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23.
        201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tinoic ac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In our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all-trans retinoic acid (RA) on cell proliferation and on the cell cycle regul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HGFs). Cell proliferation was assessed using the MTT assay. Cell cycle analysis was performed by flow cytometry, and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Cell proliferation was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a 0.1 nM to 1μM RA dose range, and maximal growth stimulation was observed in cells exposed to 1 nM of RA. Exposure of HGFs to 1 nM of RA resulted in an augmented cell cycle progression.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cell cycle regulation by RA, we measured the intracellular levels of major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The levels of cyclin E and cyclin-dependent kinase (CDK) 2 were found to be increased in HGFs following 1 nM of RA treatment. However, the levels of cyclin D, CDK 4, and CDK 6 were unchanged under these conditions. Also after exposure to 1 nM of RA, the protein levels of p21 WAF1/CIP1 and p16 INK4A were decreased in HGF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the levels of p53 and pRb were similar between treated and untreated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 increases cell proliferation and cell cycle progression in HGFs via increased cellular levels of cyclin E and CDK 2, and decreased cellular levels of p21 WAF1/CIP1 and p16 INK4A.
        4,000원
        24.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umor cells express altered metabolic activities often linked to mitochondrial dysfunction. Such mitochondrial defects can inhibit oxidative phosphorylation, change the cellular redox status (NAD+/NADH), increas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cause DNA damage that further supports tumorigenesis and a metastatic phenotype1,2. Mitochondrial Complex I (NADH dehydrogenase) is a major site of ROS production in mitochondria and regulator of the NAD+/NADH ratio. This study is focused on mitochondrial complex I as a possible modulator of tumorigenesis and progression in breast cancer. We used NADH dehydrogenase from yeast, called NDI1, to augment complexI activity in metastatic human breast cancer cells. We followed NDI1 functionality and impact on tumor cell behavior in vitro and tumor progression in vivo. Augmentation of NADH dehydrogenase activity through NDI1 resulted in an enhanced NAD+/NADH ratio and slight inhibition of ROS production. Importantly, NDI1 expression inhibited metastasis and tumor growth in the mammary fad pad of immune deficient mice, as seen by non-invasive bioluminescence imaging and histology. The mechanisms involve NDI1-induced inhibition of the AKT/mTOR survival pathway and autophagy stimulation. Knock-down of ATG5 partially reversed the anti-metastatic effect of NDI1, demonstrating that enhancement of autophagy is responsible for NDI1-mediated inhibition of breast cancer spread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mitochondrial complex I activity can drastically impact tumorigenesis and metastasis in breast cancer, and that augmentation of complex I function through NDI1 can inhibit tumor formation and cancer progression through NAD+/NADH ratio modulation.
        25.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ive offspring is obtained from in vitro production of porcine embryos, but the procedure is still associated with great inefficiencies. In mammalian oocytes, acquisition of meiotic competence coincides with a decrease in general transcriptional activity at the end of the oocyte growth pha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positive transcription elongation factor P-TEFb (CDK9/Cyclin T1), a RNA polymerase II CTD kinase during pig oocyte growth and early embryonic development. Localization and expression of components involved in mRNA and rRNA transcription were assessed by immunocytochemistry in growing and fully-grown oocytes. In addition, meiotic resumption, germinal vesicle breakdown, nuclear transcription and embryonic genome activation (EGA) were analyzed in oocytes and embryos cultured in presence of a potent CDK9 inhibitor, flavopiridol. Our analyses, demonstrated that CDK9 became co- localized partially with phosphorylated Pol II CTD and mRNA splicing complexes. Surprisingly, CDK9 was co-localized with Pol I-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UBF, and gradually localized in nucleolar peripheries at the final steps of oocyte growth. Later, CDK9 became associated with nucleolar structures at 4-cell stage. Treatment with flavopiridol resulted in arrest in meiotic resumption, germinal vesicle breakdown as well as a decline in global transcription. Flavopiridol also inhibited embryo development beyond EGA. All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CDK9 has a dual role in both Pol I- and Pol II-dependent transcription in pig oocyte growth and embryonic development.
        26.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umor cells, especially in a malignant form, proliferate rapidly that blood supply within the tumors becomes limited, leading to a condition of insufficient oxygen supply. Such hypoxic condition is known to impair the viability of cancer cells, but it can also be a factor to facilitate the appearance of cells with a higher degree of malignancy. Indeed, the hypoxic condition created within malignant tumors may contribute to promoting their aggressive behaviors, including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and to the development of resistance to various therapeutic modalities such as chemotherapy. Recently, microRNAs, a group of short RNA fragments consisting of 18 to 20 nucleotides, have been shown to participate in regulating genes important for cell survival,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Since their discovery, modulation of these microRNAs has been a focus of intensive studies with regard to their significance on gene regulation and various aspects of cell biolog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ypoxia-induced alterations in microRNAs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cells and discussed consequential gene modulation and relevant cellular responses.
        4,000원
        2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중학생(14~16세)과 고등학생(17~19세)의 굴절이상도를 2년간 추적하여 굴절이상의 변화를 분석, 비교하고 이의 결과를 중고생 근시 진행에 관한 자료와 근시 예방 대책을 세우는데 기본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방 법: 전북에 소재한 안경원에 첫 번째 검사(2009.01.01~2009.09.30), 12개월 후(두 번째 검사, 2010.01.01~2010.09.30), 24개월 후(세 번째 검사, 2011.01.01~2011.09.30)와 같이 12개월을 주기로 3회 이상 내원한 현재 중학생 3학년 150명, 현재 고등학생 3학년 150명의 동일대상의 굴절검사 기록을 비교, 분 석하였다. 굴절이상의 검사는 기존의 안경 굴절력을 바탕으로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첫 번째 검사, 12개월 후, 24개월 후 측정한 전체 평균 등가구면 굴절력은 중학생 -3.55D± 2.44D, 고등학생 -4.70D±2.18D이었다. 굴절이상의 평균 변화는 첫 번째 검사에서 24개월 후 중학생이 -0.90D±0.19D, 고등학생이 -0.85D±0.17D로 중학생에서 평균 변화량이 약간 높았다. 안경의 굴절력은 1 단계가 0.25D이므로 근시도의 -0.25D의 변화를 1단계(step)의 변화로 나타내었다. 근시 진행량은 1단계 이 하(-0.25D 이하), 2~3단계(-0.50D~-0.75D), 4단계 이상(-1.00D 이상)으로 나누었다. 중학생 첫 번째 검 사에서 24개월 후 근시 진행량은 1단계 이하 11.67%, 2~3단계 38.34%, 4단계 이상은 50.00%로 조사되었 다. 고등학생 첫 번째 검사에서 24개월 후 1단계 이하는 9.70%, 2~3단계 44.00%, 4단계 이상은 46.30%로 조사되었다. 굴절상태와 굴절정도에 따라 A그룹(+0.75D 이상), B그룹(-0.75D~-2.75D), C그룹 (-3.00D~-5.75D), D그룹(-6.00D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그룹별 전체 평균굴절력은 A그룹 2.25D±1.22D, B그룹 -2.32D±0.67D, C그룹 -4.70D±0.85D, D그룹은 -7.58D±1.05D로 조사되었다. 전체 안경 착용자 중 근시의 비율 변화는 중학생에서 첫 번째 검사, 12개월 후, 24개월 후 96.67%로 변화가 없었고, 고등학생 은 첫 번째 검사와 12개월 후 98.67%로 변화가 없었고, 24개월 후 99.67%로 1% 증가하였다. 결 론: 굴절이상이 있는 중고등학생 300명을 2년간 추적하여 굴절력을 분석하고 비교해 본 결과 근시의 발생율이 과거보다 현저하게 진행하였다. 많은 학생들이 긴 시간의 학업과 52.16%의 인터넷 중독(잠재적 중 독 포함)으로 인한 컴퓨터의 장시간 사용과 2009년 도입된 스마트폰의 장시간 사용이 가성근시에서 진성근 시로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학생들의 근시 진행을 예방하기위해 근거리 사용시간을 줄이는 적절한 대책이 계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2년간의 추적을 통하여 초기 성년의 굴절이상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3월과 2010년 3월 37명(74안)을 대상으로 조절마비 상태에서 Canon RK-F1으로 자동굴 절검사를 실시하였고 IOLMaster V.5.2(Carl Zeiss Meditec)를 이용하여 각막곡률반경, 전방깊이, 안축길이를 측정하였다. 2008년 피검자들의 나이는 18세에서 21세에 분포하였다. 결 과: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0.305±0.430D(t = 6.115, p = 0.000) 근시방향으로 진행하였으며 각막 곡률반경 변화량과 굴절이상도 변화량은 양의 상관성이 있었고(r = 0.282, p = 0.015), 굴절이상도 변화량과 AL/CR 비의 변화는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r = -0.240, p = 0.039). 굴절이상도 변화량과 안축길이 변화량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다(r = -0.012, p = 0.388). 굴절이상도에 따른 변화에서 정시군에서는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변화와 각막곡률반경 변화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성(r = 0.722, p = 0.002)이 관찰되었으나 등가 구면굴절이상도 변화와 안축길이 변화 사이에서는 상관성을 유의하지 않았다(r = -0.295, p = 0.286). 근시 군에서는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변화에 대한 각막곡률반경 변화와 안축길이 변화간의 상관성은 각각 r = 0.287, p = 0.048과 r = -0.046, p = 0.756으로 나타났다. 원시군에서는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변화와 상관성을 보이는 항목이 없었다. 2년간의 굴절이상도는 근시군에서 가장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t = 7.599, p = 0.000). 결 론: 굴절이상도 변화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는 항목은 각막곡률반경 변화와 AL/CR비의 변화였으며, 초기 성인들에 있어 주요한 굴절이상도 변화를 유발하는 요인은 각막곡률반경의 변화로 나타났다. 근시군에서 굴절이상의 변화양상이 현저하였으며, 초기 성인에서의 굴절이상도 변화는 안축길이 변화보다는 각막곡률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2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arian cancer is a significant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in women, but the main biological causes remain open questions. Hormonal factors have been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determinant causing ovarian cancer.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I and its analogs have clinically therapeutic value in the treatment of ovarian cancer. In addition, numer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otential of GnRH-II in normal reproductive system or reproductive disorder. GnRH-I receptors have been detected in approximately 80% of ovarian cancer biopsy specimens as well as normal ovarian epithelial cells and immortalized ovarian surface epithelium cells. GnRH-II receptors have also been found to be more widely expressed than GnRH-I receptors in mammals, suggesting that GnRH receptors may have additional functions in reproductive system including ovarian cancer.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 following the binding of GnRH to GnRH receptor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The activation of protein kinase A/C (PKA/PKC) pathway is involved in the GnRH-I induced anti-proliferative effect in ovarian cancer cells. In addition, GnRH-I induc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ctivation plays a role in anti-proliferative effect and apoptosis in ovarian cancer cells and the activation of transcriptional factors related to cellular responses. However, the role of GnRH-I and II receptors, there are discrepancies between previous reports. In this review, the role of GnRH in ovarian cancer and the mechanisms to induce anti-proliferation were evaluated.
        4,600원
        30.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근시진행정도를 학제별로 초등학교 저 학년생(30명)을 A군, 초등 학교 고학년(30명)을 B군, 중학생(30명)을 C군, 고등학생(30명)을 D군으로 나누어 각 근시 진행정도를 비교해 어느 시기에 가장 많은 변화가 발생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3년간 3회 이상 안경원에 방문하여 시력교정을 받은 120명(남 : 60명, 여 : 60명) 240안을 대상으로 굴절검사 기록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등가 구면굴절력의 분포는 A군 -2.32D, B군 -2.57D, C군 -3.44D, D군 -3.95D로 연 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 등가 구면굴절력의 월별 변화량은 남학생의 경우 A군 -0.06D, B군 -0.055D, C군 -0.055D, D군 -0.025D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A군 -0.08D, B군 -0.06D, C군 -0.05D, D군 -0.04D로 나타났다. 결 론 : 등가 구면굴절력의 월별 변화량을 고려해 안경 도수의 변화가 있는 시기를 굴절 검사가 필요한 시기라고 가정한다면, A군은 3.7개월, B군은 5.1개월, C군은 4.7개월, D군은 8.5개월로 예상되었다
        4,000원
        31.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성장기 초등학생의 굴절이상도를 추적관찰하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여 근시 발생 및 예방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한다. 방법: 일산거주 초등학생 81명(162안)(7~11세)을 대상으로 24개월 동안 조절마비하 자동굴절검사(Topcon KR 7100-P)를 3회 실시하였다. 결과: 7~11세의 근시 발병률은 24개월 동안 14%가 증가하여 마지막 측정시 53%였고, 전체 대상자의 등가구면 굴절력은 -0.79±0.85D 근시쪽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skewness(왜도)는 -1.01±0.25에서 -1.08±0.25로 증가하였고, kurtosis(첨도)는 1.72±0.49에서 1.31±0.49로 감소하였으며, 굴절이상도는 0.09±1.79D에서 -0.72±2.21D로 진행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skewness(왜도)는 -1.02±0.29에서 -0.61±0.29로 감소하였고, kurtosis(첨도)는 2.30±0.57에서 0.84±0.57로 감소하였으며, 굴절이상도는 -1.59±1.79D에서 -2.35±2.52D로 진행하였다. 근시그룹은 정시 및 원시그룹보다 근시 쪽으로 높은 변화를 보였다(p
        4,800원
        32.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o-Like Kinase(PLK) is a cell cycle-regulated, cyclin-independent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Recent reports have shown a critical role for PLK during tumorigenesis. To explore whether PLK plays a general role as a tumor marker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PLK mRNA and protein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and immortalized normal oral keratinocytes(INOK). We also investigated that PLK mRNA was expressed in specimens from 4NQO-induced SD rat tongue carcinomas using in situ RT-PCR methods. Immunocytochemically, most of the PLK was highly expressed in the nucleus of carcinoma cells, but not INOK. RT-PCR revealed PLK1 mRNA was detected in the FaDu and Hep2 cancer cells, but no detected in the INOK. In situ RT-PCR revealed PLK1 mRNA expression increased sequentially from hyperplasia to dysplasi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during the malignant progression. PLK1 expression could reflect the degree of malignancy and proliferation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Thus, in addition to being of diagnostic value, modulation of PLK1 activity in the tumors by chemotherapeutic agents or gene therapy may prove to be of therapeutic value.
        4,000원
        3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18세의 295 명(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굴 절검사, 자동각막곡률검사 및 A -scan Ultrasonography를 실시하여 12 개윌 동안 굴절 이상도와 안광학상수의 변화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조절마비 상태에서 자동굴절계로 측정한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의 평균 변화도는 -0.371 :1: 0 .49D 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t 二2 1.1 13 , p == 0.000), 자동각막곡률계로 측정한 각막독률반경 의 평 균 변화도는 0.014:1:0.155 rnm의 증가를 보였으며 (t == -2.204, p 二 0.028), A -Scan Ultrasonography로 측정 한 안구의 길 이 는 0.460:1:0.484 rnm의 증가를 보였고 (t = -23.069, p 二0.00이, 안축장/각막곡률반경의 비는 0.052 :1: 0.080의 유의한 증 가를 보였다 (t 二-15.771, p = 0.000). 안구성장이 굴절이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안축장 변화도와 굴절 이상 변화도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고 (r = -0.177, p == 0.00이, 각막곡률반경과 굴절이상 의 변화도는 상관성 이 없었다 (r = 0.036, p = 0.378). 큰시진행과 상관성이 높은 안광학상수는 안축장 (1차 r 二0.774, 2차 r = -0.805) 이었 으며 초등학생에서 굴절이상의 변화와 함께 높은 변화량을 보였고, 중학생에서 굴절 이상도와 안축장의 변화도 사이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r = -0.516). 안축장 변화량 이 높은 초등학생에서 각막곡률반경이 양의 방향으로 길어졌으며 근시진행을 상쇄하 는 효과를 나타냈다. 향후 근시진행과 관련된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광범위한 모집단과 장기적인 연구 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5,200원
        3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장기 학생의 근시진행도를 측정하고, 연령파 성별에 따른 특정을 분석하여 근시 발생과 예방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한다. 7-18세의 일산거주 초 · 중 · 고등학생 295 명 (590 안)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 굴절검사 (Topcon KR 7l00-P)를 실시하여 12 개월 동안 굴절상태의 변화를 비교 분 석하였다. 근시 안은 1 차 측정 시 336안 (56.95%) , 2차 측정 시 379안 (64.24%) 으로 43안 (7.29)% 증가하였고, 전체 대상에서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의 평균은 1차 측정시 -1.558:f::2.382D 에서 -1.947 :f:: 2 .479D로 평균 0.37l:i::0.497D 큰시쪽으로 진행하였으며 (t 二2 1.1 13 , p 二 0.000), 굴절이상 변화량의 범위는 + 1.63 - -1. 88D 였다. 정시 빚 원시군(등가구면 굴절력 -0.75D 미만)과 근시군(등가구면 굴절력 -0.75D 이상)의 근시 진행도를 비교한 결과 정시 및 원시군(평균 변화도 -0.293 :f:: O.388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460 土0 .474D) 에서 변화도가 더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t = 4.542, p = 0.000이, 전체 남학생에서 등가구면 굴절이상의 변화도는 -0.345:f::0.48ID, 전체 여학생은 -0.389 :f::O.507D로 여학생이 근시쪽으로 더 진행하였으나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 (t = -1.053, p = 0.293). 전체 대상자에서 A그룹 (+4.00- -O.5OD)은 248안 (42.03%) , B그룹( -0.75--4D) 은 256 안(43.39%) , C그룹 (-4.25D 이상)은 86안 (14.58%) 이였고 6D 이상은 33안 (5.6%) 이였 으며, B그룹(중등도 근시군)에서 근시쪽으로 평균 변화도가 가장 높았고 세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 二12 .1 34, p = 0.000) 초등학생 의 굴절상대 분포에 서 1 차 빛 2차 측정 의 Skewness는 각각 g1 = ← 0.904士 0.140D, gl = -0.781 이 고 Kurtosis는 각각 g2 二1.170:f::O.280D, g2 = 1 .433 :f:: O.280D로 1년 동안 굴절이상도가 0.85 :f:: 2.075D에서 -1. 32 :f:: 2.262D로 진행하였고, Platokurtic의 분포 를 보였으며, 연령이 높은 학생보다 12 세 이하의 학생에서 근시쪽으로 변화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시쪽 변화도가 낮았고, 큰시군이 정시 및 원시 군보다 근시쪽으로 변화도가 높았으며, 남녀 사이에서는 여학생의 변화도가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국 학생은 이른 7~8세에 근시가 시작되고 근시진행은 미국과 유럽지역 학생보 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기 학생의 굴절이상 변화를 이해하고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하여 근시 예방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100원
        36.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wedged insole and foot progression angle (FPG) on lateral thrust of knee in healthy subjects. Fifteen healthy mal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Suncheon First College, in Suncheon. The subjects randomly walked at the comfortable velocity under five conditions: bare footed, medio-lateral wedged insoles, toe-in and toe-out gait. The lateral thrust was measured by a accelerometer with telemeter during walking. Data was collected while each subject walked for about 10 gait cycle on a flat, level walkway at their normal speed. The middle three gait cycle were used for averaged peak value of lateral acceleration. The three averaged peak value of lateral acceleration were collected under each condition at heel strike. The results showed that averaged peak value of lateral accele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medial wedged insole and toe-in gait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lateral wedged insole and toe-out gait as compared with bare footed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dged insole as well as walking strategy, such as foot progression angle, may prevent progression of degenerative knee osteoarthritis.
        4,000원
        3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 수색초둥학교 3-5학년 재화생 111 명(남 45명, 여 66명) 222안올 대상으로 굴 철이상도, 각막곡률 및 안구의 걸이롤 측정하여, 8개월 동안 변화 추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조절마비 상태에서 자동굴절계로 측정한 둥가구면 굴철이상도의 펑균 변화도는 -0.32:3 ::t 0.346 D( -0.399 ::t 1.621 D에서 -0.722 ::t 1.719 D) 외 유의한 증가률 보였고 (t '" 13.985, p = 0.0000), 자동각막곡훌제로 측정한 각막굴철력의 평균 변화도는 -0.02 ::t 0.246 D(43.322 :t 1.241 D에 서 43.301 ::t 1.갱OD) 의 감소률 보였으며 (t = 1.239, p = 0.217), A -Scan Ultrasonography로 측정 한 안구의 길 이 는 O.잃6 :t 0.239 mm(23.231 ::t 0.875 mm 에서 23.467 ::t 0.940 mm) 의 유의 한 중가를 보였고 (t = • 14.730, p = 0.0000), 안축장/각 막곡률비는 0.029 ::t 0.035(2.980 ::t 0.1 14에서 3.009 ::t 0.12 1)의 유의한 증가훌 보였다 (t = --12.388, p = 0.0000). 안광학상수의 변화가 굴절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안축장의 증 가가 근시도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온 낮은 상관성올 보였고 (Y = 0.173 + -0.198 * X; r = -0.284, p < 0.(001), 각막곡률의 감소와 근시도의 증가 사이에는 상판성이 없었다 (Y = -0.031 + -0.033 * X ; r'" -0.046, p = 0.48). 또한 정시 및 왼시군(둥가구면 굴절이상도가 -O.50D 야하)과 근시군(둥가구면 굴 절이상도가 -O.50D 이상)의 근시진행도를 비교한 결과 정시 및 왼시군(평균 변화도 -0.234 ::t 0.330 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458 ::t 0.327 D) 에서 근시도가 더 크게 증가 하였고 (t'" -4.983, p = O.α)()()) , 안축장은 정시 및 원시군(평균 변화도 0.175 ::t 0.217 mm) 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331 ::t 0.241 mm) 에서 더 크게 증가하였고 (t = 4.986, p = αoα삐), 각막곡률은 정시 및 원사군(평균 변화도 -0.013 ::t 0.254 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031 :t 0.233 D) 에서 더 크쩨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t = -0.513, p '" 0.608). 따라서 초등학생에서 신체의 성장과 함께 굴절상태가 근사쪽으로 진행하며 안축장 이 증가하는 반면 각막의 굴절력온 갑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원시 및 정사군보다 근시군에서 근시도 및 안축장악 변화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0.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and timing for in vitro maturation of oocytes to metaphase of meiosis II (M II), the immatured follicular oocytes were recovered by puncturing the large(1.0~1.5 mm in diameter) and small(<1.0 mm in diameter) follicles in the ovaries of rabbits treated intramuscularly with a single dose of 100 TU PMSG 68 hours previously. The follicular oocyt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by the attachment of cumulus cells. The Grade I and II follicular oocytes from large follicles were cultured in BO-DM medium with 10% FCS, 35 g /nl of FSH, 10 g /ml of LH and 1 g /ml of estradiol-17 at 39t in a 5% incubator for 11 to 23 hours. In 3 hours interval during the culture period, the oocytes were harvested and their cumulus cells were removed with hyaluronidase. The denuded oocytes were stained with Hoechst 33342 dye and their meiotic status and extrusion of the first polar body (PB) were examined under a fluorescence microscope. Also the fragmentation of the first PB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B and nucleus were examin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recovery rate of follicular oocytes from the large and small follicles was 59. 9 and 31.3%,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oocytes recovered per rabbit and the Grade I percentage were 14.6 and 94.4% in large follicles, but 2.1 and 61.1% in small follicles, respectively. All the parameters examined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p<0.05) between both the folliclular size. 2. Most of the follicular oocytes(86.8%) were matured in vitro to M II phase in 14 hours in Grade I oocytes, but the significantly(p<0.05) less oocytes(45.5%) were matured in Grade II oocytes. 3. The first PB was extruded in most of the oocytes(94.7%) in 14 hours of culture with the fragmentation rate of 29.6%, but the fragmentation rate of the first PB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culture period for maturation was longer to 20 hours(63.5%). 4.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B and nucleus was increased linearly (p<0.05) as the maturation time passed from 14(7.1rn) to 23 hours(58.4m). 5.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optimum time for in vitro maturation culture might be 14 hours in the follicular oocytes from rabbit primed with PMSG for 68 hours, expecially when these follicular oocytes were used for recipient cytoplasms in embryo cloning.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