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4.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으로부터 다양한 병원 미생물을 신속 검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검출 원리를 이용한 키트들이 개발·시판되고 있다. 검사키트는 신속, 정확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검사기관이나 실험실 뿐 아니라 식품회사에서 QC 또는 QA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E. coli O157:H7의 단클론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개발한 E. coli O157:H7 검출 키트(Donga Co, Korea, D-kit)에 대한 검출감도 및 특이성을 확인하고 식품 시료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개발?시판되고 있는 Reveal E. coli O157:H7 (Neogen Co., USAm R-kit)와 VIP EHEC kit (Biocontrol INC., USA, V-kit)를 비교 키트로 사용하였다. E. coli O157:H7 표준균주를 사용하여 실시한 검출감도 확인시험 결과 R-kit 및 D-kit는 104/㎖의 농도에서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10³/㎖에서도 약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V-kit는 10?/㎖ 농도로 검출감도가 낮았다. 또한 배양액을 가열하여 kit에 적용하는 것이 가열하지 않은 경우보다 검출감도를 높일 수 있었다. E. coli O157:H7 분리 22주, verotoxin 생성 E. coli 7주 E. coli 분리주 40주 및 38종의 장내세균에 대한 특이성 시험 결과 세 가지 키트 모두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였는데, 시험균주 107주 중 3주를 제외한 모든 균에서 음성의 결과를 보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세 키트에 위양성 반응을 보인 것은 E. coli O157:H19, E. coli O157:H18 및 Salmonella galinarium으로 이들 혈청형과 O157:H7 사이에는 유사한 혈청학적 특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D-kit는 E. coli O157:H7을 검출하는데 감도 및 특이성 면에서 기존 키트인 R-kit 및 V-kit와 같이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2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면역 글로블린 Y(IgY)플 생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Vibrio parahaemolyticus는 중요한 병원성 균이며. 위장염을 유발시키는 원인 균이다. 따라서, 난황에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항원 LPS(lipopolysaccharide)를 암탉에 주사하였다. 면역은 2주 간격으로 4차까지 실시하였으며, 추가면역으로 2주 간격으로 3차 까지 긴시한 후 ELISA로 그 항체 역가를 측정하였다. 난황에서의 항체생성은 1차 면역 후 1주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7주에 최고 역가에 도달하였고, 이러한 역가는 13주 이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혈청에서의 항체 역가노 난황에서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정제시킨 IgY를 본 연구의 water-dilution 방법과 상업용 IgY분리 kit로 그 정제 정도를 비교해본 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Vibrio parahaemolyticus외의 다른 Vibrio 속 및 세균들과의 교차반응성 조사에서 특별한 교차반응이 없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로, 아주 적은 양의 LPS 항원으로 역가가 높은 항체의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을 보아 난황은 유행성 위장염을 유발하는 병원성 균의 특이 항체 개발을 위한 좋은 공급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6.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특유적인 자산을 매개로 한 기업간 교환관계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기회주의의 문제는 기업간 교환관계의 성과를 저해하는 핵심적인 요인이다. 본 연구는 특유적인 자산을 매개로 한 국제기업간 교환관계의 특성을 나타내는 국제합작투자기업에서 자산특유성에 따른 소유권의 기회주의 억제효과가 자산특유성의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는 자산특유성의 한 유형으로서 물적자산특유성과 인적자산 특유성이 각기 상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자산의 특유성과 소유권의 관계에서 물적자산특유성이 클 경우에는 소유권의 지배가 더욱 선호되고 있으나, 인적자산특유성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자산특유성의 유형에 따른 소유권의 기회주의 억제효과를 보기 위한 매개회귀분석에서도 물적자산특유성의 경우에는 소유권의 기회주의 억제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인적자산특유성의 경우에는 소유권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6,000원
        27.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일원의 양잠 농가의 먼지에서 채취한 45개의 샘플중에서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를 생산하는 13개의 Bacillus thuringiensis를 분리하였다. 이 중 2개 균주는 파리목에 독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독성검정에서 NT0423균주의 수치는 나비목의 배추좀나방이 최소 1.30 CFU/ml이며, 파리목인 빨간 집모기에는 2.88 CFU/ml로 나타났다. 새로 분리된 NT0423균주가 생산하는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는 주사 전자현미경사진에서 전형적인 이중 피라미드모양을 보였다. 그리고 이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의 SDS-PAGE 분석에서는 주요한 130kDa의 polypeptide을 나타내었다. 또한 NT0423균주의 총 플라스미드 DNA분석에서는 9개의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어 기존의 유사한 독성을 나타내는 균주들과 다른 패턴을 보였다.
        4,000원
        28.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한 시장 환경과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하여 브랜드의 관계성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해 졌다. 이러한 환경에서 브랜드 간의 관계,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관계 또는 기타 다른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 등에 의한 브랜드 연상으로 얻을 수 있는 브랜드 가치와 리스크를 제대로 파악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브랜드 특수성은 대표 적으로 브랜드 자산 가치를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리스크가 발생하면 기업이나 브랜드 입장에서는 큰 손실과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브랜드 특수성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 그 특성을 이해하여 최근 일어 난 브랜드 리스크 사례에 대해 조사하여 어떤 관계성이 있으며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에는 모든 기업 또는 조직이 갖고 있는 브랜드를 다변화된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브랜드 관리 전략을 구축하는데 필 요한 브랜드 리스크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umankind has been searching for medicinal materials from various plant sources in an attempt to treat disease. Mistletoe is one indubitable plant source for these materials due to its effectiveness in treating various diseases, but it has almost disappeared from the mountainous areas of Korea due to excessive harvesting. In this study, in order to select host tree species for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Kom.) Ohwi] by seed inoculation and to clarify the effect of host specificity among various tree specie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gaining basic information for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Korean mistletoe. Almost all the seeds of Korean mistletoe germinated in vitro at the temperature of 15℃. Among host trees used in this study, Prunus mume showed the highest parasitic affinity with inoculated Korean mistletoe, compared with any other host plants. However, treatment of hormones could not increase the low survival rate of Korean mistletoe on the host trees.
        30.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ole of specificity by Korean learners in processing the article choice parameter. To this end, Korean learners of EFL completed the online and the offline semantic acceptability-rating tasks. The online results indicated that the Korean learners of EFL at both the advanced and the intermediate level of the proficiency fluctuated between the specificity and definiteness parameter settings. Especially for th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of EFL, the response time of the [-definite, +specific] condition showed little difference from other conditions, implying that they adhered to the definiteness parameter setting. The offline results, in contrast, indicated that the Korean learners of EFL at both the advanced and the intermediate level of the proficiency adhered to the definiteness parameter setting. It seem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termediate learners were adopting the definiteness parameter sett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laims made in Ionin, Ko and Wexler’s (2004) specificity hypothesis.
        31.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ocytes from different species, MPF, a complex of Cdk1 and cyclin B, is the master regulator of cell cycle. The activity of MPF is regulated by the phosphorylations mediated by Wee1B kinase and Cdc25B phosphatase. Although a regulation of MPF activity by these inhibitory phosphorylations are well established, a dogma in the cell cycle is that MPF activity is regulated by the dynamics of cyclin B during the metaphase II (MII) arrest (also known as CSF arrest). However, growing evidences suggest that Wee1B-mediated Cdk1 phosphorylation is also critical to trigger the progression of cell cycle during the onset of anaphase.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Cdc25B phosphatase during MII arrest. Cdc25B is present in MII arrested oocytes as a hyperphosphorylated form and disruption of its function either by antibody or siRNA injection induces the progression of cell cycle to interphase. Moreover, the hyperphosphorylated form, which has been known as an active form of Cdc25B, is dephosphorylated during the anaphase onset. Interestingly, this dephosphrylation occurred ahead of cyclin B degradation. Conversely, overexpression of Cdc25B prevents metaphase to anaphase transition induced by calcium stimulation. Therefore, our findings provide novel paradigm in cell cycle that MPF activity during metaphase arrest is regulated by the balance between Cdk1 inhibitory kinases, Wee1, and the counteracting phosphatases, Cdc25. When cells exit from metaphase, Cdc25 is inactivated and Wee1 is reactivated and thereby Cdk1 kinase activity is rapidly and transiently decreased. This initial decrease of Cdk1 activity is further promoted by the proteolytic degradation of cyclin B, which ensures irreversible progression of cell cycle to interphase. Thus, the concerted effort of phosphorylation/dephosphorylation of Cdk1 and synthesis/degradation of cyclin B play roles in fine-tuning the activity of Cdk1 during metaphase to anaphase transition.
        3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I discuss a semantic aspect of the null degree word/operator in Korean clausal and phrasal comparatives to suggest the following: First, the null degree word in Korean comparatives can be replaced with overt deictic degree words (cf. Choe (2012)). Second, -pota may license a generic or a specific phrase, but not a non-specific phrase. Third, while deictic degree words in Korean are ambiguous between specific and non-specific, the null (deictic) degree word in Korean comparatives is non-specific so that -pota may not come directly after the "stripped" compared constituent containing the (non-specific) degree word. During the discussion, to explain a certain cross-linguistic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I also suggest that the null degree word in English can be ambiguous between specific and non-specific, unlike the one in Korean, and that the null degree word of the "stripped" compared constituent should be specific in English, because than also cannot license a non-specific phrase.
        33.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의 대설피해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그와 같은 지역별 강설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과거의 기상현상 및 강설자료의 수집·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대설로 인한 피해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강설 특성 뿐만 아니라 지역별 대설피해의 예방·대응체계의 조사 및 분석, 대설 피해규모의 조사 및 분석이 추가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 본 연구는 대설에 의한 지역별 피해현황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위해 장기간의 분석기간과 분석자료를 활용, 시·공간적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대설에 의한 이재민 피해는 충청도와 서해안 부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대설에 의한 인명피해(사망)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재민·인명피해 및 재산피해 등을 모두 포함한 총피해액은 경기지역과 충청도, 전라도 해안지역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충청·전라도지역을 포함한 서해안 지역에서 대설에 의한 피해가 상당히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6.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xplores a governing condition on the extraction from the NPs. According to Fiengo & Higginbotham (1981), "specificity condition" blocks the extraction from the NPs having `some definite reference.` However, the extraction out of the NPs does not seem to be governed only by the specificity condition. As indicated by Erteschik-Shir (1973) and Horn (1974), the presence of an indefinite determiner in and of itself does not suffice to rule in extraction and the acceptability of extraction also appears to depend to some extent on the choice of verb. The extraction from the NPs seems to depend on the actual interpretation of the NPs rather than on the choice of determiner.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ccount of the extractability from the NPs based on the focus property of the NPs. Following Lee (2004), we assume that the focus-marked object remains in situ within VP, whereas the given or presuppositonal material moves out of VP to receive an appropriate interpretation (i.e., specificity, topic, etc.). The NP which has a non-presuppositional or existential reading can be focus- marked. Hence, it remains inside the VP without movement. The extraction from the NP is allowed. By contrast, the non-focus-marked NP raises to the Spec of v to satisfy the EPP of v. The extraction from the moved NPs is blocked.
        37.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파의 항암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비파를 잎 줄기 과실 종자로 나누어 정상세포와 여러 가지 암세포주를 비교하여 특이적으로 암세포를 공격하는지 여부를 MTT방법에 의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파의 4가지 부위를 MeOH 와 물로 추출하여 정상세포와 암세포 (SNU-1, SNU-C4)에 처리하였다. 이 가운데서 과육의 물추출 분획이 정상세포는 영향이 없이 암세포를 고사시켰다. 2. 과육의 물추출 분획을 Sephadex LH-20으로 분리정제하여 9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이 분획들을 사람 정상세포와 7가지 암세포에 처리하였다. 이 9개의 분획중 8번째 분획이 정상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유방암, 간암, 위암에 특이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3. 제 8분획의 생체에서 암치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mouse에 복수암을 유발시켜 (10마리) 구강투여하거나 복강에 주사하였다. 암이 유발된 대조구는 10일 부터 13일 사이에 모두 죽었다. 그러나 투여군은 2개월사이에 1마리씩 죽었고 나머지는 모두 생존하였다. 상기는 결과는 비파과육에 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주었다.
        38.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안개처리에 따르는 콩의 생육ㆍ잡초와의 경합 양상 및 제초제반응을 검토하여 안개상습지에서 작물피해 최소화 및 잡초방제체계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온실내 포트 시험으로 수행하였다. 안개조건에서 콩의 초장 및 엽영은 전 생장기간에 걸쳐서 비안개조건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파종 후 100일째 최종 콩의 수량은 초장이 14% 증가한데 반해 수당협수, 협당 입수 및 100입중이 각각 오히려 16, 24 및 23% 감소하였다. 주요발생초종은 바랭이, 피, 미국개기장, 흰명아주 및 한련초 등이었으며, 비안개조건보다 안개조건에서 그 발생량이 훨씬 컸다. 안개조건에서 경합기간별 콩의 초장변화는 경합기간이 길수록 감소 정도가 컸으나 비안개처리와의 차이는 경미하였다. 안개조건에서 경합기간별 콩의 초장은 40일 경합기간까지에서는 비안개조건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60일 이상의 경합기간에서부터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안개조건에서 수당협수는 경합기간처리와 무관하게 감소하였다. 제초제별 초장을 근거로 한 약해는 다소 인정되나 안개로 인해서 Qu-izalpfop를 제외한 제초제들에서는 무처리와 유사하게 증가한 초장을 각각 보였다. 수당협수 및 100립종은 무처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안개조건하에서는 비안개조건에 비해 유사하거나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처리 후 40일제에 생체중을 근거로 한 잡초방제가로 볼 때 토양처리된 Ethalfluralin 및 Trifluralin과 경엽처리된 Sethoxydim 및 Quizalofop는 안개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97%이상의 방제가를 나타었다.
        39.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안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장, 잡초경합양상 및 제초제반을을 검토코자 온실내에서 일련의 pot시험이 수행되었다. 안개조건에서 보리의 초장, 엽령, 엽폭 및 지상부 생체중은 증가하였으나 출수가 지연되고 출수율과 수량 구성요소인 수당영화수, 천립중 및 발아율은 감소하였다. 안개조건으로 초종수의 차이는 없으나 잡초발생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주요한 발생초종은 둑새풀, 새포아풀, 벼룩나물, 점나도나물, 황새냉이 및 갈퀴덩쿨등이었다. 안개조건에서는잡초와의 경합기간이 길수록 초장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며 1,000립중은 초기경합에서만 감소하였으며 그밖의 보리의 생장은 경합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안개조건에서 제초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체중은 공시 제초제 공히 증가되었으나 1,000립중은 오히려 감소되었으며, 그 중 Butachlor 및 Thiobencarb의 약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처리 후 25일째 생체중에 의한 잡초방제가는 75∼90%로써 안개조건이 비안개조건보다 3∼15% 낮게 나타났으나 60일째는 96%이상으로 대등한 방제가를 보였다.
        40.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 홀몬의 면역적 분석은 무엇보다 분석전 복잡한 정제가 필요치 않고 정밀분석을 신속히 할 수 있다는데 그 장점이 있다. 다만 pAb를 이용하는 경우에 특이성이 다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mAb를 생산함으로써 크게 개량할 수 있었다. 물론 GA류에 있어서는 극히 유사한 구조를 가진것 끼리의 면역분석은 잘되지 않는 것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이 문제도 epitope를 달리 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 팔 수 있으며, 이경우 HPLC로 정제후 mAb-ELISA를 이용하여 검출하면 훨씬 정확한 분리와 분석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자 등은 mAb를 이용한 식물 홀몬 분석에 있어서 시료를 추출, 정제후 실제 ELISA에 의해서 정량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은 2시간 미만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다. 또한 검출 한계도 pmol~fmol 정도로 정밀분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소요되는 장비는 간단한 spectrophometer만 가지면 된다. 다만 mAb를 생산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항체를 구입해서 (ABA artiserum sigma)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편리 할 것이다. 본 연구자 둥은 mAb를 이용한 식물 홀몬정량분석용 면역킷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 결과들은 식물 홀몬의 분석에 면역측정법이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생각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