가에 따른 업무경감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체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유치원 교원능력개 발평가의 전면 실시에 앞서 유치원 교육의 신뢰와 공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평가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제도의 안정적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22.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 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미국 남부에 위치한 F 대학교 예비교사 40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척도, 교사헌신 척도, 전문성 지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적합도 지수인 χ2/df=3.07, CFI=.98, RMSEA=.07, SRMR=.03로 나타나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최종모형에서 예비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전문성 지향성과 교사헌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전문성 지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전문성 지향성의 중요성을 통한 교사헌신을 교사 양성 과정에서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23.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D) in Korea using teacher samples from the first and second cycles of The 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y in School Education. Using chi-square tests and t-tests, we found 1)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tended to participate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 than non-content-focused PD; 2) middle school teachers had a decreasing pattern of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3)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mixed results in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and 4)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ed to participate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 than middle school teachers. More support for both middl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need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
        24.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개발 평가를 위한 대안으로서 이론적, 실증적 연구들에 의해 검토된 Desimone 모형의 시사점 및 한계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사 전문성 개발 평가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법의 한계를 지적하고, Desimone의 이론적 모형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둘째, 최근 5년간 국내에서 효과적인 교사 전문성 개발이라고 검토된 실증적 연구들을 선정하여 각 연구들이 Desimone의 이론적 모형에 의해 어느 정도 설명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Desimone의 모형이 국내의 교사 전문성 개발 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25.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간 협동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효과가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미국 뉴욕 주에 소재한 대학교의 석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7명의 음악교사들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 관찰과 심층면접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간 협동의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많은 음악교사들이 그들의 동료로부터 교사로서 열린 마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다. 음악교사들은 수업준비 과정에서 이 태도를 적용시켜 그들의 경험이나 사고에 의존하지 않고 새로운 자료나 교수법에 열린 마음으로 다가가도록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교사 간 협동은 음악교사들의 교수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음악교사들은 수업의 방향과 다를지라도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으며,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을 강조하였다. 또한, 수업시간에 교수들로부터 배운 새로운 교수법을 바탕으로 동료교사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음악활동을 개발하였다. 셋째, 음악교사들은 서로 협동하면서 그들이 취약하다고 여기는 교과과정을 재편성할 수 있었고 그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교사들 간의 협동이 학교조직 안에서 적극활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26.
        2010.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를 살펴보고, 이러한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교육청 관내 소재 공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원감, 교사 461명으로 전문성 발달은 보통 이상으로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는 보통 이상으로 경력에 따라 전체요구에서는 차이가 없으며, 하위영역인 교육 및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 연구능력에서 차이가 있다. 전문성 발달과 지식의 기초에 관한 요구 간에는 경력을 통제 한 후 살펴본 결과 보통의 정적 상관이 있으며, 연구능력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2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육개혁에 대한 일련의 논의들은 교육개혁의 중요한 요소로 교사의 리더십을 지적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교사리더십은 효율적인 교수-학습과정에 초점을 맞춰 이해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학교체육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체육교사들에게는 더욱 다양한 영역에서의 리더십 발휘가 요구되어진다. 체육교사의 교수전문성 리더십이 중요하며 다음과 같은 리더십의 개발이 필요하다. 첫 번째는 초임교사를 위한 멘터(mentor) 역할을 위한 리더십이다. 많은 초임교사들이 현실과 이론의 차이로 인해 현실충격(reality shock)을 경험한다. 동료교사가 체계적으로 초임교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는 어렵지만 학교 상황을 잘 아는 선임교사들이 초임교사의 적응과 교수전문성의 개발을 지원하는 리더십 발휘가 필요하다. 두 번째는 예비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자 역할을 위한 리더십이다. 교육실습에 참여하는 예비교사들은 학생신분에서 교사신분으로 전환되는 과정 겪는 어려움 극복을 도와주어 잘 준비된 교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사의 리더십은 매우 중요하다. 세 번째는 교사연구자 역할을 위한 리더십이다. 지식 소비자로 인식되었던 교사가 현장 개선을 위한 지식 생산 연구자 역할을 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체육교사가 발휘해야 할 리더십의 영역 확대에 대한 이해와 함께 리더십을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변화에 대한 진지한 고려가 필요하겠다.
        2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기초 과학 교육을 담당하는 초등교사의 과학전문성과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초등교사의 과학 전문성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실험연수에 대한 인식, 실험연수 이외의 과학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 초등 과학관련 연수의 운영 방향으로 구성된 34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전국의 초등 교사 4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초등교사의 과학전문성에 필요한 능력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증진시키는 능력과 실험, 탐구 지도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과학전문성 기준에 포함할 영역으로는 과학적 개념 이해 수준, 교육과정 이해 및 적용 수준, 실험․탐구 이해 및 수행수준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교사의 과학전문성 확보를 위해 체계적인 대학의 과학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선과 실험 연수 등 직무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지속적인 새로운 형식의 과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관주도적인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며 연수의 교육과정, 내용지식의 수준, 연수의 양, 강사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30.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전문성 발달의 하위 영역인 지식과 기술, 자기 이해, 생태적 측면의 발달에 따라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공․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202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백은주와 조부경(2004)이 개발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자기평가 도구와 이진숙(2003)과 임승렬(2004)이 개발한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 질문지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도구이다.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은 평균 점수를 중심으로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집단의 차이에 따른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F 검증과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성 발달과 전문성 발달의 하위 영역 중 자기 이해의 발달과 생태적 발달에 따른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상인 집단이 중․하인 집단 보다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1.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실 현장에 가면 곧 부딪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원리적인 이해와 접근의 필요성을 근대언어학의 큰 흐름을 중심으로 몇 가지 짚어본다. 특히 언어규칙(소위 문법)지도문제에서 (1) 기술문법 vs 규범문법 이슈를 통해, 보수적인 사고와 진보적인 관과의 대립양상이, 자신들이 가르치고 있는 언어/영어현상에서 어떻게, 또 현장에서 자신의 문제로 어떻게 드러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보게 하는 것 중심으로, (2)구어와 문어의 차이와 그 관계를 포함해, 관(우위에 대한 관)의 변화를 통해 언어 특히 영어 교사가 끊임없이 고민하며 균형을 취해야 할 과제에 대한 이해, (3) 그리고 그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덕목 중, 학습자 이해를 위해 갖추어야 할 전공자로서의 tool--오류분석의 연습--을 활용 적용할 수 있는 능력배양의 필요성 등을 짚어 보이며, ‘진정 교실 친화적이고 현장에서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영어교사의 모습’을 구체적인 영어 사례와 함께 그려본다
        32.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교실친화적 교원을 양성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사례기반 교수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사례기반 교수법과 관련된 문헌 분석을 토대로, 확장된 의미로서의 사례기반 교수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초등수학교육에서 사례기반 교수법을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지 전반적인 방법과 핵심적인 구성 요소들을 분석한 후, 구체적인 개발의 예를 제시한다. 또한 사례기반 교수법의 활용 방안 및 초등 교사의 수학과 전문성 신장 측면에서의 기대 효과 등을 논의한다.
        33.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사의 전문성은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고, 우리는 그 전문성이 직전 교사양성과정을 통해서 일정하게 길러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 전문성이 발현되는 곳은 교실상황이고, 특히 교실상황 속에서 어떻게 교과를 가르칠 것인가 하는 교과 지도의 전문성으로 표출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교과지도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통로로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의 구분을 전제로 하는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이수를 설정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처 방안으로 우리는 교과교육학의 재구성을 생각해볼 수 있고, 그 새로운 교과교육학이 교실상황과 보다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당위를 받아들여 ‘교실친화적 교과교육학’이라는 개념을 상정할 수 있다. 교실친화적 교과교육학은 그런 점에서 교실상황 자체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해서 각 교과의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과정에서의 모든 활동들, 교사 자신의 교과관이나 지식, 태도가 실제의 교과 수업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또는 관련성 분석을 그 연구주제로 삼을 수 있다. 이러한 주제들은 모두 교실친화력이라는 점에서 일관성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새로운 교과교육학의 정립은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의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4.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는 어떠하며,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은 하위영역별로 고도의 지적 능력,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봉사 기능, 사회 경제적 지위의 순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연수 내용의 하위영역은 유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유아교육의 기초, 교사 교육, 정보화 교육, 교육 행정 및 운영, 건강, 대인관계 기술, 예술 및 문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연수 방법의 하위영역은 문화 활동 참여, 매체 활용, 교육기관 참여, 단체 활동 참여, 사설기관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개인연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요구는 전체적으로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가 중집단인 교사가 하집단 교사에 비해 높고, 상집단 교사가 중집단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