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2.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알로에가 첨가된 베이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알로에를 밀가루 무게의 1%보다 많이 첨가할 시 패널요원은 유의적으로 쓴맛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서, 제품에 1% 이하의 알로에 첨가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밀가루의 이화학 검사 결과 알로에를 1%까지 첨가함에 따라서 반죽의 회분 함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했지만, 베이글 제품의 부피에는 영향이 없었다. 알로에를 첨가할 시, 제품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Farinograph 결과 특히 가스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화도가 감소한다는 것은 반죽의 물성이 증가한다는 의미인데, 이는 반죽이 탄력성이 있고 제빵성이 좋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Extensograph 결과 반죽의 신장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발효시간을 늘리면 극복할 수 있겠다. Viscograph 결과 최고 점도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굽는 시간을 늘려줌으로써 개선할 수 있겠다. 이상의 결과, 알로에를 1%까지 첨가한 베이글은 알로에의 건강효과를 부여하며, 반죽의 가스 안정성을 높여 제빵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3.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oe, being used widely as a health food and also as a traditional folk remedy for burns and constipation, contains quinone derivatives particularly in its skin. Thus,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tracts of Aloe on ethanol metabolism. The dried powder of water extract of skinned Aloe (300 mg/kg body weight given to rats by oral administration at 30 min prior to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 given at a dose of 4 gm/kg) and the freeze-dried Aloe gel commercial product (600 mg/kg) which was prepared after selective elimination of quinones were found not to increase the ethanol metabolism rate in vivo. This result suggested that quinones, missing from the above preparations, might be responsible for enhancing ethanol metabolism rate.
        3,000원
        24.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aloe has been reported to have significant therapeutic effects, such as inhibition of cancer cells' activation and proliferation as well as anti-inflammatory, anti-viral, and anti-oxidation properties. However, the phytochemicals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loe vera flower extracts have not been widely investigated. In this regard, we investigated the phytochemical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the Aloe barbadensis flower in hydrogen peroxide-treated BALB/c mice. Methods and Results :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phenolic constituents' profil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s of Aloe vera flower for the first time. The ethanol-based extracts showed the inhibition for linoleic acid oxidation and free radical-induced DNA damage. Among about 11 phenolic constituents of the extract, identified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content of vanillic acid was highest, corresponding to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The extracts elevated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enzymes activities in the liver tissue of hydrogen peroxide-treated BALB/c mice. Th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well-correlated to the total phenolic content. Conclusion : In conclusion, Aloe bardadensis flower might be an effectiv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with high level of phenolic constituents.
        25.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Obvious applications of aloe (Aloe vera) and their rapid intake make it crucial to evaluate their biological impacts to aquatic organisms.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effects of aloe extract on zebrafish embryos (Danio rerio) by assessing teratogenic properties including survival rate, hatching success, heart rate and morphological changes for 96hpf (hours post fertilization). We noticed that exposure to aloe extracts (0.1, 10, 50, 100 and 150 μl/ml in embryo medium) to zebrafish embryos showed no alterations in survival and morphological changes when compared to control embryos. In contrast, embryos exposed to 150 μl/ml of aloe extract shows delayed hatching rate at 72hpf when compared to lower concentrations. Similarly, aloe extract at 150 μl/ml exposed embryos elicited significantly reduced heart rate (132 ± 1 beats/min) at 48hpf when compare to control embryos. Conclusion :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speculate the teratogenic effect of aloe extract on zebrafish embryos.
        2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정문 알로에 제주농·공장에서는 알로에 베라와 알로에 아보레센스를 중심으로 450여종의 알로에가 보존되어 져 오고 있으며, 알로에 종 일부는 전시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전세계 500여종의 알로에가 알려져 있는 가운데 제주농·공장의 알로에 보존 현황은 원산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많은 종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보존 또한 잘 이루 어지고 있다. 또한 변종 및 아종과 더불어 교잡종 등의 분류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분류군은 증가하리라 예상된 다. 따라서 제주농·공장에 보존되고 있는 다양한 알로에 종을 김정문 알로에의 경제적 자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해 서 이들의 유연관계를 분자생물학 기술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품종 구분에 대한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김정문 알로에 제주농·공장에 보존되어 있는 품종 중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35종의 품종을 대 상으로 하여 Operon 사의 OPF 프라이머 5종, OPD 프라이머 15종을 사용하여 RAPD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품종별 유연관계를 분석하였고, 10개의 그룹으로 알로에가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품종판별용 RAPD 마커 제작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2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알로에 겔이 분산된 W/O 에멀젼을 감압 건조하는 방법으로 분산상의 수분을 제거하여 알로에 겔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은 미네랄오일로 세척하고 재현탁시켜 유화제를 제거한 후에도 안정적인 현탁액으로 유지되었으며, 내부가 균일하게 채워진 직경 6.6 μm 이하인 구형 입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미네랄오일에 재현탁된 마이크로캡슐은 분율이 41% 이상에서 급격하게 점도가 증가하였고, 300 Pa 이상의 항복응력을 가진 전단유동화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틱소트로피는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는 유변학적인 특성을 보였다. 오일에 현탁된 알로에 겔 마이크로캡슐의 분율이 높을수록 반고체의 특성이 증가하고 105 ℃에서 15 min 동안 가열하여도 에멀젼의 안정성이 유지됨을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따라서 알로에 겔 마이크로캡슐 현탁 크림을 기본 제형으로 다양한 종류의 알로에 겔 화장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29.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알로에 베라(Aloe barbadensis Miller)분말에 대한 방사선 조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1, 3, 5, 7 kGy로 감마선 조사를 실시하여 PSL, TL 및 ESR 분석을 실시하였다. PSL의 경우 비조사 시료에서는 700이하의 photon count를 나타내었으며, 1 kGy이상 조사된 시료에서는 5000이상의 photon count를 나타내어 PSL을 통한 조사된 알로에 분말의 검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L분석 결과에서는
        30.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amines, salt strength. sucrose and gelling agents on the regeneration of plantlets by meristem culture of Aloe arborescens Mill. and Aloe vera L.. Shoot multiplication was more effective when 10mg/ l spermine in Aloe arborescens and 1mg/ l spermidine in Aloe vera added into MS medium than when other polyamines were treated into media. A quarter strength of MS medium was effective for rooting of shoots regenerated. Higher concentration of sucrose (45g/ l) was more effective for shoot regeneration. Addition of 4g/ l gelrite into the medium was effective for induction of multiple shoots from Aloe than that of agar or other concentrations of gelrite. When plantlets regenerated from meristem culture were transferred to pot. survival rate of plantlets was 80% on perlite and was 95% on vermiculite. respectively.
        32.
        199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medium and concentrations of growth regulators for induction of multiple shoot by meristem culture of floe otorefcenf Mill. MS medium supple-mented with 3μm TDZ was effective for induction of multiple shoot. Shoot multiplication was more ef-fective when 2mg/1 BA combined with 0.Img/1 IAA than when only BA were treated on medium. Halfstrength of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mg/L IAA was effective for rooting of shoots regenerated.When plantlets regenerated from meristem culture were transferred to pot, survival rate of plantletswas 80% on perlite and was 95% on vermiculite, respectivel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