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9

        4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how the installation of a pressure gauge in the indoor fire hydrant of an apartment building affected identifying pressurized water in the pipe, making it easier to conduct internal inspection on the fire suppression system, and ensuring reliability of fire suppression. The following are the study’s results: First, identifying pressurized water in the indoor firefighting pip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stallation of a pressure gauge in the indoor fire hydrant. This implies that a higher level of identification of pressurized water in the indoor firefighting pipe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installation and use of a pressure gauge in the indoor fire hydrant. Second, making it easier for the fire safety officer to inspect the fire suppression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stallation of a pressure gauge in the indoor fire hydrant. This suggests that if it becomes easier for the apartment building’s stakeholder to conduct internal inspection or the firefighting facility manager to carry out inspection on the fire suppression system, it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stallation of a pressure gauge in the indoor fire hydrant. Finally, ensuring reliability in fire sup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stallation of a pressure gauge in the indoor fire hydrant. This implies that if it becomes easier to identify pressurized water in the indoor firefighting pipe, for the fire safety officer to conduct internal inspection, or for the firefighting facility manager to carry out insp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fire suppression system’s internal inspection requirements, it would increase reliability in fire suppression, making it more necessary to install a pressure gauge in the indoor fire hydrant.
        4,300원
        47.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vo 측정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연구기간이 길며 동물복지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지난 수십년간 in vitro 소화율 측정법이 개발되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대표적인 단위동물로써 사양되고 있는 돼지의 소화기관 특징 및 소화작용에 대한 논하였다. 또한, 최근에 개발된 daisy II incubator 를 이용한 in vitro 방법을 통해 돼지에서 주요 곡류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옥수수, 쌀, 소맥 및 대맥의 회장 및 전분 건물소화율을 측정하였다.
        4,300원
        4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정소화약제는 지구오존층 보호를 위해 발효된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라 할론 1211 및 할론 1310을 대체할 수 있는 약제를 말한다. 국·내외적으로는 청정소화약의 시스템 표준화와 성능평가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반적인 청정소화약제 시스템을 바탕으로 다양한 노즐의 형상에 대한 모델링 및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최적의 노즐 형상을 제안하였다. Type A와 B의 2가지 형상에 대한 노즐의 3차원 모델링을 통해 노즐의 분출속도가 개선될 수 있도록 하였다. 2가지 형상의 노즐에 대하여 유동해석을 실시하였으며 노즐의 홀 직경을 다르게 하여 가스속도 및 압력분포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노즐 홀 수 및 직경에 따라 노즐출구에서 분출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노즐 홀 직경에 관계없이 유량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노즐 직경이 5 mm인 경우의 K-factor값이 101.8 l/min·bar-0.5임을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노즐 홀 5 mm인 12개의 홀이 2층 구조로 되어있는 형상의 노즐을 제안하였다.
        4,000원
        53.
        2018.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화불량증은 매우 흔한 질환으로 기존의 위장관계에 발생되는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이에 대비되는 췌담관성 소화불량증이 있다. 그 중 담관계 소화불량증을 담즙성 소화 불량증이라 하며 심해지면 담관통도 유발할 수 있다. 비결석성 담관통은 기존 담도계 증상의 원인으로 잘 알려진 담석증, 담도 종양, 협착 등이 없이 발생되는 증상으로 복부 초음파나 CT로 진단되지 않은 미세담석증, 슬러지, 간디스토마 등의 기생충 질환, 그리고 기능성 담관계 질환 등이 있으며 감별을 위하여 내시경초음파 검사가 도움이 된다. 기능성 담관계 질환의 확진을 위하여 SOM 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나 현실적 실용성 및 검사 자체의 침습성 및 판독의 한계가 있으며 이에 대하여 최근 비침습적인 여러가지 검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실제적으로 기능성 담관계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가장 임상적으로 쉽게 해 볼 수 있는 검사는 정량적 간담관 신티그라피 검사이며 담낭 운동이상, SOD 또는 복합형을 감별할 수 있다. 치료는 충분한 식이 조절과 약물 치료를 먼저 시행하되 증상이 악화되거나 자주 재발을 하는 경우는 담낭 운동이상만 있으면 복강경하 담낭절제술을 시행하고, 만약 SOD가 의심되거나 이에 합당한 소견이 관찰되는 경우는 추가적으로 SOM을 시행한 후 결과에 따라 EST를 고려해야 한다. SOM이 가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극 초음파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여 판단을 해야 하며 SOD 2형은 EST를 시행할 수 있으며 SOD 제3형은 환자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4,000원
        5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혐기소화액을 클로렐라 배양 배지로 이용하여 클로렐라 처리 농도 및 침종 처리방법에 따른 고추 종자의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고추 종자는 증류수(대조구), 클로렐라 배양액의 50% 희석액(50%), 클로렐라 배양원액(100%), 클로렐라 150, 200, 400% 농축액, 클로렐라 배양여액, 대조구를 두었다. 클로렐라 배양액의 무침종 처리구가 86.7~95.6%의 발아율을 나타낸 것과 비교해 볼 때, 침종 처리구의 발아율은 98.3~100%로 5~12%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클로렐라 배양여액 처리구의 발아율은 73.3%로 클로렐라 배양액 보다 낮았다. 클로렐라 침종처리구의 발아속도는 무침종 처리구보다 1일 빨랐다. 고추 종자의 80% 발아 소요 시간은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1.1~1.2일 빨랐다. 그러나 클로렐라 배양여액 처리구의 발아속도는 클로렐라 배양액 보다 낮았다. 클로렐라 배양액 150% 침종 처리구의 유근길이는 6.23cm로 대조구보다 약 2cm 더 길었다. 상대적 유근신장률은 클로렐라 150% 침종처리구에서 146%로 대조구보다 46% 높게 나타났다.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의 고추 종자 발아지수(GI)는 130~150%로 무처리구 보다 높았다.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는 고추 종자 발아율이 높았고 발아기간이 단축되고 유근이 길어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클로렐라 배양액은 고추 종자 발아에 안정성이 높았고 종자의 발아 촉진에 유용하게 적용이 가능하였다.
        4,000원
        59.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using anaerobic digestate as medium on seed germination of perennial ryegrass seeds. Four treatments were compared: control with distilled water, anaerobic digestate, Chlorella culture solution and Chlorella culture filtrate. The germination percentage of perennial ryegrass seeds was highest in the Chlorella culture solution treatment. Days required for 50, 70% seed germination were faster at 1.7 day in Chlorella culture solution compared to control. Root length of perennial ryegrass seeds was longer by 1~2cm in the Chlorella culture solution compared with control. The relative root length was by 40% longer in the Chlorella culture solution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The germination index (GI) of perennial ryegrass seeds was higher by 180~202% in the Chlorella culture solution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The decay rate was low as 50.0% in Chlorella culture solution, but decay rate of perennial ryegrass seeds showed 86.7~83.3% in control plot and in anaerobic digestate, respectively. Chlorella culture solution have shown stimulatory effects in germination and development of root. Overall, Chlorella culture solution could be useful to apply for promotion of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of seeds.
        4,000원
        60.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ous roughage sources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enteric methane (CH4), and carbon dioxide (CO2) production in goats. Four castrated black goats (48.5 ± 0.6 kg) were individually housed in environmentally controlled respiration-metabolism chambers. The experiment design was a 4 × 4 balanced Latin square design with 4 roughage types and 4 periods. Alfalfa, tall fescue, rice straw, and corn silage was used as representative of legume, grass, straw, and silage, respectively.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higher (p < 0.001) in corn silage than in alfalfa hay. Dry matter digestibility of alfalfa hay was higher than those of tall fescue or rice straw (p < 0.001).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of tall fescue was lower (p < 0.001) than those of alfalfa, rice straw, or corn silage. Daily enteric CH4 production and the daily enteric CH4 production per kilogram of BW0.75, dry matter intake (DMI), organic matter intake (OMI), digested DMI, and digested OMI of rice straw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tall fescue but were higher (p < 0.001) than those of alfalfa or corn silage. Roughage type had no effect on enteric CO2 emission in goats. Straw appeared to generate more enteric CH4 production than legume or silage, but similar to gras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