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4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the dietary life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degree. The subject was 305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region.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are consisted of 148 male students (48.5%) and 157 female students (51.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education level, residence time, and Korean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acculturation degree (p<0.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residence pattern, purpose of coming to Kore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ls frequency, outside frequency, and the intake of Chinese food according to acculturation degree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nake taking frequency (p>0.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nks and computer time according to acculturation degree (p<0.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ing and exercise (p>0.05). The food intake style of Chinese students was 2.47 in noodles, 2.34 in lunches and 2.15 in breads.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degree, the food intake patter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umping kind, congee, hamburger and pizza, while meat products, smoked meat, noodle, lunch, cereal, kimbap, sandwic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ulturation degree of Chinese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ietary habits, food intake, education level, residence period, and Korean language ability.
        4,000원
        44.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oi, Jin-sook. 2017. “A Study on Attitudes toward English among Chinese Studen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1). 239~262.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the Chinese students' attitudes toward English and how their attitudes towards English are different as to the level of their Korean skills. For this study, 68 Chines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6 students with high level of Korean were interviewed as a group by the researcher. The result of the quantitative study indicates that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English were generally positive. When the level of self-perceived Korean skills was applied to their attitudes towards English as a variable, the participants who had a high level of self-perceived Korean skills produced higher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n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s English speakers than those who had a low level of self-perceived Korean skills.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self-perceived Korean skills and attitudes toward English. The result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also supported the quantitative study: the participants who had a high level of Korean favored English and they were interested in English.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English learning could be applied only for the Chinese students who have a high level of Korean skill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ir studying in Korea.
        6,100원
        45.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ang, Myung-hee & Kim, Bo-hyeon. 2017. “A Study on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s of Advanced-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With Chinese Students in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1). 119~14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and the factors for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s of advanced-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o this end, 60 Chinese students attending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in the survey with the questionnaires: i.e., PRCA and FLCAS. The results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Korean language anxiety level in the classrooms of the Chinese students is likely to be high. Also, it is not because of the participants’ traits, but because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Second, there are 5 factors for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s; communication anxiety with native speakers, communication anxiety, fears of negative evaluation and failing in class, Korean proficiency anxiety,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class. Especially, the forth factor suggests that Korean learners needs an educational intervention of Korean, even after they enter undergraduate or graduate institutions. Third,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 and a residence period in Korea. That is, it is necessary to give them as many opportunities as possible for being exposed to Korean by a Korean educational intervention.
        6,000원
        46.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the convenience foods purchase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 The subject was 250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region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factor analysis extracted five comprising food-related lifestyle, which we named health seeking (factor 1), taste seeking (factor 2), easy seeking (factor 3), popularity seeking (factor 4) and safety seeking (factor 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food-related lifestyle showed an average of 3.16 and 0.813 for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selection of convenience foods according to health seeking (p<0.05). Also, the popularity seeking and easy seeking lifestyle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reason the purchase criteria of convenience food (p<0.05).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venience foods of selection criteria according to health seeking, taste seeking, easy seeking, popularity seeking and safety seeking types (p<0.05). A significant positive result of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convenience foods purchase (p<0.05) was shown for the health seeking and taste seeking. A significant positive result of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convenience food purchase (p<0.05) was shown for the health seeking, taste seeking and safety seeking. In the correlation between convenience food purchase facto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nutrition and ingredients are highest with 0.46, 0.445 in cooking and price, 0.441 in ingredients and expiry date, 0.383 in brand and price, 0.361 in taste and easy.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desirable direction of convenience food consumption in Chinese students.
        4,000원
        4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iu, Lina. 2016. “The Loanwords Usage of Chinese Studen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3). 37~6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atistically sort out the usage of Korean loanwords usage from Chines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causes. Standing in the position of Chinese students, revealing their loanwords' actual applications not only can help them to recognize their mistakes in loanwords, but also can support them to correct the mistakes. From the standpoint of academic research, we should find out the reason why their frequent mistakes, which is very helpful to loanwords teaching, too. This paper focuses on the real situation, designed to pass the actual investigation to observe the use of loanwords by Chinese students. And also try to clarify the reasons for their use. To this end, this paper conducted a number of written investigations and interviews. Especially, when I try to use a variety of ways in the interviews which I will introduced in chapter 2. Survey data show that their use of loanwords are more complex than we think. However, the reasons can be traceable. In this study is to try to explore the causes just like influence of Chinese-Style English, influence from China's loanwords pronunciation, the pronunciation problems of loanwords, psychological factors.
        6,600원
        49.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among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Chinese foreign students, N=69) and China (Chinese-locals, N=98). A total of 76.8% of Chinese foreign students and 70.4% of Chinese-locals had ever eaten Korean food in China before visiting Korea, and motivation to try Korean food at first was ‘easy access to Korean food restaurants’ (Chinese foreign students 38.6%, Chinese-locals 44.9%).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Korean food were ‘taste’ and ‘price’ (Chinese foreign students 72.7% and 18.2%, Chineselocals 59.1% and 22.7%, respectively), and needed improvements for Korean food were ‘spicy and salty taste’ and ‘nutritional aspect’ (Chinese foreign students 54.5% and 25.8%, Chinese-locals 33.3% and 36.4%, p<0.05). The scores for perception of Korean foo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hinese-locals (2.99) than in Chinese foreign students (3.31)(p<0.001). Chinese foreign students preferred Bulgogi (20.5%), Neobiani (20.1%), and Galbijjim (17.9%), whereas Chinese-locals preferred Bulgogi (16.1%), Gimbap (16.1%), and Samgyetang (15.2%) (p<0.001). The most preferred condiment was ‘Garlic’ (18.0%) in Chinese foreign students, and ‘Red pepper powder’ (16.4%) in Chinese-local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to prepare a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Food.
        4,000원
        50.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은 중국으로의 귀환 이후 시행된 兩文三語정책 아래 소수 민족의 중국어 교육은 점점 더 중요시되고 있다. 비중국어권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더욱 효과적인 중국어 학습의 기초 단계를 학습하게 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되었다. 홍콩대학은 홍콩교육국의 연구 과제를 수주한 이후, 학교에서의 방과 후 중국어 학습을 지원하게 되었다. 중학교에서의 교육에 중점을 두고, 최근 일년 동안은 소학교까지 확대하였다. 본 연구는 「閱讀促進學習」(R2L)이라는 교수법 이 비중국어권 소학교 학습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연구 초기에는 연구대상들의 작문 문제가 어디에 근거하였는지를 측정하였고, 「閱讀促進 學習」(R2L)이론에 근거하여 교육 설계를 시행하였다. 연구는 20개의 소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반 년간에 걸친 교육에서의 예측과 한자, 어휘, 구절과 전체 문장을 점층적으로 확대 하는 방법으로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신장시킨 후,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를 통해 이 학습법 시행 이전과 이후를 검토하여, 「閱讀促進學習(R2L)이 어떻게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를 조사하여 보았다. 이 연구 이후, 홍콩에 거주하는 비중국어 학습자들의 중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그들 이 홍콩 사회에 더욱 융화되어, 구직을 하는데 조금 더 훌륭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4,600원
        51.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한자교학은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전개되었다. 현재의 아동을 대상으 로 하는 한자교육은 취학전 아동 및 학령아동을 상대로 진행된다. 만 6세 이하의 취학 전 아동에 대한 한자교육은 보통 유아식자교육이라 일컬으며, 기초교육단계의 학령아동(6~12세)에 대한 한 자교육은 학령아동 한자교육이라고 부른다. 현재 학계에서는 아동 한자교육의 실행 및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취학 전 아동인 유아한자교육은 주로 식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학령아동 한자교육 연구도 유아한자교육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식자에만 제한되어, 교육의 다양화 확대 및 제고를 실현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주로 학령아동 한자교육 대상인 초등학교 6세~12세 학생들이 학습하는 한자지식 내 용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기초교육한자 교학 및 연구자들에게 다음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 째, 기초교육단계에서 식자가 여전히 유일한 교학목표인가? 둘째, 학령아동에게 체계적인 한자 지 식을 전달할 수 있도록, 아동 식자교육의 개선 및 확대를 제고할 필요성은 없는가? 본고에서는 문헌조사, 정책분석, 설문조사 및 교학실천의 네 가지 방안을 토대로 학령아동을 대 상으로 한 확대된 한자교육 내용에 대해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900원
        5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 경제의 발전은 세계 고등교육 시장의 국제화를 촉진하였고,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 고등 교육 시장의 초과 공급으로 국내 대학뿐만 아니라 세계의 대학들이 세계의 학생들을 대 상으로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러한 고등교육 시장의 국제화 배경 아래 2014년 在韓 외국인 유학생 수는 84,891명에 이르렀다. 그 중 중국 유학생이 한국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60% 정도를 차지하고, 한국 유학생 역시 최근 중국의 외국인 유학생 중 가 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한 중 양국은 교육서비스 무역에서 상당히 중요한 교역국이 다. 최근 세계 유학 시장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유학생들의 이동에서 권역 내 이동이 더 욱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런 의미에서 현재 중국은 한국의 최대의 유학생 송출국이기도 하면서 같은 권역 내 아시아 유학생 유치의 경쟁국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해 한 중 양국의 외국인 유학생 교육 발전 및 주요 제도 중 장 학금제도, 의료보험제도 및 시간제 취업 취업제도를 중심으로 한 중 양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과 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6,100원
        53.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hinese marke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luxury industry in the past years, with double-digit yearly growth (except for last year). Luxury brands have tried to design strategies to meet the local requirements, be it in terms of retail formats or communication strategies. However, Chinese luxury consumers are evolving in terms of consumption habits and materialistic value: observations from the field show that there is less and less emphasis on logo display among certain consumers (Dubois & Laurent, 1994; Lin & Wang, 2010). Such changes might affect also young consumers, which already stand for a great share of luxury consumers (Source: Red Luxury,2012). Besides, past studies on Chinese consumers’ attitudes toward luxury and values behind luxury consumption have often relied on student-samples, acknowledging the potential limitation to their results due to a potential lack of representativeness of the population interviewed. Few studies have provided analyses of the causes of the values and behaviours of young Chinese customers towards luxury product consumption, focused on them as ‘young people’ (Wang et al., 2012; Xue & Wang, 2012). Besides, most of those that tried to do so relied upon student sample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the USA or Europe) (Chen & Kim, 2013).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ontemporary young Chinese consumers’ behaviour towards luxury consumption, segmenting them into two groups : the international student group and mainland Chinese young consumer group. A quantitative survey collected data from 104 respondents within a month where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was applied to broadcast both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through lexical analyzis, while quantitative data was analyzed with the help of SPSS (Levene-test and T-tests).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four features: Chinese culture, materialism, young Chinese generation culture and buying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mainly indicate that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between generations. One such change is that Chinese youths are more individualistic than what was found in previous studies, and another change is that young Chinese consumers hold different points of view towards the values of luxury consumption. As far as differences between international students and local young people from Mainland China are concerned, we found the following differences: • Finding 1: International students purchase luxury products to fit-in with their friends & because they want others to view them as a member of the upper class & as a successful person more than their local fellows. • Finding 2: International students’ income is more able to support them purchase luxury products than for young locals, and they are more inclined to save money to buy luxury products that their local fellows. • Finding 3: Mainland Chinese young people usually go luxury shopping with their parents more than international students do and claim they will still purchase luxury products even if prices increase more than them as well. • Find 4: Purchasing luxury products make local young people happier than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y care more about the style (as opposed to price) of luxury products than these lasts.  We believe such findings will help luxury companies refine their strategies for the coming generations and help researchers notice on which dimensions of luxury consumption using expatriated Chinese students might have an impact and lead towards biased results.
        54.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과 마카오 지역에서 시행되는 유아교육과 초중등교육에서 시행되는 모든 교육은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출판되는 신문과 잡지 또한 대부 분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홍콩, 마카오 지역과 중국 대륙 사이의 교류가 점점 활발해 짐에 따라 민간에서 사용되는 간화자의 비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 며, 여러 곳에서 번체자와 간화자가 함께 사용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홍 콩고시평가원에서는 공개적으로 공식적인 시험에서 표준화된 간화자를 사용할 수 있다고 명확히 표명하여, 홍콩의 중학생들의 학습과 한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 도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홍콩대학생의 간화자 사용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조 사하기 위해서 우리는 설문지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여 보았다. 우선 2백여 개의 상용 간화자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간화자 분별 능력을 조사하였고, 다시 5백 여개의 간화자를 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휘를 작성하여 학생들의 간화자 분별능력을 조사하였다. 세 번째로 백 여개의 간화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간화자를 올 바르게 쓰는가를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홍콩과 마카오의 대학생들의 간화자에대한 분별 능력과 쓰기 능 력을 보여주었는데, 홍콩과 마카오 대학생 대부분이 중국 대륙의 간화자를 분별하 였으나 한자를 쓰는데 있어서는 종종 홍콩식 간화자, 곧 대륙의 간화자형이 아닌 간화자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향후 홍콩과 마카오의 어문 교육에 있어서 참 고할 만한 사실로, 한자쓰기 교육을 강화하여 학생들에게 홍콩식 간화자를 사용치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말해 주고 있다.
        5,800원
        5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외국인에게 중국어를 교육하던 중 한 교사가 “종이배 만들기”를 활동함으로서 학생들의 중국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를 높였다고 한다. 홍콩에서도 이처럼 소수의 비화교 학생들에게 중국어 수업을 진행하면서 이루어지는 전지 활동은 가장 환영받는 교육 방법 중 하나이다.이전의 학생들은 그들에게 한자 쓰기는 자신들에게 마치 다른 별나라의 글자를 쓰는 것만큼 어렵다고 표현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학생들의 실제 과제를 통해 대다수의 학생들이 한자를 바르게 쓰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종이를 이용한 활동과 한자쓰기는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까?
        5,700원
        56.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韓國語를 專攻으로 운영하는 海外의 大學 중 이탈리아대학에서 이루어지는 漢字授業을 위한 漢字敎材의 內容과 構成에 대해 具體的으로 논의한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세 가지 部分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序文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한국어와 관련된 한자의 내용이 다루어졌다. 구체적으로, 韓半島에서의 漢字表記의 歷史, 漢字가 韓國語에 미친 影響 및 韓國語 內에서의 漢字의 位置 및 使用樣相 등을 論議하였다. 이 부분은 특히 非漢字文化圈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필요한 교육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교육 대상이 될 한자와 한자어의 선정과 관련된 부분이다. 이를 위해 현재 해외의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몇몇 韓國語敎材에 제시되어 있는 語彙 중 한자 및 한자어들을 대상으로 하여 네 가지 選定基準(造語力․頻度數․難易度․基礎字)에 따라 한자교재에서 다룰 한자를 選別하였다. 대상이 된 한자들은 다시 系列關係를 이루는 것이나 體系的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묶어서 領域別로 제시되었다. 본고에서는 총 390여개의 한자와 이들 한자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한자어 중에서 敎材, 日常生活, 時事的인 分野에서 자주 등장하는 것들을 選別하여 총 1110여개의 한자어를 제시하였다. 세 번째는 교재의 內容과 構成에 대한 부분이다. 이는 細部的으로 本文의 내용과 구성, 읽기의 내용과 구성, 연습의 내용과 구성으로 나누어져 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8,000원
        57.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몇 년 사이에 점점 더 많은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이 홍콩의 대학으로 진학을 하고 있다.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은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학습에서의 어려움, 특히 번체자의 인식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문은 홍콩 뱁피스트 대학(香港浸會大學)의 다른 소속 단과대학의 1학년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또 3년제와 4년제 등으로 구분하였다.그들은 보통화 수업을 수강하고 있으나 수업의 강의는 번체자로 구성되었고 시험 또한 가능한 많은 번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은 그들의 답안지를 검토하고, 학생들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성적을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국 본토 학생들의 번체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그 학습 능력, 교육과정, 교재, 교육방법 등의 일련의 교육 구상에 관련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하였다.실험 결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간체와 번체의 유형별 원칙, 신구 자형, 이체자, 하나의 간체자에 다수의 번체자 대응 관계 현상과 규칙을 이해하였고,『簡化字總表第一表』·『第二表』와『第三表』의 간화 귀납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간화자 총표를 이용하여 대응 번체자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수업 후의 실험을 통해 그들의 성적이 수업 전에 비해 월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자가 수업 중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수업 과정 속의 수업 내용을 변화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홍콩, 대만 등지에서 출판한 많은 번체자 서적을 더 많이 보았고, 간화자의 문장을 번체자로 바꾸어 써 봄으로써 어감을 높이기도 하고, “繁簡通”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간화자를 번체자로 변환하기도 함으로써 번체자의 학습과 쓰기의 여러움을 극복하였다. 이러한 교육활동은 중국 본토 학생들로 하여금 빠른 시간 안에 번체자를 학습하게 하여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홍콩 사회에 융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사실에서 그 가치를 지닌다.
        5,400원
        58.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ap in perceived importance-satisfaction rates of foreign Chinese students regarding the university foodservice selection attributes. All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by the SPSS package program (ver 20.0).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are as follows: The validity of the 22 food service selection attributes is being evaluated via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n five factors are extracted. The five factors are: ‘Factor 1. Cleanness and service quality’, ‘Factor 2. Food quality and price’, ‘Factor 3. Physical environment’, ‘Factor 4. Convenience’, and ‘Factor 5. Servic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ne-way ANOVA, physical environment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periods of residence in Korea and the eating frequency at on campus food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 food quality and price, convenience, and service environment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periods of residence in Kore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results, ‘ventilation of dining room’ is the key aspect that university food service managers should reinforce.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ustomer satisfaction rates, the food service managers should not only improve the quality of food and service but also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food service facility.
        4,000원
        59.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에서 이루어진 일본의 한자교육에 대한 연구는 대외 중국어 교육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전의 많은 학자들은 이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방면에 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고는 중국에서 이루어진 일본의 한자교육과 관련된 문장 과 논문, 전문 저서 79편을 분석하고 이를 분류하여 정리한 후, 综述 부분에서 자 형과 자음, 자의의 세 방면으로 나누어 각기 그 연구 성과를 비평하였다. 이러한 기초 위에 본문에서는 일본의 한자교육의 발전 상황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30여년 동안의 발전을 통해 일본의 한자교육에 대한 중국에서의 연구 성과는 양적으로는 풍부하지만 연구의 방향이 경도화되어 있으며, 개별 국가에 맞는 특수 한 교육의 방법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더 많은 발전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6,900원
        60.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 교육당국은 90년대부터 적극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학습을 추진 하였다. 그러나 전자학습이 소학교 학생들의 연필을 잡고 한자를 쓰는데 있어 어 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논쟁이 있다. 전자교재를 교육의 보조도구로 활용하는 방안은 이미 20년을 넘도록 추진되고 있으나, 오직 학자들만 이 가끔씩 이 변화가 가져오는 이익과 손해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소학교에 있는 네 개 반의 5학년 학생 80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녹화와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한자쓰기를 상하구조, 좌우구조, 전포위구조, 반포위구조 등으로 분류하고, 계량화하였다. 이 때 비교실험군(전자학습반)과 통 제군(전통학습반)으로 나누고 학생들의 한자 쓰기 필순의 습관과 틀리게 쓰는 상황이 각기 다르게 나타는 상황과 한자 쓰기 퀴즈와 면담의 내용 까지도 실험 내용 에 포함시켰다. 연구를 통해 우리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암묵적으로 사용하는 한자쓰기와 필 순에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실험조의 낮은 수준의 학생들은 암묵적 쓰기에 있어서 대조군의 낮은 수준의 학생에 비해 현격하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교사 심층 면담을 통해 전자학습이 학생들의 한자 쓰기에 부정적 영 향을 미치고 있으며, 합리적인 한자교육의 운용과 평가, 학교 공부를 통해 이를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음을 알았다. 반대로 얘기하자면 보조적인 교수 학습 전 략이 부족하다면 낮은 수준의 학생들은 한자를 학습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이 계속 될 가능성이 있으며, 학습에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교사는 전자학습의 보조적인 전략을 운영할 때에도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6,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