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

        21.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nowadays consumption-based society, products (e.g. food and electronic products) are often thrown away before they are sufficiently used. The aversive consequence of such a lifestyle is becoming more alarming.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change in people’s consumption style. How can we make people correct their existing wasteful consumption behaviors and act responsibly? In fact, feelings very often can influence people’s behavior and judgments (Schwarz, 1990), even though the feelings are aroused by irrelevant sources - incidental emotion (Garg, Inman, & Mittal, 2005; Lerner & Keltner, 2000; Schwarz & Clore, 1983). Feelings of guilt and shame are known as moral emotions which are the guidance to ethical behaviors (Tangney, 1991, 2003). Although there is a significant overlapping between these two emotions, they also differ in several important aspects. One critical difference lies in the way the transgressor makes attributions (Niedenthal, Tangney, & Gavanski 1994). A transgressor who attributes the wrongdoing to a specific behavior (i.e. “I’ve done something bad”) is more likely to experience guilt while a transgressor who makes attribution to the global self (i.e. “I’m a terrible person”) is more likely to experience shame (Tracy & Robins, 2004). Given these fundamental differences, we speculate that a guilt-laden consumer is more likely to correct his or her wrongdoing (i.e. wastage) by taking reparative actions to minimize waste but a shame-laden consumer may possibly give up doing so. Findings from an experimental study (N=90) largely support this prediction.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made to feel shame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a recycling campaign organized by the university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condition. They reported a lower intention to use recycling facilities provided.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who were made to feel guilt reported a marginally highe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campaign than the control participants. These preliminary findings suggest that emotional experience derived from other life domains might determine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rs. Shame, which is commonly regarded as a moral emotion, may not necessarily make people more responsible consumers. The mechanism that underlies this effect may warrant further investigation.
        22.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mpanies frequently request their customers to donate to a charitable organization at some point during the purchasing process. Especially in an online environment, companies can easily control at which stage in the customer journey consumers are asked to give to char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sequence of purchase and donation requests in the customer journey influences the willingness to donate to an NGO and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company’s product. As theoretical frame, we use two related concepts of moral self-regulation stemming from behavioral economics, namely moral licensing and moral cleansing. Based on these two cognitive biases, we assume that the sequence of donation and purchase options has an influence on the money individuals are willing to spend on the product and are willing to donate to charity. Prior research on moral licensing and moral cleansing often relies on outcomes from rather artificial study designs. Studies often utilize moral/immoral decision tasks, which consumers barely ever encounter in real life settings. In line with recent calls for replicating or validating established cognitive biases in settings that are more realistic, we apply both moral licensing and moral cleansing in a setting, which closely resembles real-life situations. Hence,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behavioral economics by offering outcomes with a higher degree of ecological validity. Participants (N=121) were asked to indicate the maximum amount of money they were willing to donate (WTD) for an environmental organization and the maximum amount of money they were willing to pay (WTP) for a newly launched smartphone. In condition A, participants were first presented with the donation task (moral licensing); in condition B, participants were first presented with the purchase task (moral cleansing).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al cleansing effect is present. On average, participants who first indicate their WTP are subsequently more prone to donating money to an NGO. We could not observe a moral licensing effect at large.
        2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moral identity on attitude toward and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fashion products by comparing purchasers and non-purchasers. Data from 127 purchasers and 307 non-purchasers collected through a survey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invariance check, and multiple-group comparison tests using Amos 23.0. Results indicate consumers with purchase experiences of upcycled fashion products showed a higher level of moral identity (internalization and symbolization), positive attitude toward upcycled fashion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than did consumers with no purchase experience. In model tests, internalization affected attitude toward purchasing upcycled fashion products, whereas symbolization affected purchase intention, regardless of purchase experience. The effect of symbolization on purchase intention was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focusing on charity behaviors that are highly visible to other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fashion products are visible and symbolic, so i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ethical consumption studies. From these results, researchers may obtain insights on the process of how consumers apply moral identity to their purchase intention regarding upcycled fashion products. Likewise, marketers may enhance satisfaction of consumers with a high level of symbolization by putting special tags and logos that clearly highlight the products’ upcycled nature.
        5,200원
        24.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 highlight morally relevant history - of Korea, of The United States and of The early years of the United Nations (UN), which tends to be ignored in the discussion of the Jeju tragedy - a seven year period of brutality on Jeju Island, South Korea, that lasted from March 1, 1947 to September 21, 1954. While discussions of these events acknowledge the responsibility of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they overlook the connection of the tragedy to Korea’s earlier history - such as its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early 1900s. Also overlooked is the way in which the US created machinery in the early years of the UN that was the sine qua non of the controversial UN monitored elections which were the flashpoint of the incident. This Pre-UN and early UN history is poignantly connected to the Jeju tragedy, as we will see, and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its full significance. Sadly, however, this history is dimly understoo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full scope of moral responsibility for the Jeju tragedy, and for reconnecting to the values and virtues important for all people, this overlooked history must be brought to light.
        4,000원
        2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서는 도덕적 판단, 의도, 행동으로 구성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 방법을 통하여 도덕적 정서인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에 도덕적인 판단, 의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도덕과 관련된 정서가 도덕적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도덕과 관련된 정서(죄책감, 수치심)와 정서의 억제(억제, 대조집단)를 실험적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죄책감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되어있지만, 도덕적 행동은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다시 말해, 죄책감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지문에 묘사된 도덕적인 상황을 더 도덕적이라고 판단하였으며 도덕적 행동에 대한 의도가 높았다. 반면 수치심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하지 않았지만, 도덕적인 행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였 다. 수치심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실제 도덕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본 연구는 비연속적 정서이론을 적용하여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 도덕적 의사결정 단계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4,300원
        26.
        2016.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금의 일부 문화보수주의자들은 신문화운동이 유가 윤리를 대표하는 “우수한 도덕 전통”을 급진적으로 “파열”시키거나 “중단”시켰다고 질책하고 있다. 또한 그로 인해 근 백년간의 갖가지 “도덕적 타락” 현상을 유도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깊게 분석해 보면 “문혁” 기간의 “밀고 문화”든 개혁 개방 중의 “공무원 부패”든 이러한 도덕적으로 사악한 현상은 대부분 신문화운동 자체의 탓으로 돌릴만한 내용적 근거가 없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외려 대부분 1세기 이전 이미 비판적으로 전통 유가윤리를 전개했던 일부 심층적 문화의 기인으로 소급해 볼 수 있다.
        5,200원
        27.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er the past two decades, consumer moralism, or moralism about consumption in a broad sense, has received much academic attention in answer to the growing concern for fair-trad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other anti-consumption initiatives and movements (McGregor, 2006; Newholm and Shaw, 2007). This theoretical trajectory not only pay attention to how everyday consumption practice is shaped by and help shape certain sorts of ethical dispositions (Clive et al., 2005), but it also extend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twined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consumption, and consumers’ identity narratives (Thompson, 2011). While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understanding moral consumption as a politically and morally motivated collective practice (Luedicke et al., 2010; Thompson, 2007), limited research has been done on revealing how personal moral identity project institutionalize and contest the socio-cultural power structure through ascribing social meanings in consumption practice to legitimatize seemingly unethical behavior in the marketplace (Brace-Govan and Binary, 2010). This research concerned the creation and negotiation of moralistic identities among a group of young consumers in Hong Kong who engaged in counterfeit consumption. We focused on how consumers strategically appropriate moralistic meanings in their everyday counterfeit consumption, in which their identity work utilized these ‘alternative’ market resources to echoed with, or even reproduce, the entrenched Chinses social relationships and marketplace ideological conditions (Giesler and Veresiu, 2014; Luedicke et al., 2010).
        3,000원
        28.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SOGA (Student Oriented Group Activity)수업을 통해 중학생이 갖추어야할 기본인 성 기르기이다. 인성함양은 모든 교과가 직면하고 있는 중요한 과제이다. 영어 수업시간에 이러한 기본인 성을 기르기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중학교 2학년 영어교과서의 읽기 자료를 분석하여 한 과당 한 개의 인성덕목을 추출하였다. 영어교과서의 읽기자료는 교과 융합적인 내용을 학생들에게 교훈을 줄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이 덕목들을 추출하기에는 어렵지 않다. 이 기본 인성덕목들은 교육부가 중학 교에서의 성공적인 인성교육을 위하여 제시한 10가지의 인성덕목인 정직, 책임, 긍정, 자율, 존중, 예절, 공감, 소통, 시민의식, 공존을 그 준거로 하였다. 이 인성요소들은 영어 의사소통기능 학습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학생중심모둠활동으로 진행되었다. 학생중심모둠활동 수업은 모둠내의 유대감 형성을 위한 모둠 세우기 활동을 그 전제로 한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면서 영어의사소통능력과 기본인성덕목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5,400원
        2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리적 청결과 도덕적 판단에 대한 기존의 실험 연구들은 청결 관련 개념이 활성화될 때 사람들은 도덕적으로 더 엄격해 진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하지만 원래 가지고 있는 개인 간 청결 욕구의 차이와 도덕적 판단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개인이 평상시에 느끼는 청결 욕구와 도덕적 판단이 관련이 있는지(연구 1), 그리고 실험적으로 조작된 물리적 청결 수준이 청결 욕구와 도덕적 판단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연구 2)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본인이 가지고 있는 청결 욕구가 높을수록 도덕적 판단 기준 또한 엄격하였으며 평소 청결에 대한 욕구가 높지 않은 참가자들은 상대적으로 도덕적 판단 기준이 온화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험적으로 청결 수준을 조작하였을 때에도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물리적 청결 수준에 따른 도덕적 판단의 평균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4,000원
        3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도덕적 정체성이 매개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여러 연구들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력이 규명되었으나 어떠한 과정으로 결과변수에 영향력이 나타나는 지를 규명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무척 중요하다. 조직시민행동은 Williams와 Anderson(1991)의 연구를 토대로 개인, 조직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으로 구분하였으며 도덕적 정체성은 Aquino & Reed Ⅱ(2002)의 연구에 기반하여 내재화와 상징화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의 설정은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덕적 정체성은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있으므로 조직시민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윤리적 리더십 발휘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데 있어서 구성원들의 도덕적 정체성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도덕적 정체성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구성원들의 도덕적 정체성 형성이 중요하며 이러한 도덕적 정체성 형성이 이루어져야만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5,100원
        31.
        201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베른협약에서는 저작인격권의 포기에 대해 명문으로 금지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저작인격권 포기는 각국에서 입법으로 규정되어 있거나, 명문의 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해석에 맡겨져 있다. 영미법계에서 저작인격권 포기의 명문 규정은 일종의 불협화음을 해소하기 위한 입법적 의도라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 대륙법계에서 탄생하고 발전한 저작인격권은 ‘일신전속성’이라는 개념적 울타리에서 ‘포기’와는 친숙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이 무색할 만큼 각국의 입법 태도는 다양하고, 이는 저작인격권의 포기에 관한 논의에서 보다 유연한 사고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우리 학설은 저작인격권의 일신전속성에 비추어 저작인격권은 포기될 수 없다는 견해가 다수설이다. 그러나 저작인격권의 자연권성을 부정하거나, 저작인격권의 특수성을 긍정하는 입장에서 저작인격권의 포기성을 긍정하는 소수설이 제기되고 있다. 저작인격권은 저작물을 매개로하는 인격적 이익을 보호한다는 점에서 성명권, 명예권, 초상권 등과 완전히 구분되는 별개의 권리라고 보기 어렵다. 그리고 비포기성은 저작인격권의 본질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동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개념이다. 결국 저작인격권의 본질이 인격적 이익 보호에 있다면, 반대로 저작자의 인격적 이익을 훼손하지 않은 범위 내의 저작인격권 포기는 인정됨이 타당하다.
        4,300원
        32.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religiosity and determines how it affects a consumer's preference of socialization agents. It is shown that higher degrees of religiosity cause an individual to utilize personal socialization agents for final purchase decisions. The authors then show and discuss how the socialization agents chosen by a consumer influence how a consumer favors moral advertising or tolerates offensive advertising. Results gleaned from the analysis show that higher use of personal socialization agents will cause an individual to have lower tolerance of offensive advertising and higher favoritism toward moral advertising. Religious affiliation is also found to play a moderating role for religious individuals when determining the use of socialization agents. Two countries were chosen, Korea and America, to conduct a find common ground on the types of advertising that is considered favorable or offensive by both of the two very different cultures and peoples.
        4,500원
        3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집중이수제, 창의적 체험활동의 실질적 적용, 학교의 자율권 확대 등 획기적인 변화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집중이수를 하게 된 도덕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3개 학년 도덕 교과서를 재구조화하고, 도덕 교과의 근간이 되는 인성 교육과 진로 체험중심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함으로써 집중이수 학습 능력 신장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위하여 첫째 3개 학년 교과서를 각 영역의 학습 목표와 부합한 내용, 학생들의 능력과 흥미를 고려하여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둘째 1학년 과정에서 집중이수제를 운영함에 따라 학생의 이해 수준에 맞도록 체험 중심의 학습 자료 및 자기주도 학습 방법 등 수업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셋째 교과 내용에서 인성 함양과 진로 교육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학습 자료를 구안 적용하고자 하였다.
        6,300원
        34.
        201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위키는 웹 브라우저에서 간단한 마크 업 언어를 이용해 공동 문서를 작성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내용을 추가할 수 있는 웹 플랫폼이다. 최근에 공동저작의 플랫폼으로서 위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따른 저작권에 대한 법제는 미미한 상태이다. 특히 위키의 공동저작의 철학과 매체적인 특성으로 인해 저작인격권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공공 위키에서 사용하는 저작권에 대한 사항은 위키마다 다르겠지만, 대부분의 거대 공공 위키들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를 사용한 약관을 이용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는 저작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라이선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여, 엄격한 저작권법 하에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좋은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다. 그러나 저작권법, 그 중에서도 저작인격권에 관련하여 우리 법제가 수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 저작인격권 상 첨예하게 대치할 수 있는 이슈가 성명표시권에 대한 포기의 문제이다. 대륙법계를 따르는 우리법제 상으로는 여러 해석론을 보더라도 성명표시에 대한 포기는 불가능한데, 이는 위키에 저작을 기부하려는 저자들의 의사를 수용하지 못한다. 또한, 위키의 약관만으로 대표저작자인 법인이나 단체가 저작자가 될 수 있는가의 문제도 있다. 업무상 저작물에 대해서 법인이나 단체를 저작자로 할 수 있는 우리 법제 하에서 위키의 저작물이 법인, 단체를 저작자로 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올 수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살펴볼 때, 디지털 매체의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저작권법을 세밀하게 정비하여,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와 같은 다양한 계약들이 다양한 형태의 매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4,200원
        3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ssay examines Jacques Callot’s Les Grandes Misères et Malheurs de la Guerre (1633) as a moral meditation on war as catastrophe. It also uses Callot’s Miseries to reflect on the nature of catastrophe as such, particularly as “An event producing a subversion of the order or system of things.” As such, catastrophe refers less to nature or the natural gone awry, than it does to the abnegation or suspension of moral aspects of human nature. More than a reflection on war as catastrophe, and catastrophe as fundamentally moral, Callot’s Miseries are a timeless meditation on aspects of the human condition; or on human beings in what amounts to state of nature―as evidenced in times of disaster. Such reflection, again, does not by itself imply that all war―even when catastrophic― is unnecessary, let alone necessarily unjust. But it does suggest that artistic engagement with war understood as catastrophic, may yield insights into human nature that are as important to human self-understanding as those represented in artistic subject matter that is more quotidian.
        6,700원
        3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 시점을 기준으로 피교육자인 초등학생 입장에서 효과적이고 사실적인 그리고 상황적 배경을 잘 활용할 수 있는 공교육 대상 통일교육의 한 방법으로, 초등학생 대상 통일교육 목적의 기능성게임의 개발과 활용을 제언하고자 한다. 대상 집단을 공교육 대상 초등학생으로 한정하는 이유는 입시 위주 교육 체제에 따라 교육 과정 내 통일교육이 중, 고등학교에서 실행되기 어려운 여건이라는 점과 초등학생 때의 통일교육은 성장 과정에서 국가관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기 때문에, 자칫 통일교육이 잘못 실시되면 올바른 민족관과 통일관의 형성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교육 목적의 기능성게임의 사례 연구와 효과 분석을 통해 통일교육 내용의 게임화에 따른 효과를 도출하여, 통일교육의 문제 해결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게임을 어떻게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를 풀어본다.
        4,000원
        3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덕적으로 옳다고 여겨지는 행동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친사회적-도덕적 행위에 대한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선행 연구들을 통해 도덕적 행위의 동기 부여에 감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 장치(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를 사용한 인지 신경 과학 분야의 연구들을 통해 실제 보상 및 동기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알려진 복측 선조체(ventral striatum, VS)의 활성화를 발견함으로써 확인되었다. 원래 VS는 보상 반응의 핵심적 영역으로 물질적 보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사회적 보상이 주어졌을 때, 친사회적 감정을 강하게 경험할 때에도 활성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도덕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사회적 상황에서 친사회적 도덕감을 경험할 때 보상에 민감한 영역인 VS가 활성화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리뷰 연구에서는 도덕적 의사결정상황에서 감정의 동기 부여 역할 및 관련 신경 기제에 대해 알아보고, VS를 중심으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신경 네트워크 구조를 개관함으로써 친사회적, 도덕적으로 동기 부여가 되는 도덕적 의사결정 상황 및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4,900원
        38.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술가의 저작인격권의 보호수준과 범위는 미술에 대한 철학적 인식, 미술의 사회적 중요성, 개인의 정치적 권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정해지고 있다. 대륙법계 국가에서는 19세기 이후 미술은 자연의‘재현’이 아닌‘표현’으로 미술품에 미술가의 인격이나 정신이 드러나고 있어‘정신적 산물’이라고 생각하며, 저작권을 자연권 중 하나로 보기 때문에 저작인격권의 틀로 보호한다. 또 19세기 저작인격권이 처음 도입될 당시 이미 미술이 매우 발달해서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기 때문에 보호수준을 높게 하고 범위를 넓게 인정한다. 반면 영미법계 국가는 미술품은 작가의 인격이나 정신이 드러나는 것이라기보다 세상에 대한 ‘재현’으로 하나의‘물건’이라고 보는 전통이 있고, 저작권은 소비자의 최소의 비용으로 작가의 창작을 격려하고 사회를 풍성하게 하기 위해 인정하는 권리라고 보기 때문에 미술가의 저작인격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점차 미술을 자연의 ‘재현’이 아닌‘표현’으로 보게 되면서 저작인격권을 인정하게 되었으나 상대적으로 미술이 덜 발달해서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에 보호수준을 낮게 하고 범위를 좁게 인정한다. 그러나 대륙법계 국가의 저작권 시스템과 영미법계 국가의 저작권 시스템은 원본 보호의 필요성 등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 미술가의 저작인격권 보호가 어느 시스템에도 양립 불가능한 것이 아니다. 이러한 국가 간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술에 대한 세계적인 철학의 조류를 살펴보면 결국 작가의 인격이나 정신이 작품에 드러나고 미술가와 미술품의 관계는 매우 긴밀하다는 방향으로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가의 저작인격권의 보호수준이 높아지고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확산은 기존 저작권 보호 체계에 중대한 도전이며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변화라기보다는 저작권 도입 초기부터 있었던 기술의 변화에 대한 대응의 문제에 불과하다.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본성을 바꾸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인간의 창작성을 보호하는 저작인격권의 보호 필요성은 줄지 않는다. 대한민국에 있어서 미술가의 저작인격권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한민족의 미술에 대한 인식과 보호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우선 한민족은 미술을 자연을 묘사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만 보기 보다는 작가의 인격이 반영된 것으로 보는 면이 두드러진다. 묘사의 기교보다 대상물을 통해 그 자체의 정신을 표현하는 것을 무엇보다도 중시하고, 그림이 곧 사람이라하여 기술적인 면보다 화가의 인격 도야에 힘썼던 사상을 가져왔다. 또 작가가 창작을 할지 여부, 창작의 내용 등을 스스로 결정하고 원 작품을 그대로 보존하려는 의지도 높았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미술 시장을 보면 프랑스나 미국에 비해 보호해야 할 미술저작물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하지만 2006년에 들어서면서 미술경매 시장이 폭발적으로 신장하면서 미술 시장의 활성화가 이루어졌고 국민소득의 증가 등으로 볼 때 대한민국도 미술가의 저작인격권에 대한 보호수준을 높이고 보호범위를 넓히는 해석 및 입법을 할 때가 온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해석과 입법에는 한민족의 미술에 대한 역사적 관념, 명예에 대한 법감정 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7,700원
        3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아'와 친한 정도를 나타내는 '사회적 거리'와 사고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알려진 유발된 정서가 도덕적 딜레마에서의 도덕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은 딜레마 속 행위자의 사회적 거리에 따라 도덕성 및 행동 적합성에 대한 판단이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사회적 거리에 따라 도덕성에 대한 판단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동일한 행동이라도 낯선 사람보다 자신과 가까운 대상이 했을 때 행위의 도덕성에 대해 덜 엄격하게 판단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거리에 따른 도덕성의 판단 차이는 비개인적 딜레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반면 행동의 적절성 판단에 있어서 사회적 거리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유발된 정서에 따라 딜레마 속 행동에 대한 도덕성 및 행동 적합성에 대한 판단이 달라지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정서의 쾌-불쾌 차원은 도덕성을 가늠하는 데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행동이 얼마나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거리와 정서에 따라 도덕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두 종류의 딜레마 모두에서 사람들이 도덕성과 행동 적합성을 구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판단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4,600원
        40.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belief, subjective norm, moral feeling, attitude, and the intention to consume organic beef. A total of 326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adult in Jeonnam a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constructs.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indicated an excellent model-data fit. The covariance effects of belief and subjective norm, and belief and moral feel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belief and moral feeling on attitude and intention to consum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attitude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consume. Moreover, attitude played a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and intention to consume. Finally, based on structural analysis, a model was proposed for the interrelations among belief, subjective norm and moral feeling towards organic food, attitude and intention to consu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riginal organic food consumption model was modified, and should preferably be validated by future research. Other constructs, such as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consumption, may be incorporated to form models that consist of new antecedent and consequence pairs.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