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6

        501.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산물 저온저장고 내부의 온도분포 균일화를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3차원 CFD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CFD 시뮬레이션 모델은 속도벡터 및 온도분포 측정치와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온도분포 균일화 향상을 위한 적정 팬용량 및 적재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몇 가지 팬풍속 및 저장물과 벽체간의 거리 등에 대해 기류패턴과 온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CFD 시뮬레이션의 검증에서 속도벡터 분포는 PIV시스템에 의한 측정치와 비교했을 때 표준 k-모
        502.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저온 장시간 발효된 묵은지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온()에서 46주 동안 발효된 묵은지의 pH, 산도, 유기산, 생균수, 아미노산, polygalacturonase (PG) 활성 등을 분석하였다. 10주 발효한 김치에서는 pH 4.1, 산도 0.99%를 나타낸 반면, 46주 발효한 김치에서는 pH 3.9, 산도 1.29%를 보였다. 한편, 10주에서 46주로 발효 기간이 증가하면서, 젖산, 젖산/초산비, Lacto
        50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r mono and A. okamotoanum were compared after beingextracted by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LTHP) at 20 MPa and 60℃ for 15 minutes. Extraction yield of both A.mono and A. okamotoanum was increased about 40~43% by this extraction process. On scavenging activities, the bark of A.okamotoanum from this extraction proces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s about 97%. This value was higher than that from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and A. mono extracts. Both of A. mono and A. okamotoanum showed high ability on nitritescavenging, but de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increasing of pH. On SOD-like test, A. okamotoanum had the highestactivity as 46.28% at 1.0㎎/㎖ concentration. A. okamotoanum extracted by LTHP also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s197.38% in adding 1.0㎎/㎖ concentration. Generally, the extracts from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are higher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at from 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It can concludethat the bark of A. okamotoanum has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parts of A. mo
        504.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용량 150 kg의 실험용건조기와 heat pump를 이용하여 건조온도 20, 30, 40 및 에서 건조실험을 수행하였다. 건조과정에서 함수율, 동할율의 경시적 변화와 건조 전 후의 발아율 및 식미를 측정하여 저온건조과정에 벼의 품질과 적정 건조온도를 구명하였다. 건조온도 20, 30, 40 및 에서 건조속도는 0.3, 0.6, 0.9 및 1.3%/hr 로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건조는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건조온도 이상은 고온영역, 그 이하는 저
        506.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lity changes in fresh-cut potatoes during storage at after treatment with low-temperature blanching and antibrowning agents were studied. Fresh-cut potatoes were treated by dipping for 1.5 min in a browning inhibitor solution containing 0.5% (w/v) ascorbic acid, 0.5% (w/v) citric acid, 0.5% (w/v) sodium chloride, 0.1% (w/v) trehalose, and 0.005% (w/v) biotin, at , with subsequent cooling for 1.5 min and storage at . The browning properties of fresh-cut potatoes were examined by measurement of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over a 14-day period were assessed in terms of titratable acidity, pH, water-soluble solid level, and gas analysis at . During storage, PPO activity increased, with the lowest activity seen after about 7 days of storage. Treatment with antibrowning solution at increased visual sensory attributes during storage. Low-temperature blanching in distilled water more effectively inhibited browning compared with exposure to browning inhibitor solution, as assessed after 7 days of storage. Fresh-cut potatoes respired aerobically after different treatments during storage at .
        511.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피의 이상은 탈모, 비듬, 가려움증 등의 두피 질환으로 이어지며,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여서 발병하면 치료가 쉽지 않다. 따라서 두피의 생리적인 항상성을 유지해서 두피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두피 질환 예방 및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최근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 분야에서는 한의학적으로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약재들을 원료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한약재는 대량생산과 규격화 등의 문제로 뜨거운 물에 우려낸 열수추출물을 제형에 혼합하는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고온에 의한 영양소와 효능성분의 파괴는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적으로 두피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검은콩, 작약, 녹차 잎을 대상으로 성분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저온용출법으로 효능 성분을 추출하고, 이 추출물들의 두피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저온용출물들은 열수 추출물보다 평균 2배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보유하였으며, 모낭 및 모발 강화, 두피 보습, 가려움 방지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검은콩, 작약, 녹차잎의 저온용출물은 두피 트러블을 해결하는 효과적인 두피 개선 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
        512.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immune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by encapsulation of nanoparticles. Immuno-activities of R. coreanus were investigated through aqueous extracts associated with process of water at 60℃. It showed high promotion of human B and T cells growth about 50%, compared to the case of other conditions. The secretion of IL-6 and TNF-α was also enhanced as 2.44×10-4pg/cell and 1.94×10-4pg/cell, results by adding nano samples. NK cell activation was improved up to 29%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extraction process. The secretion of NO from macrophage showed 14.9 μm on the nano-encapsulation process extracts, which was higher than others. The size of nanoparticles was in the range of 50~300 nm, which can effect the penetration into the cells. It was clearly observed by real time confocal microscope.
        51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 methodology of improving immune activities of Berberis koreana Palibin by ultra high pressure on low temperature extraction process. Extraction yield was enhanced up to more than 35% by above process, compare to the control and extraction average. The cytotoxicity on human kidney cell (HEK293) was showed below 20.4%, 21.6% in adding 1.0 mg/ml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Generally, the extracts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showed less toxicity about 5% than the other processes. It could tell that toxic materials that existing in the plant could be reduced or broken by ultra high pressure process due to can be broken bond such the hydrogen bond, the electrostatic bond, the van der Waals bond, and the hydrophobic bond, can be broken by high pressure. The result could be employed to develop a new type of functional food from B. koreana Palibin by low temperature high pressure process.
        515.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계용 닭에 이산화염소수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 및 품질에 관련된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삼계용 닭의 냉장저장 초기 총 호기성 세균은 대조구 4.14 log CFU/g이었고, 50 ppm 처리 시 0.41 log cycle, 100 ppm 처리 시 0.73 log cycle 감소함을 나타냈으며, 이산화염소수 처리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저장 10일째 총 호기성 세균수는 이산화염소수 100 ppm 처리시 3
        516.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튤립(Tulipa ‘Showwinner’, ‘Ballerina’)과 수선(Narcissus ‘Tete a tete’, ‘Dutch Master’)의 고품질 분화 및 절화생산을 위한 구근 저온 저장 및 재배시스템이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튤립 ‘Ballerina'의 경우 재배시스템과 저온 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온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가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습윤 저온처리는 다른 저온 처리방법보다 개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튤립 ’Showwinner'의 경우 저온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가 촉진되었고, 개화율은 재배시스템이나 저온 처리기간보다 저온처리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윤 저온처리에서 90% 이상의 개화율을 보였다. 수선 ‘Dutch Master'의 경우 개화소요일수는 재배시스템 처리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저온 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가 촉진되었으며, 개화율은 습윤 저온처리시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100%를 나타내었다. 수선 ’Tete a tete'의 경우 Ebb & flow 시스템과 습윤 저온처리구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온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소요일수가 단축되었다. 개화율은 재배시스템이나 저온처리기간 보다 저장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습윤 저온처리나 건조 저온처리에 비해 자연 저온처리에서 다소 개화율이 낮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구근의 저온저장 및 양액재배 시스템에 의해 고품질 상품을 기획적으로 생산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517.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ormation of ConTiOn+₂ compounds, i.e., CoTiO₃ and Co2TiO₄, in a 5 wt% CoOx/TiO2 catalyst after calcin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has been characterized vi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Raman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measurements to verify our earlier model associated with Co3O4 nanoparticles present in the catalyst, and laboratory-synthesized ConTiOn+₂ chemicals have been employed to directly measure their activity profiles for CO oxidation at 100˚C. SEM measurements with the synthetic CoTiO₃ and Co2TiO₄ gave the respective tetragonal and rhombohedral morphology structure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arlier XRD results. Weak Raman peaks at 239, 267 and 336 cm-1 appeared on 5 wt% CoOx/TiO₂ after calcination at 570oC but not on the catalyst calcined at 450˚C, and these peaks were observed for the ConTiOn+₂ compounds, particularly CoTiO3. All samples of the two cobalt titanate possessed O 1s XPS spectra comprised of strong peaks at 530.0±0.1 eV with a shoulder at a 532.2-eV binding energy. The O 1s structure at binding energies near 530.0 eV was shown for a sample of 5 wt% CoOx/TiO₂, irrespective to calcination temperature. The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catalyst calcined at 450 and 570˚C is the 532.2 eV shoulder which was indicative of the formation of the ConTiOn+₂ compounds in the catalyst. No long-life activity maintenance of the synthetic ConTiOn+₂ compounds for CO oxidation at 100˚C was a good vehicle to strongly support the reason why the supported CoOx catalyst after calcination at 570˚C had been practically inactive for the oxidation reaction in our previous study; consequently, the earlier proposed model for the Co₃O₄ nanoparticles existing with the catalyst following calcin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is very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zation results and activity measurements with the cobalt titanates.
        51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미저장 중 저장온도에 따른 쌀과 밥의 품질변화를 구명하고자 추청벼 등 14품종의 현미를 15℃ 와 35℃ 에 10주간 저장 후 현미 및 백미, 밥의 품질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1. 15℃ 저장이 35℃ 에 비하여 현미의 Tz값이 높아 배아 활성 정도가 높았으며 도정 후 백미 완전미율이 높아 15℃ 저장 쌀의 품질이 양호하였다. 2. 35℃ 에 비하여 15℃ 에 저장한 현미에서 쌀밥의 윤기치는 높았으나, 밥 색도 b 값, 밥 경도, 호화점도(최종점도, 강하점도)가 낮아 밥의 품질이 우수하였다. 3. 밥 색도 b값은 조생종이 중.만생종에 비하여 높았고, 밥 경도는 조생종이 낮았으며, 저장 현미의 도정 후 백미 완전미율은 15℃ 에서 78%, 35℃ 에서 70%이었으며 35℃ 에서 화성벼, 추청벼, 남평벼는 82%이상을 나타냈다. 4. 15℃ 저장에서 밥 색도 b값은 pH와 -0.693**, 윤기치와 -0.823**, L값과 -0.772**, 지방산도와 -0.548* , 백미 완전미율과 -0.576* , L값과 -0.772**, a값과 0.557* 의 유의성을 나타냈으며, 백미 완전미율은 밥색도 L값과 0.638* , 밥색도 b값과 -0.576* 의 유의성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