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

        4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과 가정의 상호관계 관련 그동안의 연구들은 주로 일과 가정 강 부정적 관계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일-가정 갈등으로 개념화되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일과 가정 간 긍정적 상호작용인 일가정확충에 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 뿐 아니라 일-가정확충에도 주목하여, 가족친화문화인식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그리고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긍정적 직무태도 형성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9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A광역시에 소재한 민간 사회복지시설ㆍ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621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이 중 952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889부를 중심으로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가족친화 문화인식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은 사회복지사의 가족친화문화인식과 직무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과 관련한 사회복지시설ㆍ기관 운영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6,300원
        4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감정노동의 연구대상을 좀 더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어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철도여행인솔자 28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감정노동을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으로 구분하여 부정적결과인 감정부조화와 긍정적 결과인 직무만족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와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의 관계에서 감정표현규범몰입의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철도여행인솔자의 내면행동은 감정부조화에 부(-)의 영향을, 표면행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면행동은 정(+)의 영향을, 표면행동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부조화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내면행동과 표면행동 모두 감정부조화를 부분매개하여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정표현규범몰입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감정표현규범몰입은 내면행동으로 인한 감정부조화에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표면행동으로 인한 감정부조화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5,800원
        4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two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responses from 290 employees, the results reveals ; 1)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s an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effect positivel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2) Organizational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afety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3) Organizational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afety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4,200원
        4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무용수의 정서지능을 통하여 특수한 직종에 종사하는 전문가의 직업관에 대한 실 질적 인식을 제고하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무용수의 정서지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서지능요인 척도를 이용하여 5가지 요 인(자기정서인식, 타인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활용, 정서조절)으로 구분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 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정서지능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 였다. 자료 수집은 직업무용단에서 근무하고 있는 무용수 및 공연경험이 있는 250명의 무용전공 자를 대상으로 부적절한 14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3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 과 무용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정서지능 하위요인은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지능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인식, 정서표현이 직무만족 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정서표현, 정서조절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쳤 다. 특히 정서표현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으며 조직몰입 또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무 용수가 조직에 몰입하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용수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기 위 한 전략이 필요하며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6,000원
        4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에서는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단시간 근로자를 활용하는 것은 기업의 노동비용 절감과 인력운영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있는 반면, 인력관리 비용의 증가와 업무 생산성 유지의 애로가 있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업무성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시간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조
        5,100원
        4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팔로워십이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조절변수로 보는 관점과 매개변수로 보는 관점이 병존하면서 상충되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리더십과 조직성과 사이에 작용하는 변수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였고, 특히 팔로워십의 영향을 파악하면서 그 변수의 효과를 구분한 것은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팔로워십이 리더십과 조직성과 사이에서 조절변수와 매개변수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점을 정리하고, 리더십과
        6,000원
        4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재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을 알아보고, 여가활동 참여 유형 별 여가만족도와 직무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립발레단, 광주 시 립발레단, 유니버설 발레단, 서울발레시어터 4곳의 무용수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고,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은 휴식형, 활동참가형, 교양 감상 형, 휴양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여가만족도의 관계를 분 석한 결과 심리적 만족에는 활동참가형, 사회적 만족에는 휴양형, 환경적 만족에는 교양감상형, 신체적 만족에는 활동참가형, 휴식적 만족에는 휴식형이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셋째, 무용수들 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직무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200원
        5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trition teacher(dietitian) in school foodservice organization. A total of 209 employees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were surveyed using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s(Ver. 18.0)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the respondents were 89.0% female, 90.4% under high school, and 90.4% under contract employmen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actors - Charisma (p<0.001),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 had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clus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Charisma) of dietitian directly contributed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4,000원
        5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5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lthcare organizations need mutual cooperation among various medical professionals in order to carry out the performance of their duties spite of having a strong job specialization and independence based on license. However, spite of the importance of l
        4,000원
        60.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작업치료사들의 임파워먼트, 직무특성, 직무몰입 그리고 직무만족의 특성과 상호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경력 1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4개의 부분으로 총 6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문항, 임파워먼트 12문항, 직무만족 20문항, 조직몰입 15문항)를 이용하여 수집된 임상 작업치료사의 특성별 임파워먼트의 차이, 그리고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59.24였고 임파워먼트 요소로서는 의미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차이는 성별, 교육수준, 근무형태, 총 근무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은 임파워먼트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임상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가 증가할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 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관계되며, 이는 일부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치료사의 직무 관련 스트레스와 만족도 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 향상 전략을 연구하는데 있어서의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