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내 온열환경 및 조도에서 재실자가 느끼는 조명에 대한 감성의 변화와 작업의 종류에 따라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업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내 온열환경은 PMV(predicted mean vote) 지표 값을 기반으로 환경을 구성하였고, 조명환경은 LED광원을 이용한 스탠드를 통해 조명의 밝기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실내 환경을 구성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주어진 환경에서 설문지를 통해 조명에 대한 감성을 평가하고 종류가 다른 오류검색수정 작업을 진행하면서 뇌파와 심전도를 측정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작업의 종류에 대한 모든 생체신호는 온열환경의 변화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MV 지표 값이 0.8(온도: 25 ℃, 습도: 50 %)일 경우 집중력 및 주의력이 가장 활성화 되었다. 하지만, 조도의 변화에 는 대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재실자의 업무 능력에 미치는 집중력은 온열환경과 밀접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명에 대한 주관적인 감성은 조도가 낮을수록 편안함을 느꼈으며, 조도가 높을수록 불편함을 느꼈다. 하지만 온열환경의 변화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300원
        2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에서는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단시간 근로자를 활용하는 것은 기업의 노동비용 절감과 인력운영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있는 반면, 인력관리 비용의 증가와 업무 생산성 유지의 애로가 있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업무성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시간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조
        5,100원
        2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지역보건법에 근거한 보건소와 치매지원센터에서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 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직무특성을 알아보고 직무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CBR에 서 작업치료사의 역할 정립과 작업치료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국내 보건소 및 치매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온라인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직무지향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 CBR에서 작업치료사 직무 내용은 환자평가, 예방교육, 일상생활활동훈련, 인지 및 지각능력 증진 순으로 많았 다. 현재 실시 중인 작업치료 직무 중 힘든 서비스 형태로는 행정적인 업무, 지역사회 교육하기 등이 있었고, 작업 치료 서비스 시행이 어려운 이유로 다른 전문 인력 부족, 프로그램 기획력 및 조직력 부족, 다른 전문가와의 의사소 통 등이 있었다. 고용안정성은 불안정한 편이었고, 자신의 직무에 대한 자율성은 어느 정도 보장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고용형태와 고용안정성, 근무처와 자율성, 환자수와 승진기회는 부적 상관성이 있었고, 한편 월 급여와 자 율성, 학력과 자율성은 정적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CBR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역할 정립의 필요성 둘째, 작업치료 업무 외에 행정적인 업무, 지역사회 교육하기, 프로그램 기획력 및 조직력, 다른 전문가와의 의사소통 등에 대한 교육 및 연구 의 필요성 셋째, 작업치료사의 고용안정성 및 자율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법 제정이 필요하다.
        4,500원
        25.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인인구 증가 및 만성퇴행성 질환의 증가 추세 속에서 장기요양보호 대상에 대한 간병서비스의 필요성은 증가하는데 반해 가족에 의한 노인간병과 보호의 기능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앞으로 간병인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서 건강상의 문제를 지닌 노인환자를 가족들을 대신해 보수를 받고 돌봐주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간병인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 수준을 알아보고, 실제로 노인의 태도가 업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의 관계규명을 통해 앞으로 노인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 및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 전환을 통해 서비스의 질은 물론 업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5,500원
        27.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6 Sigma on menu management, work commitment and quality in the culinary division of hotels and family restaurants.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s of menu management, work commitment and quality performance on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u management and culinary quality was evaluated here. The subjects evaluated in this study were employees of culinary division of hotels and family restaurants that implemented or were about to adopt the 6 Sigma program. A total of 38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a reliability test,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6 Sigma program influenced menu management, work commitment and culinary quality. Moreover, menu management, work commitment and culinary quality performance were found to impact customer satisfaction and culinary quality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culinary divisions of hotels and family restaurants should incorporate the 6 Sigma program as soon as possible. To implement this program, faultless data for the 6 Sigma program should be collected using sufficient preparation procedures. After the data were collected, a task force team should be developed, experts should be cultivated and employees should be trained as necessary. Finally, the current level of product and services should be measured and reported to all employees in the culinary division and a challenge spirit should be brought with understanding for the reason for implementation of the 6 Sigma program. In implementing the 6 Sigma program, the leadership of the top manager and the head of the culinary division is very important.
        4,300원
        2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Due to the lack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 increase of sedentary behaviors such as screen time, the health condition for contemporaries has been deteriorat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the use of worktable or tools unfit for body and sedentary behaviors can exercise influence on muscular skeletal disease and how it has an impact on lowering work efficiency and the quality of life with the medium of the muscular skeletal disea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 has developed a questionnaire with 5 hypothesis. The questionnaires were also made by interview and E-mail. 35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15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valid data responses. SPSS ver.22.0 were used and made Cronbach's and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Baron & α Kenny 3 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earch has found that living environment factor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occurrence of musculosketal disease. Particularly, repeated use of unfit worktable or tool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uscular skeletal disorder. And sedentary lifestyle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isease. The musculoskeletal disease caused by living enviro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lowering the work efficiency. This study has also showed that the muscular skeletal disease h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environment factors and the decrease of work efficiency due to musculoskeletal disease.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can effect the decrease of the quality of life as well, for the decrease of work effici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Conclusions - Sedentary lifestyles, the use of worktable unfit for body, and the repeated use of a tool have caused the increase of muscular-skeletal diseases, and reduction of productivity as well as the hight cost of medical treatment for our contemporaries. Understanding the cause of disease morbidity, finding ways to prevent the disease, and educating people about them would contribute not only to improvement of individual health but also to the advancement of welfare for all.
        30.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의사람들이 실내공간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실 내공간의 물리적인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오피스에 서 장시간 근무하는 업무자들은 그들의 직무와 업무환경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러한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리적 인 안정감을 주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식물의 도입은 이미 많은 연구 를 통하여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식물의 심리적 회복 효과와 관련하여 업무자가 선호하는 실내조경 공간을 도출하고 업무자의 심리적 회 복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조경모델을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도출된 모델을 실제 업무공간에 적용하여 적용된 실내조경모델이 업무자 의 심리적 회복에 기여하는 것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 4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예비 업무자 그룹인 S여대 3,4학년 124명과 실제 개방형 업무공간에서 일하는 40명의 업무자들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회복환경과 주의회복 척도를 가지고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업무자의 심리적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후 문헌조사, 현장조사 및 설문결과를 종합하여 실제 업무공간에 도출된 실내조경 모델을 적용함으로 업무자들의 심리적 회복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업무공간에 업무자들의 심리적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 를 주는 디자인화 된 실내조경은 식물이 있으나 디자인화 되지 않 은 공간이나 식물이 없는 공간보다 1.5배에서 2배에 달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방법론적 제시는 업무공간 내 실내조경 모델을 선정 하는데 있어 기존의 다양한 실내조경 디자인의 접근방법과는 차별 화 된 ‘선호’와 ‘회복환경 척도’와 ‘주의회복 척도’를 사용하여 보 다 심리적인 접근 측면에서 유용하였고, 단면적인 결과 도출이 아 닌 종합적인 제시를 통하여 디자인 선정이 의미가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 요소의 다양성과 많은 변수를 감안하여 볼 때 본 문에서 제시된 디자인 요소와 적용 공간은 극히 제한적이다. 이는 디자인 요소를 정량화 시키는 과정에서 일관성 있는 기준 제시로 통계적 오류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선택했기 때문인데 앞으 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업무자들의 심리적 회복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활용될 수 있는 많은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