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68

        40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PG와 PTMG의 몰비를 달리하면서 첨가하여 합성된 폴리우레탄 수지의 물리적 특성을 SEM, FT-IR, UTM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4개의 메틸렌기를 포함한 PTMG의 몰비 가 증가함에 따라 내마모도(60.26 mg.loss), 인장강도(5.24 kgf/㎟)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반대로 연 신율(297 %)은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톨루엔을 이용한 내용제성 물성측정 결과로부터 PTMG 의 반응 몰비 증가에 따른 물성 증감 효과는 없었다. 또한 PTMG의 몰비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4.8 cp) 가 상승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000원
        40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프러시안 블루 유사체(Prussian Blue Analogue : PBA)는 3차원 구조와 기공을 갖는 금속-유 기골격체이며, 유기 리간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PBA는 바이오센서, 광학, 촉매, 수소 저장 장치 등의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으며 화학적 안정성을 가진 환경 친화적인 물질이다. 또한 다양 한 크기의 미세기공을 조정할 수 있어 흡착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열합성법을 이용 하여 금속유기골격체인 Mn3[Fe(CN)6]2를 합성하였다. 전구체로 K4[Fe(CN)6]와 MnCl2를 사용하였고, 합 성된 물질은 소성하여 망간철산화물을 생성하였다. 실험 변수로 전구용액의 pH, 전구체의 몰농도, 반응 시간을 조절하여 입자의 크기와 형태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다공체는 XRD, SEM, FT-IR, UV-Vis, TG/DTA에 의해 분석하였고, 여러 염료에 대한 흡착 특성을 평가하였다.
        4,000원
        40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progesterone (P4) on prostaglandin (PG) synthases and plasminogen activators (PAs) system in bovine endometrium during estrous cycle. Endometrium tissues were collected from bovine uterus on follicular and luteal phase and were incubated with culture medium containing 0 (Control), 0.2, 2, 20 and 200 ng/ml P4 for 24 h. The PGF2α synthase (PGFS), PGE2 synthase (PGES), cyclooxygenase-2 (COX-2), urokinase PA (uPA), and PA inhibitors 1 (PAI-1) mRNA in bovine endometrium were analyz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 PCR and PA activity was measured using spectrophotometry. In results, COX-2 was higher at 2 ng/ml P4 group than control group in luteal phase (p<0.05), but, it did not change in follicular phase. Contrastively, PG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2 ng/ml P4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follicular phas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in luteal phase. uPA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4 treatment groups and control group in both of different phase. PAI-1 was decreased in 20 ng/ml P4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follicular phase (p<0.05). PA activity was decreased in 2 ng/ml P4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in follicular and luteal phase (p<0.05).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P4 may influence to translation and post-translation process of PG production and PA activation in bovine endometrium.
        4,000원
        40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제에 작용기를 첨가하여 유화제 뿐만 아니라 합성에서의 모노머로 작 용할 수 있는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다. 반응성 계면 활성제는 메타아크릴 산, 아크릴산과 비이 온성 계면 활성제인 폴리 옥시 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POE 23)를 사용하여 합성되었으며 벤젠을 용매 로서 사용하였고, P-TsOH를 촉매로서 사용 하였다. 합성된 계면 활성제는 FT-IR, 1H-NMR 스펙트 럼, 원소 분석을 하였다. 물성 평가는 HLB, Cloud point, 표면 장력, 임계 미셀 농도를 측정 하였다. HLB 값은 11.62∼12.09 범위로 평가 하였다. cmc 값은 표면 장력 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1×10-4~5×10-4 의 값을 가졌다. 실험을 통해 측정된 Cloud point은 35, 39℃ 이었다. 합성 계면 활성 제의 유화 특성은 polyoxyethylene lauryl ether보다 낮았다. 또한, 유화력은 벤젠에서 보다 대두유에서 더 좋았다. 실험결과 합성 수율은 93.27 ∼ 94.49%로 확인되었다.
        4,000원
        40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육방정계 우르자이츠형의 산화아연은 n형 반도체로써 3.37 eV의 넓은 밴드갭 에너지와 60 meV의 큰 엑시톤 바인딩 에너지를 가진 물질이다. 가스센서, 발광 다이오드, 염료 감응 태양 전지, 염 료오염의 분해 등의 넓은 범위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합성 시 마이크로파 수열합성법을 사용하게 되면 높은 수율, 빠른 반응속도, 에너지 절약의 장점이 있다. 아민첨가제는 수산이온 생성 및 킬레이트 효과 로 인해 산화아연 입자 형상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구체로는 질산아연육수화물을 사 용하였고, 형상조정제로는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사용하였 다. 수산화소듐을 사용하여 용액을 pH 11로 조정하였다. 합성된 산화아연은 별모양, 막대형, 꽃모양, 원 추형의 다양한 형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민첨가제에 의한 물리·화학적 특성과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 기 위해 XRD, SEM, EDS, FT-IR, UV-vis 스펙트럼, PL 스펙트럼을 사용하였다.
        4,000원
        407.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dO와 황의 사용량을 달리하며 콜로이드상태의 CdS 양자점 물질을 합성하였다. 얻어진 물질의 흡 수 및 발광스텍트럼으로 볼 때 약 1:3의 몰비 이하에서는 사용량에 관계없이 동일한 모습을 나타내었으며 이 로부터 반응물질의 사용량 비율에 관계없이 약 3.6nm 크기의 동일한 양자점 입자가 만들어짐을 확인할 수 있 었다. 1:9의 반응비율에서는 의미있는 흡수스펙트럼을 얻을 수 없었으며 발광스펙트럼의 모양도 매우 달라 앞 의 경우와 동일한 물질의 형성이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로부터 CdS 콜로이드 양자점 물질의 합성은 반응 물질의 사용량에 크게 의존하지 않으며 그 비율이 너무 큰 경우에는 반응 자체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볼 수 있 다.
        4,000원
        408.
        2016.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O2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a sol-gel process using titanium tetra isopropoxide as a precursor at room temperature. Ag-doped TiO2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photoreduction of AgNO3 on TiO2 under UV light irradiation and calcinated at 400 oC. Ag-doped TiO2 nanoparticles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by Xray diffractometry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the TiO2 and Ag-doped TiO2 nanoparticl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gaseous benzene under UV and visible light irradiation. To estimate the rate of photolysis under UV (λ = 365 nm) and visible (λ ≥ 410 nm) light, the residual concentration of benzene was monitored by gas chromatography (GC). Both undoped/doped nanoparticles showed about 80 % of photolysis of benzene under UV light. However,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Ag-doped TiO2 nanoparticles exhibited a photocatalytic reaction toward the photodegradation of benzene more efficient than that of bare TiO2. The enhanced photocatalytic reaction of Ag-doped TiO2 nanoparticles is attributed to the decrease in the activation energy and to the existence of Ag in the TiO2 host lattice, which increases the absorption capacity in the visible region by acting as an electron trapper and promotes charge separation of the photoinduced electrons (e−) and holes (h+). The use of Ag-doped TiO2 nanoparticles preserved the option of an environmentally benign photocatalytic reaction using visible light; These particles can be applicable to environmental cleaning applications.
        4,000원
        409.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TiO3-coated Fe nanofibers are synthesized via a three-step process. α-Fe2O3 nanofiber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approximately 200 nm are first prepared using an electrospinning process followed by a calcination step. The BaTiO3 coating layer on the nanofiber is formed by a sol-gel process, and a thermal reduction process is then applied to the core-shell nanofiber to selectively reduce the α-Fe2O3 to Fe. The thickness of the BaTiO3 shell is controlled by varying the reaction time. To evaluate the electromagnetic (EM) wave-absorbing abilities of the BaTiO3@Fe nanofiber, epoxy-based composites containing the nanofibers are fabricated. The composites show excellent EM wave absorption properties where the power loss increases to the high frequency region without any degradat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BaTiO3@Fe nanofibers obtained in this work are attractive candidates for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applications.
        4,000원
        410.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 wt.% and 20 wt.%Li-TiO2 composite powders are synthesized by a sol-gel method using titanium isopropoxide and Li2CO3 as precursors. The as-received amorphous 10 wt.%Li-TiO2 composite powders crystallize into the anatase-type crystal structure upon calcination at 450oC, which then changes to the rutile phase at 750oC. The asreceived 20 wt%Li-TiO2 composite powders, on the other hand, crystallize into the anatase-type structure. As the calcination temperature increases, the anatase TiO2 phase gets transformed to the LiTiO2 phase. The peaks for the samples obtained after calcination at 900oC mainly exhibit the LiTiO2 and Li2TiO3 phases. For a comparison of the photocatalytic activity, 10 wt.% and 20 wt.% Li-TiO2 composite powders calcined at 450oC, 600oC, and 750oC are used. The 20 wt.%Li-TiO2 composite powders calcined at 600oC show excellent efficiency for the removal of methylorange
        4,000원
        41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료전지는 화석연료, 특히 내연기관을 대체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전인 에너지 기술이다. 가장 중요한 핵심 재료 중 하나로서 연료기체의 장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소이온전달 역할을 하는 고분자 전해질 막(PEM)이 있다. PEM 내부에서 수화 채널은 수소이온의 전달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높은 함수율을 저가습 상태에서도 유지하여 우수한 수소이온 전달 능력을 보유할 수 있는 상분리현상을 통한 친수성 채널 형성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이 러한 낮은 가습조건에서도 높은 수소이온전도도를 갖는 술폰화 PEM들의 합성 전략에 대하여 논의 하여보고, 다른 연구자들 의 고성능 탄화수소계 PEM의 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4,500원
        412.
        2016.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seismic performance of connections between filled composite beam (CG beams) and forming angle composite (FAC) column was experimentally evaluated. First, the bending tests were conducted on two CG beams and the axial tests were conducted on two FAC columns. Then, based on these preliminary test results, the cyclic loading test were performed on two interior connections between CG beam and FAC column. The main difference of two specimens is the plate shape of the CG beam.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both specimens achieved the maximum story drift capacity over 0.04 radian which is required for special moment frame.
        4,000원
        413.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approach was applied to synthesize amorphous boron nanopowders in argon atmospheres.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 thermally induced combustion wave in the B2O3 + α Mg system(α = 1.0-8.0) in an argon atmospheres. In this study, the exothermic nature of the B2O3-Mg reaction was investigated using thermodynamic calculation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calculation data and the SHS products consisting of crystalline boron and other compounds were obtained starting with a different initial molar ratio of Mg. It was found that the B2O3 and Mg reaction system produced a high combustion temperature with a rapid combustion reaction. In order to regulate the combustion reaction, NaCl, Na2B4O7 and H3BO3 additives were investigated as diluents. In an experimental study, it was found that all diluents effectively stabilized the reaction regime. The final product of the B2O3 + α Mg system with 0.5 mole Na2B4O7 was identified to be amorphous boron nano-powders(< 100 nm).
        4,000원
        414.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glucose biosensors has been attracting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ir importance in monitoring glucose in the human body; such sensors are used to diagnose diabetes and related human diseases. Thanks to the high selectivity, sensitivity to glucose detection, and relatively low-cost fabrication of enzyme-immobilized electrochemical glucose sensors, these devices are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ntensively investigated glucose sensor types. In this work, ZnO nanofibers were synthesized using an electrospinning method with polyvinyl alcohol zinc acetate as precursor material. Using the synthesized ZnO nanofibers, we fabricated glucose biosensors in which glucose oxidase was immobilized on the ZnO nanofibers. The sensors were used to detect a wide range of glucose from 10 to 700 M with a sensitivity of 10.01 nA/cm2- μM, indicating that the ZnO nanofiber-based glucose sensor can be used for the detection of glucose in the human body. The control of nanograins in terms of the size and crystalline quality of the individual nanofibers is required for improving the glucose-sensing abilities of the nanofibers.
        3,000원
        41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uffalo leather 표면 코팅에 사용된 폴리우레탄 수지에 glycerol의 함유를 mole % 비로 달리 하면서 첨가 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탄 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SEM, FT-IR, UTM 등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친환경적인 고분자 수지의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용제의 사용을 최소화한 buffalo leather 코팅에 사용되는 수분산 수지를 합성하였다. 지방족 3가 알콜인 glycerol의 mole % 비가 증가함에 따라 내마모 도, 인장강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반대로 연신율, 내굴곡 물성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oluene 을 이용한 내용제성 물성측정 결과에는 glycerol의 mole % 증가에 따른 물성 증감 효과는 없었다.
        4,000원
        41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에너지 효율이 높은 분리 공정기술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분리막을 이용한 기체 분리가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 분리막에 의한 기체 분리 시장은 고분자막이 독점하고 있으며, 고분자 재료 물성의 한계로 탄화수소와 같은 응축 기체분리보다는 비응축 기체 분리에 제한되고 있다. MOF 재료는 금속 이온과 유기 리간드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결정성 나노 기공 구조로, 높은 비표면적과 기공 구조 제어, 기능성 부여가 가능해 분리막 재료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다양한 MOF 분리막의 합성 방법과 MOF 분리막을 통한 기체 분리 응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4,500원
        41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on the successful fabrication of ZnO nanorod (NR)/polystyrene (PS) nanosphere hybrid nanostructure by combining drop coating and hydrothermal methods. Especially, by adopting an atomic layer deposition method for seed layer formation, very uniform ZnO NR structure is grown on the complicated PS surfaces. By using zinc nitrate hexahydrate [Zn(NO3)2 ·6H2O] and hexamine [(CH2)6N4] as sources for Zn and O in hydrothermal process, hexagonal shaped single crystal ZnO NRs are synthesized without dissolution of PS in hydrothermal solution. X-ray diffraction results show that the ZnO NRs are grown along c-axis with single crystalline structure and there is no trace of impurities or unintentionally formed intermetallic compounds. Photoluminescence spectrum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for the ZnO NRs on flat Si and PS show typical two emission bands, which are corresponding to the band-edge and deep level emissions in ZnO crystal. Based on these structural and optical investigations, we confirm that the ZnO NRs can be grown well even on the complicated PS surface morphology to form the chestnut-shaped hybrid nanostructures for the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applications
        4,000원
        41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a synthesis of non-toxic InP nanocrystals using non-pyrolytic precursors instead of pyrolytic and unstable tris(trimethylsilyl)phosphine, a popular precursor for synthesis of InP nanocrystals. In this study, InP nanocrystals are successfully synthesized using hexaethyl phosphorous triamide (HPT) and the synthesized InP nanocrystals showed a broad and weak photoluminescence (PL) spectrum. As synthesized InP nanocrystals are subjected to further surface modification process to enhance their stability and photoluminescence. Surface modification of InP nanocrystals is done at 230°C using 1-dodecanethiol, zinc acetate and fatty acid as sources of ZnS shell. After surface modification, the synthesized InP/ZnS nanocrystals show intense PL spectra centered at the emission wavelength 612 nm through 633 nm. The synthesized InP/ZnS core/shell structure is confirmed with X-ray diffraction (XRD)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 Atomic Emission Spectrometer (ICP-AES). After surface modification, InP/ZnS nanocrystals having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are observed by 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FE-TEM). In contrast to uncapped InP nanocrystals, InP/ZnS nanocrystals treated with a newly developed surface modified procedure show highly enhanced PL spectra with quantum yield of 47%.
        4,000원
        419.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로다민 6G는 형광의 대표적인 물질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염료이다. 때문에 이것은 훌륭한 광 물리적 성질 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다양한 로다민 6G 기반의 금속이온에 대한 형광성 탐지를 목적을 두고 있다. 새로운 종류의 페 노시아진을 포함하는 로다민 6G는 다섯 과정으로 합성했다. 형광분석과 비색적 측정으로 로다민 6G 스피로 고리 구조의 고리열림에 의해 다양한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로다민 6G 에틸렌디아민 페노시아진과 로다민 6G 1,3디 아미노프로페인 페노시아진은 1H-NMR, GC-Mass 그리고 FAB-Mass를 사용해 특징을 보았다. 이들 탐지물의 양이온 감지 메카니즘은 스피로고리와 고리열림 형태 사이의 구조 변화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새로운 로다민 6G 중간체를 포함하는 페노시아진 이중체널은 Sn2+와 Al3+에 대해 감지한다.
        4,000원
        42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 of analytical investigation pertaining to the structural behavior of steel-concrete composite plate girder with arch-type web stiffener. In the arch-type web stiffener located in the compression side of web, infill concrete is cast to strengthen the arch-type stiffener and also to exert resisting force against compression force. This type of composite steel-concrete plate girder bridge is built and is in service. To understand the behavior thoroughly, analytical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arch-type stiffener with infill concrete is considerable for the design of such type composite girder bridg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