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

        2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otor imagery is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an action without overt movement or muscle activation. However, few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motor imagery training effects as an objective assessment tool in patients with early stroke.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or imagery training on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SEP) and upper limb function of stroke patients. Design: A quasi-experimental study.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strok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for 30 minutes, 5 times a week.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n additional task of motor imagery training (MIT) 20 minutes per day, 5 days a week, for 4 weeks. Both groups were assessed using the SSEP amplitude, Fugl-Meyer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MA UE) and Wolf motor function test.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SEP amplitude and FMA UE than di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IT effectively improve the SSEP and upper limb function of stroke patients.
        4,000원
        2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Foot drop is a common symptom after stroke and causes walking disorders. Therefore, its proper treatment i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foot drop.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ostimulation during walking on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foot drop after stroke. Design: Quasi-experial study. Methods: The study enrolled 18 patients with foot drop after stroke.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electric stimulation during walking, while the control group used ankle foot orthoses. Both groups received treatment 20 minutes a day 5 times a week for 4 weeks. Outcome measures were assessed for walking and balance ability using the 10-m walking test (10MWT), 6-min walking test (6MWT), and Timed Up and Go test (TUG)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6MWT and TUG result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improvement on all tests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oot drop stimulator effectively improved the walking and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foot drop after stroke.
        3,000원
        2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imulation training on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and to examine its effect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83 students at C University, between October 1, 2018 and December 31, 2018. This training was conducted over a 5-week perio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Friedman test,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all after the normality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evidence-based practice beliefs,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 perspective,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p<.001). More specifically, there was a greater improvement in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an in the existing simulation exercise. Conclusion: Being effective in enhancing the ability to provide evidence-based practice beliefs, competencies, nursing profession perspectives, and, especially in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and problem-solving skills, it is necessary to link evidence-based education and existing simulation training.
        4,800원
        24.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 영아에게 라이트박스 시각자극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놀이수준 발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 진단을 받아 시각기능 저하를 동반하는 만1세 4개월의 여자 영아 1명이었다. 연구의 진행은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사용하여 시각기능과 관련된 세 가지 과제를 선정하고, 라이트박스 시각자극훈련을 일주일에 1회, 30분씩 총 16회를 4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중재효과는 훈련과제의 수행도,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녹스학령전기놀이척도(Knox Preschool Play Scale-Revised: KPPS-R)로 놀이발달 연령을 측정하였다. 또한 보호자 면담 보고를 통해 놀이의 질적인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KPPS-R로 측정한 전반적인 놀이발달 수준은 12개월에서 21개월로 향상되었고 특히, 놀이감 운용 영역은 12개월에 서 22개월로 향상되었다. 훈련과제에 대한 수행도와 만족도는 세 가지 과제에서 2점 이상의 향상을 보여 임상적으로 유용한 결과를 나타냈다. 면담조사 결과, 보호자는 라이트박스 시각자극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놀이와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대상자가 시각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보고 하였다. 결론 : 라이트박스 시각자극훈련은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 영아의 놀이감 운용 발달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입증하였으며, 놀이과제의 수행도와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놀이의 질적인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200원
        25.
        2019.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신분열은 대표적인 신경정신성 질환으로 정신분열 환자들은 정신적, 감정적 및 행동적인 장애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이 연구는 흰쥐를 대상으로 정신분열을 유도함으로써 골격근 조직에서 반응하는 혈관생성 관련 단백질의 변화를 살펴보고 규칙적인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흰쥐(SD rats) 총 18마리를 통제(n=6), 정신분열(n=6), 정신분열+운동(n=6)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정신분열 및 정신분열+운동 집단은 총 2주 동안 MK-801처치를 통해 정신분열을 유도하였으며, 정신분열+운동 집단은 4주간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을 수행하였다. 유산소성 운동은 실험동물용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HIF-1α 및 VEGF 단백질은 western blot을 통해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HIF-1α 단백질은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VEGF 단백질의 경우, 통제집단보다 정신 분열 집단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1), 정신분열+운동 집단의 VEGF가 정신분열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1). 따라서 골격근 내 혈관생성 관련 단백질들은 정신분열 유도에 의해 낮아질 수 있으며 반대로 운동은 이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derate- and high-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on hippocampal neurotrophic factors and peripheral CCL11 levels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C57/black male mice received a 4 weeks diet of normal (control, CON; n = 9) or a high-fat diet (HF; n = 27) to induce obesity. Thereafter, the HF group was subdivided equally into the HF, HF + moderate-intensity exercise (HFME), and HF + high-intensity exercise (HFHE) groups (n = 9, respectively), and mice were subjected to ladder-climbing exercise for 8 weeks. The hippocampal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and nerve growth factor (NGF)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CON group (p < 0.05). In addition, in the HFME and HFH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HF group (p < 0.05). The peripheral CCL11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CON group (p < 0.05). In addition, in the HFME and HFHE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HF group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ercise intensity among the group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besity can induce down-regulation of neurotrophic factors and inhibition of neurogenesis. In contrast, regardless of exercise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brain function by inducing increased expression of neurotrophic factors.
        4,000원
        2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test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in two different settings of training and testing data. Panoramic radiographs were selected from 1170 female dental patients (mean age 49.19 ± 21.91 yr). The cortical bone of the mandible inferior border was evaluated for osteoporosis or normal condition on the panoramic radiographs. Among them, 586 patients (mean age 27.46 ± 6.73 yr) had normal condition, and osteoporosis was interpreted on 584 patients (mean age 71.00 ± 7.64 yr). Among them, one data set of 569 normal patients (mean age 26.61 ± 4.60 yr) and 502 osteoporosis patients (mean age 72.37 ± 7.10 yr) was used for training CNN, and the other data set of 17 normal patients (mean age 55.94 ± 4.0 yr) and 82 osteoporosis patients (mean age 62.60 ± 5.00 yr) for testing CNN in the first experiment, while the latter was used for training CNN and the former for testing CNN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error rate was 15.15% in the first experiment and 5.14% in the second experi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age-matched training data make more accurate testing results.
        4,000원
        29.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사회성 발달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유도체육관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초등학생의 유도 활성화에 이바지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자료분석을 위해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응답이 누락된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85부(95%)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IBM SPSS 21과 IBM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개념신뢰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사회성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성 발달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성 발달은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초등학생에게 신체단련과 예의범절을 동시에 지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도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도체육관 관장들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성 발달과 긍정적 심성을 키울 수 있는 수련 프로그램 개발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유도의 수련층 확대를 통한 유도 활성화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4,300원
        3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patients usually have arm weakness, which affects trunks and arms.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tic side and non-paretic side arm training on trunk control and upper limb function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ingle blind).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stroke in hospital were enrolled in the study. Twent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paretic side arm training group (PATG, n = 10) or non-paretic side arm training group (NATG, n = 10). Trunk impairment scale (TIS) was used for trunk control, and box and block test (BBT) was used for upper limb function. Training was conducted for 4 weeks. Results: PAT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IS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coordination, total score) and BBT. NAT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and total score except for coordination and BBT. PATG also showed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BBT and coordination and total score than NATG. Conclusions: The arm training performed on the paretic side are more effective than those performed on the non-paretic side in improving both upper limb function and trunk control in stroke patients.
        4,000원
        3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xamine the changes in pain, the severity of the neck disorder, craniovertebral angle, and muscle activity in young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37 “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ith forward head posture, including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Measurement of pain, NDI (neck disorder index) craniovertebral angle, and muscle activity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he 6 week intervention period. The pain wa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The severity of the neck disorder was measured using the NDI The craniovertebral angle was measured by taking a photo. The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paired with proprioceptive training is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ducing pain. Both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paired with Kinesio taping or proprioceptive training ar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addressing neck disability, craniocervical angle, and muscle activity.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paired with Kinesio taping or proprioceptive training are more effective at addressing pain, neck disorder, craniocervical angle, and muscle activity than performing the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alone.
        4,000원
        3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applying situation-background-assessment-recommendation on self- efficac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new nurses. Method: This study applied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ith 88 new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in S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November 2017.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ir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in 4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with SPSS program. Results: After SBAR simulation education, self- efficacy (t=-2.40, p=.014) and communication skills (t=-5.24, p<.001)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simulation-based training applying SBAR, improved self- efficac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new nurses.
        4,300원
        3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D 가상현실은 이미 여러 스포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엘리트운동 선수들의 훈련 등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주로 심상훈련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3D 가상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심상훈련의 가능성, 유용성, 적합성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상현실에서의 운동이 더 이상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훈련에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체육 등에 활발히 활용되는 추세에 있다. 3D 가상현실에서의 운동의 장점은 안정성이 높으며 외부환경에 대한 제한이 적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을 고려할 때 이는 노인체육에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심상훈련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가상현실 관련 연구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연구되었으며 어떤 결과를 도출하였는지 면밀히 고찰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가상현실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후속 연구 과제를 위해 3D 가상현실 심상훈련의 간학문적 접근, 노인의 특성 및 지원요구를 고려한 지원, 습득된 기술의 일반화 및 유지 방안을 고려한 접근 필요성에 대해 제언을 제시하였다.
        5,400원
        3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 7월 3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전북 익산 소재의 W 대학병원에 입원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 14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하였다. 두 군 모두 일반적인 물리·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험군에는 동작관찰 체간훈련을, 대조군은 풍경관찰 체간훈련을 각 1일 1회 30 분, 주 5회, 총 3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 체간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체간 손상 척도 (Trunk Impairment Scale; TIS), 균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된 기능적 팔 뻗기 검사(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M-FRT)와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수정된 바델 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을 사용하였다. 결과 : 3주 중재 후, 두 그룹에서 중재 전·후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05), 중재 후 두 그룹 간 변화량의 차이는 TIS와 M-FRT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급성기 뇌줄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립 훈련기에서 동작관찰 체간훈련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능동적이고 동적인 체간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36.
        2018.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교사의 학대언어제한과 촉진적 상호작용을 위하여 교육훈련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언어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영유아교사에게 TREASURE Talk-CCTV 모델을 활용한 학대언어제한과 촉진적 상호작용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상호작용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교육훈련프로그램은 동영상, 도구(TREASURE STICK), 연습용 스크립트의 세 가지로 제작되었고 총 7시간 과정의 훈련체계를 구성하여 영아교사 18명, 유아교사 20명으로 단일사례 집단을 대상으로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의 분석을 위해 KP모델에 근거한 아동학대 지필테스트에서 사전-사후 검사결과 아동학대 교육의 이해도가 상승되었으며,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척도를 통해 영유아교사 TRE, URE 전체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ACNIS(Adult-Child Negative Interaction Scale-based on CCTV model) 척도를 사용하여 영유아교사는 부정적 상호작용 전체에서도 사전검사,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된 상호작용프로그램은 영유아교사에게 긍정적 상호작용은 향상 되고 부정적 상호작용은 수준을 낮추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5,400원
        37.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해양사고조사포럼(MAIIF)의 조사에 따르면 1998~2009까지 밀폐공간진입 시 발생한 101건의 사고에서 93명의 사망자와 96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이에 국제해사기구(IMO)는 밀폐공간진입을 위한 지침과 SOLAS 1974 협약 제3장 규칙 19를 개정하여 주기적으로 선박에서 밀폐공간진입 훈련을 시행하도록 강제화 하였다. 밀폐공간진입 훈련은 실제적이고 진입 시의 위험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실시되어야 하며, 훈련 중 훈련참가자나 교육생들의 안전도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교육 및 훈련효과의 향상을 위해 가상현실(VR) 교육 컨텐츠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장소의 제한 없이 실제적이고 반복적인 학습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R을 이용한 밀폐공간진입 훈련이 강의형 교육훈련과 비교하여 어떤 효과와 특징 및 차별성이 있는지 훈련참가자들에 대한 정량적 평가와 설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평가 및 설문분석을 통해 VR을 이용한 밀폐공간진입 훈련 참가자들의 학습요소에 대한 숙지도가 강의형 교육훈련 참가자들보다 우수하였고, 교육방식에 대한 참가자들의 주관적 선호도도 VR을 이용한 훈련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VR을 이용한 훈련의 학습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VR을 이용한 선상훈련은 동영상 및 시뮬레이터와 같이 효과적인 교육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의 인성리더십 교육에서 교사의 상호작용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 훈련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 구문제는 두 가지이다. 첫째, 유아 인성리더십 교육에서 교사의 상호작용 역량강화를 위한 훈 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도구 개발과 훈련체계 구성이 포함된다. 둘째, 개발된 교사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황금원 모델에 대한 지필테스트 결과의 분석,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통한 동료코칭 피드백 분석,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통한 상호작용 훈련 효과의 분석 이 포함된다. 연구 결과, 황금원 모델에 따른 구인별 음원 24개, 스탬프로 제작된 습관별 코칭 놀이감 8개, 구인별 음원과 코칭 놀이감을 활용한 코칭 스크립트 24개, 모듈별 코칭 동영상 3개, 8시간의 교사 훈련 체계를 포함한 교사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또 황금원 모델에 대한 지필 테스 트,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통한 동료코칭 피드백 분석,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통한 상호작 용 훈련 효과의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 교사에게 유의미 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6,700원
        40.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on the gait speed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in stroke patients. Twenty one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the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group (TPRSTG, n=7), the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with FES group (TPRSTFESG, n=7), and the control group (CG, n=7). The length of intervention for each session in all groups was 30 minutes, and was performed once a day, 5 times a week, for a total of 6 weeks. The gait speed was measured using 10m walking velocity Test (10MWT) and the ADL was measured using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TPRSTFESG demonstrate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pse in 10MWT (p<.05). While post-interven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L (p<.05), further analysis between each group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ost-interven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pplication of both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with FES is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in improving gait speed.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