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1.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까지 ChromameterⓇ CR-400, MexameterⓇ M18 그리고 육안평가는 피부색 평가를 위한 주된 평가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성 있는 평가방법으로 이미지 분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기존 평가방법의 변수들과 이미지 분석을 통해 얻은 V (Value) 값을 이용하여 미백 인체 효능평가를 수행하고 변수들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이미지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효능 평가를 위해 과색소침착으로 고민하는 34명의 시험 대상자를 모집하였고 선정된 시험 대상자들은 8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vitamin C가 함유된 5 종류의 미백 화장품을 사용하는 동시에 일주일에 1회 전기이온영동(iontophoresis) 시술을 받았다. 제품 사용 및 시술 전과 8주 후 기존 평가 변수들과 V 값 측정결과를 비교하고 각 변수들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제품 사용 및 시술 8주 후 V 값은 ChromameterⓇ의 L* 값의 경향과 유사하게 증가하였으며, L* 값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 = 0.494, p < 0.01). 또한, MexameterⓇ의 MI 값(r = - 0.683, p < 0.01)과 육안평가 측정 값(r = - 0.549, p < 0.01)은 V 값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미지 분석의 V 값의 활용은 기존의 평가방법과 더불어 주관적인 육안평가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미백평가 방법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2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ing herbaceous peat preparation and vitamin C in order to find out its effects on immunity and growth performance in Holstein calves. Twenty Holstein calves (39.3±4.21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allocated into four treatments by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trol (Basal diet), 2) treatment 1 (control +5% herbaceous peat), 3) treatment 2 (control+10g vitamin C) and 4) treatment 3 (control+10g herbaceous peat+10g vitamin C).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 was 38 days in this experiment, and blood metabolism, dry matter intake, body weight and diarrhea frequency were investigated. For blood metabolism, white blood cells (WBC), neutrophils (NE), lymphocytes (LY), and red blood cells (RBC)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were highest in T1 group feeding with the herbaceous peat prepa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and diarrhea frequency showed lowest in T3 group. Overall results of the present experiment indicate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herbaceous peat influenced positively on growth performances in Holstein calves.
        24.
        2012.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echu kimchi without cuttlefish (control), baechu kimchi with cuttlefish (CK), cuttlefish baechu kimchi with yogurt (CK+Y), and cuttlefish baechu kimchi with vitamin C (CK+VC) were prepared, an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pared kimchi samples were investigated during 28 days of fermentation at 4℃. The levels of moisture, crude lipid, and crude ash did not differ much among the samples, but the crude protein levels of CK, CK+Y, and CK+VC were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pH values of CK+Y and CK+VC slow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and CK during fermentation. The acidity increased sharply until 21 days then gradually increased thereafter. The total microbial counts achieved maximum levels at 21 days, and the kimchi to which yogurt and vitamin C were added showed value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number of Leuconostoc sp. in CK+Y and CK+VC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In our sensory evaluations, cuttlefish kimchi with yogurt or vitamin C scored highest in terms of texture, sour taste, ripened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26.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세과육 함유 사과주스의 비타민 C 첨가에 따른 저장 중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비타민 C 첨가 유무에 따라 저장 기간 동안 비타민 C 함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비타민 C 첨가농도에 따른 당도와 산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pH는 비타민 C 무첨가 구간 4.40에 비해 첨가구간에서 pH 4.30~4.29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색상의 변화는 비타민 C 첨가량이 증가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L값과 b값이 감소하였으며, 관능평가
        27.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 아파트의 발코니와 빌딩옥상에서 상추, 래디시, 미니배추 등의 채소를 재배하여 비타민 C와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을 재배장소별로 비교하였다. 아파트의 남향 발코니에서 재배한 채소는 외부 환경에 노출된 옥상 재배와 비슷한 생육정도를 보였으나, 일조량이 부족한 동향 발코니 재배 채소는 크기는 작으나 조직이 연해 샐러드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향 발코니에서 30일 재배한 상추와 래디시의 비타민 C 함량은 각각 18.0 mg%과 27.9 mg%로서, 동향 발코니와 옥상 재배 채소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활성은 옥상재배 채소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코니에서 재배한 채소는 수확 후 바로 섭취함으로서 저장 및 유통에 따른 항산화물질의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발코니 공간은 봄부터 가을철 까지 다양한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채소밭으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시 아파트의 발코니에서 기능성 식용식물을 재배한다면 관상효과와 더불어 매일 신선한 무공해 채소를 공급하게 될 것이며, 본 연구 결과는 발코니 채소밭 보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8.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블랙 라스베리 과실의 성숙정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과 이와 관련된 인자인 총페놀성 함량 및 비타민 C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과실의 성숙 단계에 따른 활성 및 성분변화 그리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였다. 블랙 라스베리 과실의 항산화활성측정 결과, 자유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모두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항산화 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총페놀 함량 및 비타민 함량 역시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자유 라디칼 소거능은 과실 결실 5일 후에서 125ppm 농도에서 61.67%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환원력은 과실 결실 10일 후가 0.71로 최대였다. 총페놀 함량과 비타민 C함량의 최대치는 각각 220.73ug/g과 540.45ug/g였다. 여러 인자들에 의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 그리고 환원력과 총페놀 함량과의 상관관계는 각각 r=0.9861와 r=0.9889로 고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블랙 라스베리를 수확함에 있어 완숙과보다는 미숙과가 약리적인 측면에서는 유용한 성숙단계라 할 수 있지만 크기나 무게 그리고 맛이나 과색에서는 완숙단계가 식용으로는 적합하고 항산화 활성 등에서는 낮으나 이용 가능한 약리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9.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압출성형 공정변수(배럴온도, 수분함량) 및 포장방법과 저장기간에 따른 압출성형 매트릭스 내부 비타민 C 함량변화와 손실속도상수를 분석하였다. 압출성형 매트릭스는 배럴온도(80, 90, 100 및 )와 수분함량(25, 30%)을 각각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비타민 C 함량은 배럴온도가 에서 로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수분함량이 25%에서 30%로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ON 필름진공포장과 LDPE 플라스틱필름포장 모두 배럴온도와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30.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공이나 저장 중 쉽게 산화되는 특성을 갖는 비타민 C의 안정성과 가공적성을 향상시키고자 Zein-DP와 HPMC-FCC를 코팅제로 한 유동층 코팅법을 이용하여 코팅한 비타민 C 분말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유동층 코팅은 비타민 C의 입자크기()와 코팅액의 혼합비(1:1.6, 1:2.5, 1:3(w/w))를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코팅효율은 의 경우가 보다 높았고 코팅액의 혼합량이 많을수록 감소함을 보였다. 코팅된 필름의 두께는 의 경
        32.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자의 생리활성 식품 소재로서 검토하기 위해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 억제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과육과 과피의 추출물 중에 총 페놀 함량은 각각 건물당 와 으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약 1.24배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건물당 와 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2.11배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유자 과피의 추출물은 유자 과육의 추출물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들 추출물은 그 자체에 비하여 각각 추출물에
        34.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창포의 뿌리를 주근(main root)과 측근(lateral root)으로 분리하여 3 열풍건조분말의 주된 포화지방산으로는 caprylic acid, pentadecanoic acid, stearic acid 및 heneicosanoic acid 등 10종이 확인되었고, 이들은 각각 주근과 측근의 경우 caprylic acid가 28.35%, 31.44%이었고, 불포화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palmitoleic acid 및 lin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