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2.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executed for 300 mothers bringing up a child below 3 years in the area of Kangnung to assess the current weaning practice of infants. 24.6% of mother surveyed were breast-fed, 57.8% were formula-fed and 17.5% were mixed-fed. The rate of breast feeding was lower and the rate of bottle feeding was higher in infants whose mothers had more income or higher educational period or full-time job. Most of the respondents knew the significance of supplementary food. 41.4% of the subjects started weaning of their infants at 3-4 months, and 84.1% of them set on weaning in less than 7 months after babies were born. And 39.4% of the subjects finished weaning of their infants in less than one year. The infants of this study preferred the fruits and fishes to meats, vegetables and beans that served to them as supplementary food. Mothers showed deep interest in recipe of weaning food(48.5%), adequate quantity of weaning food(36.3%), information on commercial food for infants(32.2%), and sequence in which semi-solid food are introduced(31.9%).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program in primary health center for improvement of weaning practice of infants should be implemented reflecting needs of mothers.
        4,000원
        43.
        1996.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anthood is a crucial period when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s take place along with physical growth. Adequate supply of nutrition is essential during this period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roper education and guidance on balanced nutri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et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baby food by investigating the conditions of weaning status and mothers perspectives on wean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verage period when interviewees began weaning of their infants is 4.1 months and finishing period of weaning is 14.2 months on average. The frequency of consuming commercial weaning food is once a week. As high as 88.4% and the fruit juice was mainly used as the starting weaning food. The consumtion rate, more than once a day, is as high as 60%, they use commercial weaning food for convenience, especially when they are out. The 65% of surveyed group show rather dissatisfactory view about the commercial weaning food, and wanted improvements and changes. Interviewees wanted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baby food sold in the market and how to prepare baby food through technical literatures, and they frequently relied on commercial baby food due to its convenience. The most desired type of baby food was semi-solid paste in a disposable package that can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4,000원
        44.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anthood is a crucial period when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s take place along with physical growth. Adequate supply of nutrition is essential during this period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roper education and guidance on balanced nutri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o current status of lactation and to investigate mothers' perspectives on human milk and formular milk. As random samples for this study, a total of 352 mothers having infant under the age of 4 were surveyed. 27.3% of mother surveyed were breast-feeding, 38.0% were formula-feeding and 34.7% were mixed-feed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ercentage of breast feeding was on the decrease, while the dependence on formular milk was on the rise. The main reason of formula-feeding was insufficient secretion of human milk on mothers part.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 to select feeding method were employment status, degree of education, family income and age. Also, the interviewees desired the product fortified with special ingredients that are hot contained in formular milk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The most concerned problem of formula milk was indigestion and the interviewees wanted the formular milk to be improved digestibility.
        4,300원
        45.
        2018.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China has gradually enhanced the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 income or consumption in recent years,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baby products, markets for high-quality baby products are spotlighted so that the baby product market in China has been growing rapidly and the prospect is bright as well. The government changed the one-child policy into the two-child policy to increase the birth rate from 2015. This policy change can result in the enlargement of the baby goods market.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promoting infant products to China and concrete ways of entering the market. The strategies to enter the Chinese marke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uccessfully enter China,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arket with Chinese market research and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the recent economic environment in China. Second, enabling online and offline integration and SNS on brand advertisement are necessary. Third, reinforcement of the Wang Hong marketing. Fourth, reinforcement of customer service. Fifth, products promotion through TV advertisement. Sixth, usage of the relationship properly. Seventh, securing the overseas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may provide the good implications not only to Korean baby product companies which want to enter the Chinese market but also to the peoples who want to establish the entry strategy into China.
        4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아의 주의력은 정서적 실행기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영향력이 있는 예측변인이다(Kim & Shon, 2015).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원예활동은 정서 불안정과 일상 스트레스에 지쳐있는 아동들을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가진 하나의 인격체로 바르게 성장하도록 돕는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Park & Hoe, 2011). 이에 본 연구는 5세 유아들이 정해진 시간동안 원예활동을 함으로써 주의가 산만한 아이들의 집중도와 주의집중력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J시 어린이집 5세 유아 10명을 대상으로 2017년 3 월 3일부터 4월 20일까지 주 1회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3회는 꽃을 이용하여 플로럴 폼에 꽂는 활동을 진행하였고 1회는 흙을 만지면서 식물심기를 하는 것으로 총 4회기의 프로그램을 2번 반복되도록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행은 매 회기마다 20분동안 실시 하였다. 평가도구는 초시계(stopwatch)를 이용하여 수업이 시작된 이후 처음 주의력이 흐트러지기까지의 시간을 재었으며 오코너 스위저 민첩성 테스트(O’Connor Tweezer Dexterity Test)를 이용하여 30초의 제한시간동안 10개의 핀을 한 손으로 구멍에 몇 개를 넣는지를 매회 원예활동 실시 후에 평가하였다. 초시계를 이용하여 집중도를 8회기 반복측정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 1회기를 기준으르 각 회기별 대응비교를 한 결과 2회기(P=.975)와 3회기(P=.283)는 차이가 없었지만 이후 4회기(P=.009), 5회기(P=.003), 6회기(P=.000), 7회 기(P=.000), 8회기(P=.000)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민첩성을 8회기 반복측정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 1회기를 기준 으르 각 회기별 대응비교를 한 결과 2회기(P=.364)와 3회기(P=.055)는 차이가 없었지만 이후 4회기(P=.042), 5회기(P=.007), 6회기 (P=.001), 7회기(P=.000), 8회기(P=.000)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회기를 거듭할수록 원예활동에 의한 주의력과 집중도 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7.
        2016.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sterile bag collection (SBC) urinalysis and urine culture for diagnosing urinary tract infections (UTI). Urine culture is key for diagnosing UTI, and transurethral catheterization (TUC) or suprapubic aspiration is recommended for non-toilet-trained children. Although urine testing using SBC is non-invasive and easy, UTI can be diagnosed only if other criteria including clinical symptoms and positive urinalysis results are met. This study included 228 infa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unexplained fever from October 2015 to June 2016. TUC culture, SBC urinalysis, and urine culture were performed for all patients. UTI was diagnosed when the TUC culture results met the criterion of ≥104 colony-forming units (CFU)/mL. When UTI diagnosis was made based on SBC urine colony counts ≥105 CFU/mL, the false-positive and false-negative rates were 6.3% and 70.0%, respectively. When the criterion was set as ≥104 CFU/mL, they were 23.7% and 30.0%, respectively. When both the criteria of ≥105 CFU/mL and positive urinalysis results were met, the false-positive rate was 2.4%, and the false-negative rate was 80%. Our results suggest that diagnosing UTI using SBC urinalysis and urine culture is not useful in infants with unexplained fever.
        48.
        2016.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spiratory viral etiology and clinical features in febrile neonates and young infants younger than 3 months of age. From June 2015 to March 2016, 126 patients who admitted to the pediatrics department of Kwangju Christian Hospital due to febrile illness (body temperature ≥ 38.0℃) without definite focus of fever. We tested nasopharyngeal aspiration specimens with real tim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piratory viruses identified in 66 patients, and not identified in 60 patients. Among identified viruses, the most common pathogen was rhinovirus. Respiratory virus identifie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sence of sibling (p=0.015), sibling who attending day care center (p=0.022), respiratory symptoms of family members (p=0.022), concomitant respiratory symptoms of the patient (p=0.001).
        49.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통상적으로 골반 정면검사 및 고관절 정면검사 시 유아기의 남아보다 여아의 경우 해부학적으로 생식선 차폐를 하기 어렵고 검사 시 차폐체 위치의 정확한 기준점이 없었다. TDP, SD, ISP, IAD,1CDP. 2CDP의 골반지표를 계측하여 정확한 생식선 차폐체를 제작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신장별로 분석한 결과는 TDP가 70이상-80미만과 110이상-120미만에서 약 30mm, SD는 약 13mm, ISP는 약 19mm , IAD는 약 20mm ,1CDP는 약 2mm. 2CDP는 약 7mm 차이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 의하였다.(p<0.05)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는 TDP가 2이상-3미만과 6이상-7미만에서 약 17mm, SD는 약 10mm, ISP는 약 12mm, IAD는 약 16mm, 2CDP는 약 3mm 차이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고 1CDP는 약 1mm정도로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체중별로 분석한 결과는 TDP가 10미만과 20이상에서 약 28mm, SD는 약 14mm, ISP는 약 11mm, IAD는 약 20mm, 1CDP는 약 3mm, 2CDP는 약 8mm 차이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유아기 여아의 골반지표 계측치는 차폐체 제작의 기준치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IAD는 차폐체 위치의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아기 여아의 골반지표는 신장, 연령, 체중과 밀 접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통계학적 차이분석 결과에서 보듯이 정확한 난소차폐를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신장, 연령, 체중별로 생식선 차폐체를 제작하고 사용해야 할 것이다.
        5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습제는 피부과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제품 중 하나로, 피부장벽을 유지시키고 피부가 촉촉하고 건강하게 보이게 하며, 영유아의 정상적인 피부발달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하지만 보습제 도포가 정상 영유아의 피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건강한 정상 영유아에서 일반적인 보습제 도포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31명의 피부염이 동반되지 않는 건강한 6 - 36개월 연령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루 2회 목욕 후 눈과 기저귀 착용 부위를 제외한 전신에 존슨즈 베이비 내츄럴너리싱 로션을 4주간 도포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도포 전후, 1주, 4주에 실시하였다. 매 방문시 피부수분도와 경표피수분손실도, 피부산도 및 거칠기를 측정하였으며 피부표면을 촬영하여 비교하였고 보습제 도포 후 발생한 피부 발진을 포함한 모든 부작용을 기록하였다. 보습제 도포 후 피부수분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경표피수분손실도와 거칠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피부산도는 약산성으로 조절되었으며, 육안적으로 피부표면은 매끄럽게 변화한 것이 관찰되었다. 임상 시험 기간 동안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보습제 도포가 영유아의 피부에 있어 수분을 증가시키고, 피부장벽기능 증강과 약산성의 피부산도 조절 및 거칠기의 호전을 야기하며, 4주간의 보습제 도포가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51.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성인에 비해 방사선에 민감하고 검사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영·유아의 CT 스캔 시의 장기흡수선량을 평가하기 위해 스캔부위를 머리부위와 가슴부위로 구분하고 64 MDCT를 이용하여 축방향 스캔과 나선형 스캔으로 비교했다. 스캔부위에 상관없이 나선형 스캔 시의 선량이 축방향 스캔 시 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방향 스캔과 비교해서 나선형 스캔 중 피치 1.355를 사용했을 때가 나머지 두 피치(0.525, 0.988)를 사용했을 때보다 가슴부위 스캔의평균 장기흡수선량이 유의하게 높게(평균 -12.03%) 나왔다. 나선형 스캔 시 장기흡수선량이 축방향 스캔보다 평균 20.54% 낮게 나왔다. 결과적으로 인체모형을 통한 장기흡수선량을 평가한 본 연구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결과값을실증하고, CT 검사를 받는 영·유아의 장기흡수선량의 보다 정확한 평가에 기여할 것이다.
        5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본의 후쿠시마 방사선 누출에 관한 유치원의 유아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국민건강자료를 제공하 는데 의의가 있으며, 2011년 7월 G광역시 H유치원 학부모 101명과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아 54명 총 155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학부모 97명 만5세아(남27명, 여23명) 50명 총 147명의 자료를 조사하여 분석하였 다. 결론적으로 일본 후쿠시마 방사선 누출 피해에 대해 언론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며, 유치원에서도 구체적이고 실 제적인 교육과정으로 유아와 학부모에게 교육, 홍보해야만 국민복지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54.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창작무용학습이 유아의 지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험자는 D지역의 유치원 두 곳의 유아 만 4,5,6세로 총 69명이었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의 무용학습은 주 3회 40분씩 12주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지능발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전과 후 지능검사를 하였다. 검사지는 김재은의 유아지능검사 B형으로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지능발달의 차이를 규명하기위하여 각 지능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고 집단간, 연령별, 성별 사전․사후지능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과 반복 t-test를 각각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처리의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결과는 첫째, 창작무용을 학습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지능발달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간의 연령별(4,5,6세) 지능발달차이는 4세, 5세, 6세 모두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두 집단간에 성별 지능발달은 남여 유아 모두에 차이가 있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