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6

        541.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tioxidant activity and multidrug resistance reversing activity in several Korean colored soybean (Glycine max Merr.) cultivars.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olored soybean cultivars was evaluated by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DPPH (1, 1-diphenyl-2-picrylhydrazyl) and ABT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methods. By means of TBARS, cultivar "Jeonnam #1" showed the highest activity until 7 days, and followed by "Black #1", "Jinyul" and "Black #3", showing lower activity than that of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Methanol extracts of all cultivars proved tha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s dose-dependent. Methanol extract from cultivar "Jeonnam #1" showed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ollowed by cultivars "Black #1". MDR (multi-drug resistance reversing) activity, however, showed the highest effect in "Black #3" and the lowest "Black #1" cultiv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ed colors of soybea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ntioxidant activity and MDR activity.
        542.
        2011.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울금의 품종별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 근경을 실험재료로 하여 total polyphenol 함량, 항균활성, 항균물질의 열안정성 및 pH안정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울금 품종별 total polyphenol 함량은 울금과 강황에서 보라울금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울금의 추출 용매에 따른 항균활성은 ethanol 추출물이 15.4~16.3 mm로 가장 강한 항균
        543.
        2011.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질경이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질경이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의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질경이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탄수화물 63.71%, 조단백질 18.75%, 조지방 1.67% 및 조회분 6.48%이었고, 질경이 100 g의 함유 열량은 466.71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22.
        544.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이질풀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에 관한 연구로, 항산화 및 항노화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질풀의 주요 성분으로는 tannin, (-)epicatechin, kaempferitin, kaepferol-7-rhamnoside, brevifolin, corilagin, pyrogallol, ellagitannin, geraniin, gallic acid, succinic acid, quercetin, protocatechuic acid 등이 보고되어 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평가를 통한 이질풀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인 quercetin과 비교하여 우수한 소거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 농도(50 μg/mL)를 처리하였을 때 이질풀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약 98.33 %로 측정되었으며, quercetin의 경우 78.05 %로 측정되었다. Human keratinocyte (HaCaT)에 이질풀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내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IC50값은 이질풀 추출물과 quercetin에서 각각 43.22, 102.35 μg/mL로 측정되어 이질풀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 자극 테스트 및 세포 독성 평가를 통하여 이질풀 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을 유발시키지 않는 안전한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545.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발된 13종의 천연색소 추출물에 대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 그리고 항산화효소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천연색소 종류별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보면 적양배추(red cabbage), 양파껍질(onion peel), 레드비트(redbeet), 흑미(black rice), 오디(mulberry) 색소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청치자(blue gardenia) 및 황치자(yellow gardenia), 완숙여주(mature bitter melon) 색소 등에서는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반응용액 pH 1.2의 경우 양파껍질, 레드비트, 치자황, 지황(chinese foxglove), 치자청 색소에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적양배추와 오디 색소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반응용액 pH 6.0에서는 대부분의 색소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효소활성 결과를 보면, SOD 활성의 경우 여주, 흑미, 포도과피 등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자색고구마, 지황에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APX 활성은 뽕잎, 오디, 지황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CAT 활성도 APX 결과와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천연색소에 있어 항산화 효소의 종류에 따라 그 활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는 천연식물색소에 대해 높은 항산화 기능성을 확인함으로서 향후 고부가가치의 향장소재 및 식품소재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546.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 찰옥수수에 대해 소비자의 기호성과 기능성이 고루 높고 가공적성이 우수한 복합 신품종을 육성하고자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장려품종을 대조구로 하여 총 15개 교잡종을 아밀로그램 특성, 항산화성 및 식미관련 종실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교잡종에 대한 아밀로그램 분석결과 식미에 유리한 최고 점도 및 강하 점도는 CNU08H-69 교잡종에서 각각 115.9와 53.8RVU로 가장 높았고 CNU08H-h121과 일미 찰이 각각 51.6와
        547.
        2011.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용매별(methanol, ethanol, acetone 및 water)로 추출한 canola meal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canola meal 용매 추출물들은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추출물 중에서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낮은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0.9 mg/mL,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3.5 m
        548.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늘꽃과(Oenotheraceae) 식물인 달맞이꽃(Oenothera lama-rckiana Seringe, OLS)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antioxidant activity) 및 멜라닌화(melanogenesi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배양 인체피부흑색종세포(SK-MEL-3)을 재료로 하여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일종인 glucose oxidase(GO)에 대한 OLS추출물의 영향을 세포생존율을 비롯한 superoxide dismutase(SOD)-유사활성(SOD-like activity) 및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분석을 통해 항산화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OLS추출물이 멜라닌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멜라닌합성을 비롯한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GO는 배양 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을 감소시킴으로서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XTT50값은 50mU/mL에서 나타났다. 한편, OLS추출물은 GO의 세포독성으로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GO의 산화적 손상으로 부터 세포를 보호하였다. 또한 OLS추출물은 SOD-유사활성(SOD-like activity)을 나타냈으며 지질과산화를 억제함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멜라닌합성에 대한 OLS추출물의 영향에 있어서는, OLS추출물은 GO에 의하여 증가된 멜라닌합성과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멜라닌화를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54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for utilization of the aerial par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PCO),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aerial parts and rhizomes of C. officinale were measured using DPPH and ABTS radicals, and nitrite scavenging assays. The ethyl acetate (EA) fraction prepared from the aerial parts of APCO show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ies, and contained high level of total phenolic compounds (325.81 mgTE/g) and flavonoids (259.16 mgRE/g). The concentrations for 50% reductions (RC50) values of the DPPH and ABTS radicals, and nitrite by the EA fraction of APCO were 11.27 μg/ml, 14.34 μg/ml, and 10.26 μg/ml, respectively. APCO exhibited approximately 3-9 time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rhizomes of C. officinale. The antioxidant capacities of APCO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ts total phenolic content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aerial parts of C. officinale can be a useful and cost-effectiv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for food or cosmetics.
        550.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외의 비식용부위인 씨, 꼭지, 줄기 잎 부위의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DPPH, ABTS, FRAP, SOD 등 다양한 항산화 실험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참외 비식용부위의 항산화 활성은 참외 꼭지부위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총 페놀 성분 또한 꼭지 생체 100 g당 143.4 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참외의 비식용부위 중 꼭지에서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참외 꼭지에서 항산화 활성 및 기능성분 함량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향후 다양한 생리활성 및 활성성분 규명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51.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에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저해활성(FSC50)은 ethyl acetate 분획(3.54 μg/mL)과 aglycone 분획(2.15 μg/mL) 모두 지용성 항산화제인 (+)-α-tocopherol(8.98 μg/mL)에 비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luminol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참죽나무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0.15 μg/mL)과 aglycone 분획(0.12 μg/mL)에서 모두 L-ascorbic acid (1.50 μg/mL) 보다 약 10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 모두 농도 의존적(5 ~ 25 μ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 분획에서 각각 48.00μg/mL, 5.88 μg/mL으로 나타났으며 aglycone 분획의 경우 강력한 미백제인 arbutin (226.88 μg/mL)에 비해 약 40배 정도 더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 이상의 결과들은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이 활성산소종을 소거하고 활성산소종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tyrosinase 저해활성으로부터 미백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552.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ecialty barley extracts were prepared and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biological activity. Hunter L* values of the Iksan 86 extracts had higher than that of the Iksan 87 and Zasoojeongchal extracts. The extraction yields of Iksan 86, Iksan 87, and Zasoojeongchal was 8.08, 6.62, and 7.30%,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of the Iksan 86, Iksan 87, and Zasoojeongchal extracts were 16.24, 15.51, and 13.95 GAE mg/g of sample,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Iksan 86, Iksan 87, and Zasoojeongchal extracts were 50.00, 33.27, and 7.56% at a 500 ppm, respectively. The samples showed an inhibition of xanthin oxidase. ACE inhibition effect of specialty barley extracts, Iksan 86, Iksan 87, and Zasoojeongchal, was 39.81, 41.06, and 27.78%, respectively. Tyrosinase inhibition rates (%) of Iksan 86, Iksan 87, and Zasoojeongchal extracts were 26.21, 24.57, and 20.00%, respectively. Results indicated that specialty barley extracts possesse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tive capacity, xanthin oxidase inhibition activity,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55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만병초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tyrosinase, elastase 저해 효과, 만병초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 함유 크림을 제조하고 이를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 보유량,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만병초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1.83 μg/mL으로 나타났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만병초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50)은 50 % EtOH extract 분획에서 0.064 μg/mL으로 ethyl acetate와 aglycone 분획보다 더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만병초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는데 1 ~ 10 μg/mL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1O2으로 유도된 용혈을 억제하였다. 미백 효과 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를 측정하였는데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에서 각각 70.5 μg/mL, 122.40 μg/mL로 나타났으며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이 각각 51.40 μg/mL, 20.73 μg/mL로 나타났다. 만병초 추출물 ethyl acetate 분획 함유 크림을 팔에 도포한 후 180 min 동안 30 min 간격으로 수분 보유량을 측정한 결과 placebo 크림에 비하여 만병초 추출물 함유 크림의 수분 보유량을 1 ~ 4 % 정도 증가시켰다. 또한 180 min 동안 측정한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7.7 g/m2h으로 무도포(10.2 g/m2h)한 부분과 placebo크림(8.9 g/m2h)과 비교했을 때 더 적은 수분 손실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만병초 추출물이 1O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만병초의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 만병초 추출물 함유 크림의 인체 시험의 결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554.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료 베이스용 시럽을 개발하기 위하여 마카 추출액을 다양한 수준(0%, 7%, 14%, 21%, 28%)으로 첨가하고 품질 특성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pH는 대조군보다 첨가군이 낮았고 시럽의 당도는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점도는 마카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마카 추출액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b값은 증가하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 향, 단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면에서 시료간에 유의적인
        555.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에 유기 재배된 과실이 관행재배와 비교해서 건강관련 물질과 관련된 화합물이 다량 분포된다는 연구와 주장이 제기되어 왔지만, 국내에서는 두 가지 재배방법에 따른 과실품질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기농과 관행으로 재배 된 배 '신고'의 과실품질과 폴리페놀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처리는 키틴 복합퇴비+키틴 액비(구역 A), 키틴 복합퇴비+적외선으로 처리 된 키틴 액비(구역 B), 그리고 관행재배 시스템(구역 C와 D)으
        55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raw Sesamum indicum seeds (cv. Kopum and cv. Mihuk) and their sprouts germinated for 7 days.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of sprouts (29.34±3.3 mg/g DW)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aw seeds (6.85±0.39 mg/g DW). All individual free amino acid, including asparagine, alanin, arginine, and leicin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esame sprout. And also germinated sprou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2.2±0.3 mg GAE/g) that resulted in the increased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Subsequently, two varieties of sesame and its sprouts were analyzed for their phenolic constituent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atechin, sinapic acid and salicylic acid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phenolic acid presented in sesame sprout. However, the major biological constituents sesamin and sesamolin conte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germination.
        55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anthopanax senticosus is a typical oriental folk medicinal herb and has been used clinically as a tonic, anti-rheumatic and prophylactic for chronic bronchitis, hypertension, anti-stress, ischemic heart disease, and gastric ulcer. Acanthopanax senticosus was successively extracted with water, boiling water, methanol, and 70% methanol.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extracts were evaluated by antioxidant tests, such as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metal-chelating activity,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ssay. The boiling water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in vitro models of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ssay. The 70% methanol extract showed high metal chelating activity. In addition,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different extracts was also investigated. These results indicate the high possibility of using A. senticosus for medical application due to their efficient antioxidant properties.
        558.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chilus thunbergii was an important medicinal resource and distributed widely in China. In this study, the bioactivities of dichloromethane fraction (DF) and water fraction (AF) from Machilus thunbergii methanol extract were investigated. Total phenolic contents of DF and AF were 57.90 mg Gal/g and 189.92 mg Gal/g,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17.34 mg Que/g and 58.38 mg Que/g respectively. The EC50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F and AF were 24.37 μg/ml and 2.10 μg/ml. Reducing power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AF were higher than those of DF.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AF (IC50 = 1.13 μg/ml) was higher than that of DF (IC50 = 5.34 μg/ml). The cell viability was showed that only the DF had anti-proliferation effect on human cancer cell HT-29.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oth the DF and AF extract of Machilus thunbergii were potential materials for anti-diabetes and functional food for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559.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며느리배꼽 추출물들의 항산화 효능 및 tyrosinase,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aglycon 분획(12.38 µ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0.35 µ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며느리배꼽 추출물에 대하여 광증감제인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추출물의 aglycon 분획을 제외하고 다른 추출물들은 농도 의존적(1 ~ 50 µ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 분획이 각각 136.00 µg/mL, 68.10 µg/mL으로 나타났으며,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 분획이 각각 67.20 µg/mL, 43.50 µg/mL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며느리배꼽 추출물이 1O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560.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능성 옥수수 수염을 가지는 옥수수 계통을 선발하기 위해 다양한 자식계통과 F1을 대상으로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각각 980~2,420 mg 100 g-1, 1,532~3,274 mg 100 g-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안토시아닌의 고유영역인 517 nm에서의 흡광도는 0.05에서 0.76까지의 범위를 보였다.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 성분과 DPPH, ABTS, FRAP assay에서 얻어진 항산화능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ABTS와 FRAP assay에서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 활성과 페놀성물질 및 안토시아닌간의 상관계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옥수수 수염의 안토시아닌을 추출하는 용매가 산성이라는 점과 안토시아닌의 DPPH 용액과의 가시영역 파장에서의 간섭을 고려할 때, DPPH 보다는 ABTS assay나 FRAP assay가 더 적합한 항산화능 측정 방법이 될 것이다. 이들 중 특히 ABTS assay는 옥수수 수염의 주요한 기능성 성분인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물질과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여 옥수수 수염의 종합적인 항산화능을 평가하고 우수 계통을 선발하는데 적합한 측정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에서 안토시아닌 함량과 페놀 함량이 높고 ABTS assay와 FRAP assay에서 모두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준 S15은 고 기능성 품종 육종 및 옥수수 수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능 측정에 대한 항산화 실험의 적합성 연구는 우수한 옥수수 수염을 선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