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4

        42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지역 초 • 중 · 고생 1383명을 대상으로 하여 안경 장용율, 시력검사 장소, 안경 교체시기 · 비용 · 이유, 안경장용과 거주지역간의 상관성 등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 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573 명 (41 .43%) 에 해당하는 학생이 시력교정을 위해서 안경을 장 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안경장용 학생의 학년별 분포를 조사한 결과, 학년이 높아질수록 안경장용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초등학생 21.40%, 중학생 45.33%, 고등학생 50.73%). 2. 안경교체시기에 대해 초 · 중 · 고생 공통적으로 6개월 이상 -1 년 미만이 가장 많 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초등학생 43.83%, 중학생 52.02%, 고등학생 59.21%). 3. 안경교체이유는 시력변화가 54.62%, 테 · 렌즈 파손이 28.97%, 안경을 바꾸고 싶 어서가 14.66%, 기타 1.75% 순으로 조사되었다. 4. 안경 교체시 사용비용은 전체 학생의 48.17% 에 해당하는 학생이 30,000원 이상 50,000원 미만의 금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학생들은 해당 학년에 서, 초등학생은 32.87%, 중학생은 43.50%, 고등학생은 55.96%로 나타났다. 5. 안경 구입시 안경태와 안경렌즈의 상대적인 중요도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는 둘 다 중요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6. 안경을 장용한다고 응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사용중인 안경의 시력검안 장소에 관한 질문에 대해 초등학생은 안과에서, 중 · 고생은 안경원에서 시력검 사를 받는 학생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7. 안경 장용 학생의 지역별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제주시가 45.03%로 가장 많았으 며 서귀포시 (26.35%) , 북제주군 (14.66%) , 남제주군 (13.96%) 순으로 나타났다.
        4,000원
        422.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에서 깃털 화석을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수심이 얕은 바닷가에서 퇴적된 이 퇴적층에서는 사람 발자국을 포함하여 다양한 새 발자국 화석과 포유류 발자국 화석이 풍부하게 산출되었다. 담회색 이암에 밝은 색의 얇은 막으로 잘 보존된 깃털 화석은 깃 판(vane)이 있는 깃털의 일부분이다. 비록 표본의 크기가 길이 10.3 mm, 폭 9.0 mm로 비교적 작지만, 깃대 양쪽에 두 개의 편평한 깃판(vane), 거의 나란하게 휘어진 깃 가지(barbs)그리고 수많은 전면과 후면의 작은 깃 가지(barbules)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 깃털 화석은 국내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기재된 것이며 또한 전 세계의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에서도 처음으로 발견된 것이다.
        4,000원
        423.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의 흑우에서 다배란을 유기한 후 발정기 동안 혈중 호르몬의 농도 검사, 혈액 생화학 검사, 체내 수정란 회수율 등을 관찰하였다. FSH를 4일간 8회 50 mg씩 주사하여 다배란을 유기하였다. 성호르몬의 측정은 radioimmunoassay (RIA)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혈액 생화학치는 자동혈청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인공 수정 후 7일에 수정란을 비외과적 방법으로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혈중 호르몬의 농도를 측
        4,000원
        42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년(5년간) 제주도에서 사육중인 제주 한우와 흑우를 체내 수정란의 생산과 수정란 이식 기술을 통하여 조기 증식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고등 등록우 286두와 흑우 경산우 69두(총 355두)에 대하여 발정 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내에 삽입 후 7일째부터 성선 자극 호르몬() 400 mg을 50 mg씩 균등하게 나누어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근육주사하였다. 투여 6회째에 CIDR를 제거하였으며, 동시에 25mg을 근육 주사하여 과배란을
        4,000원
        425.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돈분 액비의 건물수준을 달리하여 동계작물에 시용 했을시 사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려고 수행되었다. 처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호밀 및 귀리에 무비구(TO), 화학비료구(T1) 그리고 2개 건물수준을 가진 돈분 액비구(DM 2.7 %=T2, DM 5.9%=T3)를 분할구배치법으로 하였다. 5.9%의 건물이 함유된 돈분 액비의 시용은 다른 처리에 비하여 세 작물 모두에서 가장 높은 건
        4,300원
        427.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itrus leafminer (CLM),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is an oligophagous pest of Rutaceae family, especially Citrus spp. occurring in most worldwide citrus-growing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 sex pheromone chemical of CLM, (Z,Z)-7,1l-hexadecadienal (7Z,11Z-16:AI) in monitoring CLM by trap types, the diel activity and the influence of some weather factors on trap catch. CLM was well attracted on a trap baited 7Z,11Z-16:AI 1㎎. Sticky wing trap was more effective than bucket trap. Most caught CLM were attracted at 2~6 a.m. regardless of season, and activity time of CLM was affected by sunrise time as well as sunset time. The trap catch of CLM was more influenced by wind velocity than temperature for activity time of CLM. The number of caught CLM was fallen at below 13℃, but there was little effect for trap catch at over that temperature. The average wind velocity at over 2.0 m/sec made the number of caught CLM drop down. The precipitation did not affect the number of caught CLM when the average wind velocity was lower than at 2.0 m/sec.
        4,000원
        428.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Lepista nuda 균주의 계통유전학적 위치를 밝히고자 우리나라 지역별 L. nuda 균주 와 유럽 2품종, 일본의 2품종 및 Lepista속의 2종(Lepista sordida, Lepista irina)을 분석 하였다. 이들의 형태, RAPD, ITS 서열 등의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 L. nuda는 우리나라 다른 지역에서 채집된 L. nuda보다 크기가 작 고 색이 연하며 갓 모양이 평평하고 얇아 형태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RAPD 분석으로 우리나라에서 채집된 L. nuda의 종 내 genetic dissimilarity는 0%~21.60%범위였으며 Lepista속 3종간의 평균 genetic dissimilarity는 24.48%였는데 L. nuda와 L. sordida는 16.93%~24.82%, L. nuda와 L. irina는 20.62%~25.54%, L. sordida와 L. irina는 23.49%로 나타 났다. ITS 염기서열 분석 결과 L. nuda균주간의 종내 genetic dissimilarity는 1.58%~11.47% 범위였으며 Lepista속 3종 간의 ITS 염기서열 분석결과 genetic dissimilarity는 9.97%로 나타났는데 L. nuda와 L. sordida는 3.83%~12.88%, L. nuda와 L. irina는 7.11%~15.61%, L. sordida와 L. irina는 4.97%였다. RAPD와 ITS에 의해 산출된 genetic dissimilarity를 이용하여 위의 균주들에 대한 neighbour-joining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cluster형성하였으며 제주 L. nuda는 L. irina가 하나의 cluster를 이루었으며 용인 L. nuda와는 같은 subgroup을 형성하지 않았다. 또한 단포자 교배실 험 결과 제주도 L. nuda는 내륙의 L. nuda와 교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로 보아 제주도에 서식하고 있는 L. nuda는 L. nuda종의 품종이라기보다 다른 종으로 추정된다.
        431.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악산과 사람 발자국 화석지 주변에서 측정된 절대 연대 측정 결과와 야외 지질 조사를 근거로 할 때, 하모리-송악산 지역의 층서는 하부로부터 광해악 현무암, 명명되지 않은 퇴적층, 송악산 응회암, 하모리층 및 사구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사계리 지역은 하부로부터 광해악 현무암, 사람 발자국 화석 산출 지층 그리고 사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모리층은 송악산 응회암이 형성된 후 퇴적된 지층이라는 규정과 절대 연령 측정 결과 및 현지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사람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지층은 하모리-송악산 지역의 송악산 응회암층 상부에 놓이는 하모리층이 아니라 하부에 분포하는 명명되지 않은 퇴적층과 대비된다. 따라서 사람 발자국 화석의 형성 시기는 14C 측정 결과인 약 15,000년 전으로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생각된다.
        4,200원
        432.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24년부터 2004년까지 제주관측지점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의 기온과 강수량의 변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지난 81년 동안 연평균 기온은 0.02˚C/year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1980년 이후에는 0.05˚C/year로 이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최저기온의 증가가 최고기온 증가보다 크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최저기온의 상승이 평균기온의 상승을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 기온과 강수의 특이기후 발생빈도 또한 조사하였다. 최고기온 특이값 빈도에 대한 기온편차는 지구온난화경향과 더불어 1980년대에 증가하였으며, 최저기온 특이값은 여름과 겨울 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일수는 감소하고 일강수량이 80 mm 이상인 호우일수의 빈도는 증가하여 강수강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33.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 축산진흥원과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사육되고 있는 제주마 5두를 사용하여 인공질을 이용, 정액을 채취하여 정액의 일반성상 및 CASA를 이용하여 정자의 운동성과 생사 염색으로 기형률을 조사하였다. 제주마 정액의 일반 특성으로 총 정액량은 평균 42.5ml이었으며 평균 pH는 7.3, 평균 정자농도는 평균 이었다. 정자의 운동성은 이며, motility parameters 별로 VAP 로 나타났다. 정자 부위별 기형률은 두부가 평균
        4,000원
        434.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의 서부지역 돼지사육농가에서 생산되고 있는 돈분액비의 비료가치 및 전기전도도나 건물함량과 성분간 상관관계를 구하여 간편한 비료가치 구명방법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돈분액비의 시료는 118개 농가에서 수집되었고 건물수준을 기준으로 4개의 형태로 분류하였다. 전기전도도 (EC), 건물함량(DM), 암모니아성질소과 여러 가지 무기물을 분석하였고 이들 성분간에 상관성이 조사되었다. 118개 양돈농가 중 92개 농가는 액비의 건물함량이 3% 미만이
        4,000원
        435.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기-해양의 상호작용과 제주도 후면에서 발생하는 카르만소용돌이행렬의 상관관계를 수치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카르만 소용돌이는 한라산의 제한된 높이에서 형성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900 hPa고도에서 카르만 소용돌이가 뚜렷이 생성되었다. 카르만소용돌이행렬의 발생초기에는 하나의 소용돌이세포가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용돌이는 이류를 한다. 이때 작은 소용돌이로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분리된 소용돌이의 강도와 지속시간은 해수면 온도 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즉 약한 해수면의 온도경도는 카르만 소용돌이의 지속 시간을 길게 하며, 산 후면의 소용돌이도를 감소시킨다. 강한 해수면 온도경도는 혼합층과 대기하층 수증기량을 증가시키고, 강화된 하층대기 혼합은 산악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계적 응력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4,300원
        436.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fishery and fishing ground environment of red horsehead (Branchiostegus japonicus), the author analyzed the fishery data and examined the amount of catches and oceanic environment on the adjacent seas of Jeju island and East China Sea. It was turned out that the favourable season of the red horsehead fishery is the month from March to June, the main fishing ground is located in 60 mile radius from the position 32.5˚N, 125.7˚E. The bottom seawater temperature in fishing ground was shown between l3℃ and 16℃, the salinity was appeared between 33.5 and 34.0psu without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year. Concentrations of materials(e.g, NO3- and NO2-) in spring and summer time in main fishing ground were higher than any other seasons, but that of phospheric materials were lower than any other seasons.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 α in the main fishing ground was the highest in spring and summer at the surface layer, but the vertical profile of the chlorophyll - α concentrations in all seasons were not variable at bottom layer. Mean density of zooplankton abundance according to the vertical structure was higher and much stable in summer and autumn than spring and winter.
        4,200원
        43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산 비바리뱀(Sibynophis collaris)의 분포와 서식지를 밝히기 위하여 1998년 3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북부에서 5개체, 남부에서 1개체, 서부에서 2개체가 확인되어, 비바리뱀은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찰시기는 5~10월이었고, 관찰빈도는 5~7월에 높게 나타났다. 성체의 경우 몸길이와 꼬리길이는 각각 406~452mm, 29+~202mm이었으며, 상순판의 수와 모양, 측두판 전열의 수를 고려하였을때 S. chinensis의 특징을 보이고 있어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재정립 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식지로는 한라산 식생의 수직분포로 볼 때 해발600m 이하의 초지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바리뱀의 보호를 위해서는 주요 서식처인 초지대의 보호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438.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계절초기 벚나무깍지벌레 방제적기를 구명하고자 월동성충의 산란시기 및 부화약충의 이동시기를 조사하였으며, 이 자료를 기존에 보고된 뽕나무깍지벌레 적산온도 예찰 모형에 적합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벚나무깍지벌레 암컷 월동성충은 4월 중하순부터 산란을 시작하여 5월 상순에는 그 알이 부화하기 시작하였으며, 5월 중순경 부화약충의 이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이와 같은 봄철 벚나무깍지벌레 발생시기는 우리나라 남부지역 및 일본 중부지역에서 보고된 뽕나무 깍지벌레 발생시기와 대체적으로 일치하였다. 또한 봄철 뽕나무깍지벌레의 >50% 부화 난괴 발생비율(y) 추정 적산온도 모형(y=1/[exp(-(-a+bx))], , a=-18.80, b=0.073, x=적산온도, 1월 1일부터 발육영점온도 적용)은 벚나무깍지벌레 부화약충 이동시기와 일치하여 봄철 벚나무깍지벌레 방제적기 추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439.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길이 40m,폭 5.5m의 단일피복 구조의 8연동 무가온하우스 상단부에 설계적설심 19.1 cm의 눈이 쌓인다는 조건과 시설 측면으로 설계풍속 36.6 m·s-1의 바람이 분다는 조건 그리고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적용한 최대적설심 37.8cm의 눈이 쌓인다는 조건과 순간최대풍속 60.0 m·s-1의 강풍이 분다는 조건에서 유동 및 구조강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적설하중 조건에서는 설계적설심 19.1 cm와 최대적설심 37.8cm에서 파이프에 걸리는 최대응력이 각각 53.8 N·mm-2과 107 N·mm-2으로 재료의 허용응력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설계풍속 36.6 m·s-1와 순간최대풍속 60.0 m·s-1의 풍하중 조건에서는 파이프에 걸리는 최대응력이 각각 250 N·mm-2과 672 N·mm-2으로 재료의 허용응력을 모두 초과하여 플라스틱하우스가 불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440.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 사료작물 피에 대해 톱밥 발효돈분의 비료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8년 5월부터 10월까지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사료작물 포장에서 시험이 수행되었다. 실험은 난괴법 6처리 3반복으로써 처리 1: 화학비료 정량, 처리 2: 화학비료 정량의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1/2 (N 100kg/ha), 처리 3: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1/2(N 100kg/ha), 처리 4: 톱밥 발효돈분 정량(N 200kg/ha), 처리 5: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2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