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41.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적어도 2,500년 전에 기원된 바둑은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보드 게임 중의 하나이다. 아직까지 포석 바둑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본 연구는 특정 프로기사의 포석을 갖고 훈련용 포석으로부터 얻어낸 클래스로의 인식을 위해 전통적인 선형판별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상위 10위권 한국 프로기사의 포석을 갖고 클래스-독립 선형판별분석과 클래스-종속 선형판별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클래스-독립 LDA는 평균 14%의 인식률을, 클래스-종속 LDA는 평균 12%의 인식률을 각각 보였다. 또한 연구 결과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PCA가 LDA보다 더 우월하고, 유클리디언 거리 측정 방식이 결코 LDA보다 뒤지지 않는다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42.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number of aid projects for farming village has been increased, rural amenity is being emphasized. On the contrary, we have a shortfall in excavation and utilization of great resources due to the utilization limit for resources in each village and similarity with the resources from other areas. Thus, we're trying to investigate the ways to make effective use of excellent amenities for farm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n this study,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 tried to extract the key factors from the selected areas and examine actual application case of resources. This study categorized the key resource into the big class such as development, farming, nature and experiencing and target areas were categorized into two main classes accordingly. The finding shows 5 example places selected as great areas are taking advantage of extracted excellent resources and 2 target areas are also utilizing enough of excellent resources of each area. Not only limit of used items, subjective view of researcher and resources of each area but also participatory intention of residents and management ways should be additionally considered for another study from now on.
        43.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둑은 2,50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지만 바둑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최근에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연구를 하고 있으나 현저한 이론적 실체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세계 최고의 바둑기사인 이세돌 프로 9단의 기보를 중심으로 바둑의 초반전인 포석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성분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361개의 고유벡터 중 48개의 가장 큰 고유벡터가 전체 분산의 99.9% 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며, 전체 분산의 90.5% 정보를 30개의 가장 큰 고유벡터로 처리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향후 프로기사의 포석에 대한 패턴인식을 연구하는데 상당한 기여가 있을 것이다.
        44.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나무(L. lucidum)는 ursolic acid와 oleanolic acid를 다량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나무 열매, 줄기, 잎 세 부위 추출물의 항주름 효능을 평가하였다. 광나무 추출물은 human skin fibroblasts에서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MMP-1과 MMP-2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들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MMP-1과 MMP-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광나무 세 부위 추출물 가운데, 열매 부위에 가장 많은 양의 ursolic acid 와 oleanol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가장 강한 COL1A1 upregulating 효과와 MMP-1과 MMP-2 downregulating 효과를 나타냈다. 이처럼 항주름 효능을 보이는 광나무 열매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45.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o develop hair growth agents using natural products which has excellent ability to promote hair growth effect and fewer side effect, animal experiment and clinical trials was performed to evaluate hair growth promotion effect of herbal product containing Rosa mutiflora roots extracts as a main component (RMHP). 4-week-old male C57BL/6 mice were removed the dorsal hair using thioglycolate, and applied 15% EtOH solution as a negative control, 5% minoxidil as a positive control and RMHP to dorsal skin. In the results of macroscopy and photo-interpretation, RMHP group recorded 100% (+++++) of hair growth was proved to significantly stimulate hair growth against 80% (++++) negative control group. 37 patients were treated with RMHP and evaluated the therapeutic effect at 16 weeks. Hair dens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16 weeks after applying RMHP (125.0±4.9 FU/cm2) compared to before treatment (104.3±4.7 FU/cm2, p 〈 0.05), and hair thicknes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0.066±0.003 mm) than before treatment (0.055±0.002 mm, p 〈 0.05). The result of clinical photo-interpretation using 7-point rating scale assessment, after 16 weeks clinical symptoms were evaluated to significantly improve with 1.23±0.05 (p 〈 0.05).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served that RMHP have hair loss prevention effect and hair growth promotion effect to hair loss patients.
        4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use of antibiotics to improve animal productivity in livestock industry was strictly restricted. For these reason, probiotics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promising materials for an antibiotic alternativ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probiotics influence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 via meta-analysis. Eighteen researches from 1997 to 2010 were used for meta-analysis. The standard summary effects were calculated via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Borenstein et al., 2009). Heterogeneity was calculated by using the Cochran’s Q statistics (Kook et al., 2009) and publication bias was calculated via Egger’s regression (Lee et al., 2011). In fixed model average daily gain, body weight serum protein content and cecal LAB showed positive effect significantly. Feed intake, feed/gain and serum cholesterol show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In serum triglyceride, negative effect was found but significance was not shown. In random model, average daily gain body weight and cecal LAB showed positive effects with significance and feed/gain and serum cholesterol represent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Publication bias was found only in feed/gain.
        47.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주성분 분석을 사용한 포토모자이크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후보 이미지 집합의 주성분 분석 결과인 주성분과 계수를 사용하여 후보 이미지 검색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포토모자이크를 생성한다. 두 이미지를 하나의 주성분으로 투영해서 계산된 두 계수가 유사하면 두 이미지의 본래 정보 역시 유사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주성분 분석을 사용하는 계수 비교 방법은 이미지의 색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다. 계수 비교 방법은 모든 색상 비교 방법보다 빠르고, 평균 색상 비교 방법보다 정확하게 포토모자이크를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포토모자이크 알고리즘은 그래픽스 하드웨어의 가속을 받아 수행되므로 실시간에 입력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4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해당화의 총페놀화합물 함량은 줄기추출물이 평균 7.8(g/100g, D.W.)이고 뿌리추출물이 평균 10.5(g/100g, D.W.)이며, 모든 시료에서 뿌리추출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2. K-1의 줄기와 뿌리 추출물(0.5g)에서 주성분의 하나로 추정되는 S-4(84.1mg)과 R-2(70.0mg)의 화합물을 단리했고, 그 구조를 catechin으로 결정했다. 3. UPLC 분석에 의해 줄기추출물의 탄닌함량은 평균 752.5(mg/100g, D. W.)로, gallic acid 6.3, epicatechin 61.5, catechin 684.8이고, 뿌리추출물의 탄닌함량은 줄기의 약 2배 이상 높은 1676.0(mg/100g, D.W.)으로 gallic acid 6.8, epicatechin 160.3, catechin 1508.5로 나타났다. 4. 해당화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에서 추출물의 IC50는 뿌리가 13.7μg/ml, 줄기가 14.5μg/ml으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냈고, SOD 유사활성은 50μg/ml의 농도에서 뿌리추출물이 평균 75.1%, 줄기추출물이 71.9%로써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50.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의 수확시기 및 부위별 생육특성, scoparone과 capillarisin함량을 조사하여 약리 성분 함량이 높은 수확시기와 부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철쑥은 7월 30일경 꽃봉오리가 형성되었으며 8월 30일 만개하여 9월에 종자가 성숙되었다. 생육은 8월 30일에 가장 양호하여 생체중과 건물중이 높았다. 특히 이 시기에 엽은 관찰되지 않았고 생체중은 243.7g으로 높았는데 종실의 무게는 109.6g, 줄기의 무게는 134.Is이었다. Scoparone 함량은 종실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8월 30일 종실에서 6.50mg/g DW로 가장 높았다. 또한 capillarisin은 줄기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엽과 종실에서 나타났는데 7월 30일 종실에 1.65mg/g DW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55.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나리 2, 3배체 복합 배수성 집단에서 형태적, 지리적 분화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173개 군락에서 수집된 참나리의 38개 형질에 대한 분산분석(ANOVA)과 주성분분석(PCA)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73개 참나리 개재들은 배수성에 의해 78개의 2배체와 95 개체의 3배체로 구분되었고, 3배체는 지리적 분포와 형태적 특성에 의해 73개의 내륙 3배체(남한 전지역)와 20개의 섬지역 3배체(백령도와 소청도)로 구분되었다. ANOVA분석에서 섬지역 3배체는 잎과 꽃의 여러 형질들에 의해 내륙의 3배체와 뚜렷한 형태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에 의한 누적기여율은 4차 주성분까지 44.1%를 나타내었고, 주성분분석에서 2배체는 긴 초장, 작은 꽃의 형질들, 높은 화분임성, 더 많은 기공 수 등의 형질에 의해 내륙의 3배체와 구분되었다. 섬지역 3배체도 약간의 중복은 있었으나 1, 2차 주성분에 대한 2차원 분포도에서 서로 구분되었다. 한편, 배수성이 다를지라도 섬지역 3배체와 2배체는 주성분 1과 2의 요인에 의해 완전한 중복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사실은 섬지역 3배체와 2배체가 외형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을 반영한다. 이와 같이 섬지역과 내륙의 3배체의 형태적 차이는 지리적 기원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56.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evaluation method of regional vulnerability to agricultural drought and to classify the vulnerability patterns. In order to test the method, 24 city or county areas of Gyeonggi-do were chose. First, statistic data and digital maps referred for agricultural drought were defined, and the input data of 31 items were set up from 5 categories: land use factor, water resource factor, climate factor, topographic and soil factor, and agricultural production foundation factor. Second, for simplification of the factor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eventually 4 principal components which explain about 80.8% of total variance were extracted. Each of the principal components was explained into the vulnerability components of scale factor, geographical factor, weather factor and agricultural production foundation factor. Next, DVIP (Drought Vulnerability Index for Paddy), was calculated using factor scores from principal components. Last, by means of statistical cluster analysis on the DVIP,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as 5 patterns from A to E. The cluster A corresponds to the area where the agricultural industry is insignificant and the agricultural foundation is little equipped, and the cluster B includes typical agricultural areas where the cultivation areas are large but irrigation facilities are still insufficient. As for the cluster C, the corresponding areas are vulnerable to the climate change, and the D cluster applies to the area with extensive forests and high elevation farmlands. The last cluster I indicates the areas where the farmlands are small but most of them are irrigated as much.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