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44

        421.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γ-Aminobutyric acid (GABA)-containing salt was prepared by crystallization of a mixture of salt water from deep sea and fermentation broth by lactic acid bacteria that contained GABA converted from glutamic acid. Salt from deep sea water has a lower sodium content but higher calcium, potassium and magnesium contents than commercial salt. Instead of monosodium glutamate (MSG), glutamic acid was used for solving the residual MSG problem. Fermentation by a lactic acid bacterium converted 90% of added glutamic acid (5%, w/v) to GABA, and continuous production of colorless fermentation broth containing more than 3% (w/v) GABA was achieved by using an activated carbon. Mixtures of salt water and fermentation broths with various GABA concentrations were co-crystallized and the GABA content was analyzed. This analysis showed that more than 90% of GABA from broth was adsorbed to salt. The appearance and surface of this prepared GABA-containing salt were examined with an image analyz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No difference was found with commercial sun-dried salt and no separated particles were detected, which indicates that the co-crystallization process used i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GABAcontaining salt.
        4,000원
        422.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백미 등 9품목에서 트리코테센류 A형 곰팡이 독소인 T-2와 HT-2 독소의 함량을 구하고 전체인구집단의 곡류 섭취로 인한 트리코테센류 A형 곰팡이독소인 T-2와 HT-2 독소의 노출 수준에 따른 위해성을 평가하고자 하였 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집단의 트리코테센류 A형 T-2와 HT-2 독소의 노출수준을 산출하기 위해 결정론적 위해평가 를 수행하였다. 산출된 노출량은 JECFA에서 제시한 TDI (100 ng/kg b.w./day) 대비 위해도(%)를 구하여 노출수준에 대한 위해정도를 파악하였다. 9품목 곡류 115건에 대한 트 리코테센류 A형 곰팡이독소인 T-2와 HT-2 독소의 함량은 LC-MS/MS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 트리코테센류 A형 곰팡 이독소인 T-2와 HT-2 독소의 합으로 평균 7.80 μg/kg (0.00-7.80)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곡류섭취로 인한 전연령 의 평균섭취량을 고려하였을 때 트리코테센류 A형 곰팡이 독소인 T-2와 HT-2 독소 섭취량은 0.57 ng/kg b.w./day (LB), 1.39 ng/kg b.w./day (MB), 2.2 ng/kg b.w./day (UB)으로 TDI 대비 0.57% (LB), 1.39% (MB), 2.2% (UB) 수준 이 었다. 극단(P95) 섭취량을 고려하였을 때 트리코테센류 A 형 곰팡이독소인 T-2와 HT-2 독소 섭취량은 11.06 ng/kg b.w./day (LB), 13.95 ng/kg b.w./day (MB), 16.87 ng/kg b.w./ day (UB)으로 TDI 대비 11.06% (LB), 13.95% (MB), 16.87% (UB) 수준이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곡류 섭취로 인한 트리코테센류 A형 곰팡이독소인 T-2와 HT-2 독소 노출수준은 위해 우려가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423.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기퇴직요인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전체적 검토를 통해 일반시중은행 및 투자금융 등 대형 금융기관에 근무하는 정규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조기퇴직의 결정요인을 특히 전직요인과의 적극적인 비교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자발적 이직행위를 중심으로 근로자입장에서 이들 개인의 조기퇴직과 전직 결정요인을 비 교․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기본목적은 전직과 조기퇴직이 명확히 구분되는 서 로 다른 형태의 조직이탈행위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전직과 조기퇴직 결정에 공통적으로 영향 을 미치는 요인들과 독자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적 차원에서 파악하려는 것이다. 분석결과 를 바탕으로 대형 금융기관의 정규직들의 조기퇴직에 대한 의도뿐만 아니라 전직의도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근거한 조직 관리를 위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5,100원
        428.
        2015.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lf-efficacy (one's perceptions of their capability to perform a task)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rk-related performance and motivation. For example, self-efficacy is known to have much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motivation, etc. As such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factors collectively enhance the selfefficacy of employees, so that injured workers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 they belong to after they come back to their workpl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uch industrial accident-related factors and extract rules among the factors in order to establish self-efficacy enhancement strategies for injured workers. In this study, a binary decision tree model for self-efficacy prediction was built using a panel data provided from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As a result, eight variables with the largest influence on self-efficacy were selected in the prediction model, and it correctly classified 70.1% of instances. The result suggests social support during the treatment period and offering paid time off such as vacation leave, sick leave and bereavement leave are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self-efficacy that will improve the work performance of injured workers.
        4,000원
        430.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silicalite-1 제올라이트 분리막 합성 시에 종결정 코팅용액 pH 변화가 제올라이트 분리층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항을 고찰하였다. 75 nm 크기로 합성된 종결정은 에탄올에 분산된 후 침지코팅법으로 지지체 표면에 코팅되었으며 분산용액의 pH는 2.2, 7.0, 9.3으로 조절되었다. pH가 7인 경우, 균일하고 두께가 3~4 μm인 silicalite-1 제올라이트 분리층이 형성되었고 분리층 결정입 크기는 100 nm로 미세하였다. 반면, pH가 2.2와 9.3인 경우, 분리층 두께가 얇고 불완전하였으며 분리층 결정입 크기도 약 1 μm로 조대하였다. pH 7에서 완전한 제올라이트 분리층이 형성된 것은 침지코팅 중에 지지체와 종 결정이 서로 다른 부호의 전하를 가져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하여 균일하고 조밀하며 두껍고 다층의 종결정 코팅층이 형성되었 기 때문이었다. 반면에 pH가 2.2와 9.3인 경우, 침지코팅 중에 지지체와 종결정이 서로 같은 부호의 전하를 가져 정전기적 반 발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불완전한 덮힘에 의하여 불완전한 분리층이 형성된다고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종결정 코팅용액의 pH가 silicalite-1 제올라이트 분리층의 두께, 결정립 크기 등 미세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431.
        201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uctile-brittle transition behavior of two austenitic Fe-18Cr-10Mn-N-C alloys with different grain size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lloys exhibited a ductile-brittle transition behavior because of an unusual brittle fracture at low temperatures unlike conventional austenitic alloys. The alloy specimens with a smaller grain size had a higher yield and tensile strengths than those with a larger grain size due to grain refinement strengthening. However, a decrease in the grain size deteriorated the low-temperature toughness by increasing the 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because nitrogen or carbon c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grain boundaries to overcome the thermal energy. It could be explained by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yield stress based on low-temperature tensile tests. In order to improve both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austenitic Fe-Cr-Mn-N-C alloys with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and grain sizes, more systematic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grain siz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in relation to the temperature sensitivity of yield and fracture stresses.
        4,000원
        43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며느리밥풀속은 반기생의 1년생 식물로 숙주식물의 뿌리 에 기생을 하면서, 한편으로 광합성을 하며 살아가는 독특한 생육형태를 지닌다. 비교적 볕이 많이 드는 숲 가장자리에 주로 서식한다. 며느리밥풀속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의 식물로서, 전 세계적으로 약 40종이 북반구에 분포하고, 특 히 유럽 쪽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며느리밥풀 속에는 꽃며느리밥풀(Melampyrum roseum), 알며느리밥풀(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새며느리밥풀(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등 3종, 4변종 및 2품종이 있다(www.nature.go.kr, 국가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 며느리밥풀속의 종자는 긴 달걀형으로 8-9월에 성숙하며, 종피에 엘라이오솜이라는 육질의 구조 를 부착하고 있어 개미가 종자를 산포하는 식물종이다. 종 자산포를 부탁하기 위하여 개미에게 보상할 엘라이오솜을 부착한 종자를 종자와 구별하여 전파체(diaspore)라 한다. 개미는 엘라이오솜이 붙어있는 종자를 개미집으로 물어가, 엘라이오솜은 떼어서 애벌레의 먹이로 이용하고 남은 종자 는 개미집 내부의 쓰레기장이나 집 밖의 모래언덕 또는 개 미군체의 영역 경계로 내다버린다. 개미의 이런 행동은 1) 씨앗의 피식(Predation)을 피하게 하고, 2)씨앗이 흩어져 개 체간 경쟁으로부터 벗어나고, 3)발아에 적합한 장소에 도달 하고, 4)종자가 모체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종자의 사망률이 낮아지고, 5)종자가 유기물이 풍부하고 배수가 양호한 토양 에서 발아할 수 있게 하고, 6)산불의 피해나 척박한 토양에 서의 종자생존율을 높이는 등 다양한 편익을 제공하는 생물 종간의 좋은 상리공생의 예이다(Rico-Gray and Oliveira, 2007). 이에 이 연구는 반기생식물(Hemi-parasitic plant)인 며느리밥풀속 서식지를 찾고, 관련 개미종을 확인하며, 해 마다 서식지를 조사하여 개미가 며느리밥풀속의 종자운명 에 어떻게 영향하는가를 밝혀 보고자 2013년~2015년까지 실시하였다. 개미와 피자식물은 백악기 후반부터 에오세기 초반부터 지방체(elaiosome)를 매개로 상리공생을 발달시키면서 같이 종분화가 된 것으로 알려진다(Moreau et al., 2006). 식물이 고영양의 지방체를 개미에게 제공하고 발아에 적합한 환경 과 산화, 종자피식을 회피하는 상리공생이 발달하였다. 국내 에는 춘계단명식물을 위주로 40종 정도가 개미가 종자를 분 산시키는 즉, 지방체를 단 전파체(종자+지방체)를 생산한다. 확인된 며느리밥풀속 식물종의 서식지는 꽃며느리밥풀 은 평창 중왕산, 알며느리밥풀은 강릉 삽당령, 양구 해안면 과 포항 죽장면, 새며느리밥풀은 오대산, 태백 함백산에서 각각 확인되었다. 지역별 차이는 있으나 며느리밥풀속 종자산포에 기여하 는 개미는 코도쿠뿔개미, 항아리뿔개미, 가시방패개미와 일 본장다리개미로 확인되었다. 지역별 며느리밥풀속 서식상 태를 관찰한 결과 1년생인 특성으로 해마다 서식지가 이동 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중왕산 꽃며느리밥풀은 3년 간 4~5m,포항 죽장의 알며느리밥풀은 5~7m, 양구의 경우 젓나무 조림으로 대부분이 사라지고 2015년 극소수 개체만 잔존하였다. 함백산과 오대산의 새며느리밥풀은 초기의 서 식처 부근에서 잔존개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며느리밥풀 속 식물이 1년생이며,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특성으로 서식지의 급격한 환경변화는 관련 개미종들이 선호하는 환 경을 파괴하여 며느리밥풀속 식물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환경변화에 취약한 며느리밥풀속 식물 종의 보호를 위해 식물종의 분포와 관련 개미에 대한 지속 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34.
        201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γ/γ´ two-phases, commonly known as a eutectic structure, are observed in the γ interdendritic region of a Nibase superalloy. However, the growth behavior of the γ/γ´ two-phases, whether it is of eutectic or peritectic nature, has not been decidedly established. Directional solidifications were, thus, performed with the planar interface at a low growth rate of 0.5 μm/s in order to promote macro segregation. Directional solidification started with the γ planar interface and the γ´ phase nucleated on the γ planar interface at the solidification fraction of 0.75. The γ/γ´ two-phases showed the γ´ rod structure as major phase and the γ minor phase between γ´ rods, and the volume fraction of the γ phase changed continuously with an increasing solidification fraction. The two-phase γ/γ´ is seen as the coupled peritectic.
        4,000원
        43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soline prices vary across Korea. Some gas stations charge higher prices, while others charge lower prices. In this paper, we try to find: why gasoline prices differ markedly across regions. We empirically estimate the determinants of gas prices by incorporating supply side factors as well as demand side factors into the empirical model. Empirical results show that both location-specific factors and store-specific factors affect gas prices. Concentration of competing stores, store brands, ownership of gas stations, and self-service availability influence gas prices. In addition, the availability of other customer servic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car wash, and auto repairs affects gas prices.
        4,200원
        43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적설하중 산정을 위한 노출계수를 결정 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국의 온실 구조설계기준에서 제시된 노출계수들을 비교분석하였고 우리나라의 각 지역별 노출계수를 결정하고 결정방법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국의 노출계수 기준을 비교분석한 결과 노출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는 노풍도, 풍속, 바람막이의 유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일본을 제외한 각국의 기 준을 종합하면 노출계수는 3가지 단계로 구분되며 바람에 완전히 노출되고 바람이 센 지역의 노출계수는 0.8(0.9), 바람에 부분적으로 노출된 지역은 1.0(1.1), 바람 막이가 조밀하게 설치된 지역은 1.2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온실의 적설하중 산정을 위한 노출계수는 적용의 용이성을 고려한다면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ISO 4355기준에 따라 우리 나라 94개 지역에 대한 노출계수를 산정한 결과 대관령 (0.5)과 여수(0.6)를 제외한 모든 지역의 노출계수가 1.0 과 0.8 두 가지로 대별되었다. 우리나라의 내륙지역이 해안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강설 확률을 가지며 최대풍속이 5m·s-1 이상인 일수가 더 작은 것으로 분석되 었다. 우리나라의 노출계수는 3단계로 구분하여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바람이 강한 지역을 0.8로 하고 내륙 지역은 1.0으로 하며 촘촘한 바람막이가 있는 경우는 일본을 제외한 각국에서 적용하고 있는 값인 1.2로 결정하 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며, 임계풍속 5.0m·s-1 이상 일 수에 따른 지역별 구체적인 노출계수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결정할 필요가 있다.
        4,000원
        43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new product diffusion. We seek to document and explain systematic features of product diffusion. In this essay, we examine the well-documented empirical regularity that the speed of diffusion has accelerated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main source of acceleration are faster declines in prices. Faster price declines make the product affordable to more consumers within a given period of time. Based on theories of intertemporal price discrimination and learning-by-do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peed of adoption and the speed of price decline was explained. Faster price declines are attributed to several product characteristics as well as changes in income distribution. Above all, the introduction of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in more recent years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ccelerating price declines.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are technologically different from non-electronic goods, in that semiconductors are important components. As the price of semiconductors has dropped rapidly, the falling production costs can be rapidly incorporated to the price of consumer electronic goods. Furthermore, most of the recently introduced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have network externalities, and many products with network externalities require complementary products. A complementary product becomes more readily or cheaply available as more people have the main product. One major difference between previous studies and this study is that the former focuses only on the factors that operate directly on the speed of adoption, while this study incorporated factors that work through price changes as well as the factors that work directly on the speed of adoption.
        4,000원
        43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osture to be analyzed and tried to suggest guidelines for MSDs(Musculoskeletal Disorders) evaluation based on working posture. A total of 50 jobs from 3 different types of industries(electronics, hospitals, automobiles) were used for MSDs evaluation study which was done by 6 observers. Two indexes were applied to identify the problem in this study which were percentage of agreement and counter-time-error rate. Specifically, ‘counter-time-error rate’ represented a degree of consistency in terms of selecting the posture to be analyzed time after tim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percentage of agreement for representative posture for whole bod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for representative postures for individual body parts, 2) The counter-time-error rate(%) has been reduced as the evaluation process has repeated for the same job. 3) The counter-time-error rate(%) for electronics, hospitals, and automobiles were 63.4%, 61.2%, and 67.3% respectively. 4) The counter-time-error rate(%) for the job with the work cycle of 0.5 to 2 minute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jobs with the work cycles less than 0.5 minute or greater than 2 minute. 5) The work cycles and the number of trial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unter-time-error rate while the types of industrie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unter-time-error rate. Some guidelines could be prepar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Probably, there should have an extension in terms of form and matter for this study in order to have more practical output.
        4,000원
        439.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평가자료를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3가지이다. 첫째, 현재 고성장 기업이 아닌, 향후 고성장기업으로 성장할 기업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둘째, 고성장기업을 매출 과 고용 2가지 측면에서 각각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즉, 매출증가와 고용창출에서 모두 고성 장을 달성한 경우, 고용창출 측면에서는 고성장을 기록했지만 매출증가 측면에서는 저성장인 경우, 그리고 매출증가만 고성장을 달성하고 고용창출은 저성장을 기록한 경우의 세 가지 유 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기술보증기금 기술평가모형(KTRS)의 기술평가지표를 설명변수로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술의 수명주기상 위치가 적절하고 기술의 완성도가 높을 경우에는 향후 매출 과 고용이 모두 고성장하고 있다. 기술인력관리가 잘 되는 기업은 고용측면에서는 고성장을 하지만 매출측면에서는 오히려 저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용고성장기업이 주로 기 술인력관리가 중요한 하이테크산업에서 발생될지도 모른다는 추론을 가능케 한다. 이에 하 이테크산업 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하이테크산업에 속한 기업은 고용고성장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보였다.
        6,100원
        440.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탄소흡수원으로써의 산림부문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정책들이 고려되고 있다. 제한된 예산과 자원 여건 하에서 정책의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고최저조정법을 이용하여 산림청의 10대 산림 탄소흡수원 증진 정책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산림 분야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산림경영방식 및 시업체계 개선, 조림 및 식생복구 확대, 산림바이오매스 에너지 활용 및 이용시설 증대, 임목수집 시스템 및 재활용 체계 개선, REDD+ 사업 참여 확대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산림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정부 핵심 정책을 수행함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