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4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 to change the color of traditional Dongchimi using natural dyes to meet changing consumer demands. It was intended to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ability for color Dongchimi, and the best optimum extraction solvent and method from the natural dyes were proven to be confirmed and valid. The extraction process was evaluated using different solvents including distilled water, 20% ethyl alcohol, and 1% citric acid, and the quantity of the extracted anthocyanin was then measured based on the absorbance. The greatest absorbance was observed when 1% citric acid was us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would be most efficient to allow the traditional Dongchimi to produce citric acid naturally instead of using artificial additives during its production. Celosia cristata L. was extracted in its largest quantity when reacted with 20% ethyl alcohol. Therefore, instead of applying Celosia cristata L. to Dongchimi as the sub-ingredient during the preparatory stage, it will be more efficient to use Celosia cristata L. as the fractional ingredient in order to first extraction.
        4,000원
        4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면표시에 도포된 굴절률 1.5 유리알은 야간 우천 시 효과적인 재귀반사를 수행하지 못하여 교통안전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습윤상태에서 효과적 재귀반사를 수행하는 굴절률 2.4인 우천형 bead와 건조 시 최적의 재귀반사를 수행해 내는 굴절률 1.9 bead를 혼합한다. 그러나 고성능의 굴절률 1.9와 2.4 bead는 기존 1.5 유리알에 비해 상당한 고가이므로 전량 사용하기에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현장 설치 시에는 서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적 성능과 소요 비용을 고려한 적정 배합비율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bead를 국내 고속도로의 길가장자리선에 설치하였을 때 발생되는 각각의 비용 및 편익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수행결과, 다양한 강수량 변화에도 높은 시인성을 유지하는 대안은 굴절률 2.4가 100% 구성된 차선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이 가장 높게 확보되는 대안은 굴절률 1.5가 80%, 2.4가 20%로 구성된 차선으로 B/C는 약 1.92 수준으로 도출되어 국내 고속도로 길가장자리선의 적용 시 가장 효과적인 대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와 몇몇 장래 연구과제가 토의되었다.
        4,000원
        43.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다양한 시설내에 적은 농도의 CO2 제거를 위한 선택적 CO2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흡착제의 효율평가에 관한 것이다. 직경 4mm의 구형 흡착제는 시판용 제올라이트에 첨가제, 물, 바인더, LiOH를 섞어 제조하였다. 칼럼테스트에서 400분 이내에 90% 이상의 CO2흡착효율을 나타내었고, 흡착필터모듈 흡착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회분식과 연속식타입의 챔버테스트가 시행되었다. 회분식테스트에서 30분 이내에 약 92%의 CO2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속식테스트에서 30분 이내 70%의 CO2가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2,500ppm 이상의 CO2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재현성테스트를 수차례 수행한 결과 15일동안 1,000ppm 이상의 CO2가 연속적으로 제거됨을 보였다. TGA 분석법을 이용한 흡착량 분석에서 흡착제 g당 5.0mmol의 CO2를 흡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흡착제는 상온에서 저농도 CO2 실내환경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4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ep feed process was analyzed stoichiometrically for the optimal operation conditions in this study. In case of optimal operation conditions, minimum R (sludge recycling) value, r (internal recycling ratio) value, and n (influent allocation ratio) value for the step feed process to acquire the maximum TN removal efficiency were identified by theoretical analysis. Maximum TN removal efficiency, based on stoichiometric reaction, can be obtained by controlling n value for the step feed process.
        3,000원
        4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determine the optimal media conditions for the detection of the cellulolytic activity in Ganoderma neo- japonicum, we varied three media conditions: dye reagent, pH, and temperature. First, we evaluated the use of four dyes, Congo Red, Phenol Red, Remazol Brilliant Blue, and Trypan Blue. To observe the effect of pH on various media spanning acidic and alkaline pHs, ranging from 4.5 to 8.0. Furthermore,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lear zone and the fungus growing zone, we tested temperatures ranging from 15 to 35℃. On the whole, the best protocol called for Ganoderma neo-japonicum transfer onto media containing Congo red with pH adjusted to 7.0, followed by incubation at 25℃ for 5 days. Our results will be useful to researchers who aim to study extracellular enzyme activity in Ganoderma neo-japonicum.
        4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우단일엽(Pyrrosia linearifolia)의 전 엽체 및 포자체의 생활환을 이용한 주년 대량번식체계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를 이용한 식물체 재생에 미치는 기내 환경요소를 구명하였다. 전엽 체 증식은 2MS배지에서 가장 왕성하였다. 질소급원 또한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식율과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120mM 첨가구에서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다. 전엽체 증 식에 가장 적합한 sucrose의 첨가농도는 3%였다. IAA, NAA, BA 및 kinetin을 5~20 μM정도 첨가하는 것은 전엽체의 생육을 촉진하였으나, 2iP는 전엽체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액체배지에서는 전엽체의 생육이 억제되었 으나, 진탕배양했을 때에는 고체배지와 증식량이 유사하 였으며, 생식기관 또한 정상적으로 형성되었다. 포자체의 엽신과 근경의 절편을 다져서 배양한 결과, 근경 절편 에서만 포자체가 재생되었다. 곱게 다진 근경의 절편은 1/8MS배지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으나, 재 생된 포자체의 생육은 1/2MS배지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1/8MS배지에서 포자체 재생 및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적정 sucrose의 첨가 농도는 1%이며, NaH2PO4를 50~ 100mg·L−1 첨가하는 것은 균질배양한 근경의 절편에서 포자체가 형성되는 것을 촉진하였다.
        4,000원
        4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determine the optimal media conditions for the detection of the cellulolytic activity in Ganoderma lucidum, we varied three media conditions: dye reagent, pH, and temperature. First, we evaluated the use of four dyes, Congo Red, Phenol Red, Remazol Brilliant Blue, and Trypan Blue. To observe the effect of pH on the chromogenic reaction, we also made and tested various media spanning acidic and alkaline pHs, ranging from 4.5 to 8.0. Furthermore,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lear zone and the fungus growing zone, we tested temperatures ranging from 15 to 35℃. On the whole, the best protocol called for Ganoderma lucidum transfer onto media containing Congo red with pH adjusted to 7.0, followed by incubation at 25℃ for 5 days. Our results will be useful to researchers who aim to study extracellular enzyme activity in Ganoderma lucidum
        49.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ytochrome P450s (P450s) are known to oxidize a variety of insecticides including pyrethroids, thereby conferring metabolic resistance in diamondback moth (DBM), Plutella xylostella. Synergism assay with piperonyl butoxide indicated that the enhanced activity of P450 is associated with pyrethroid resistance in a cypermethrin-resistant (CR) strain. However,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the basal transcription levels of all the P450s examined between susceptible (Sus) and CR strains, suggesting that constitutive overexpression of P450 is not likely involved in the cypermethrin resistance but induction of P450 by cypermethrin is rather associated with metabolic resistance. To determine the conditions resulting in maximum levels of P450 induction,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way of adminstration (topical application vs. leaf dipping), exposure dose and exposure duration were examined. In general, leaf dipping method resulted in greater levels of induction in a wider array of P450s. The conditions of ‘low dose (sublethal dose or concentration) and short exposure (less than 3 hr)' to cypermethrin were more efficient in P450 induction than those of ‘high dose (around LD50 or LC50) and long exposure (more than overnight)’, which have been employed in many other studies to date. Cross-strain comparison revealed that 9 of 11 P450s were induced 1.4-2.2 fold in CR whereas only 3 P450s in Sus under the optimal induction conditions, demonstrating that metabolic resistance in CR strain is actually conferred by the mechanism of selective P450 induction when exposed to cypermethrin.
        51.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온시디움에 있어서 particle bombardment 및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 최적 조건을 구명하 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재료는 ‘Sharry Baby’의 PLBs를 사용하였으며, 유전자는 pCAMBIA3301 vector에 삽입 되어 있는 bar와 intron-gus를 사용하였다. Particle bombardment 법에 있어서는 직경이 0.6 μm인 금 입자 에 유전자를 혼합하여 9 cm의 거리에서 1,100 psi 헬륨 가스 압으로 발사하는 것이 유전자 도입에 효과적이었 다. 아그로박테리움 매개법에 있어서는 미성숙 PLBs를 O.D 0.6 정도인 균주에 접종 후 5일간 광조건 없이 공동 배양하는 것이 유전자 도입에 효과적이었다.
        4,000원
        52.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poosmotic swelling test (HOST) is used for evaluating the plasma membrane function and fertilizing ability in mammal spermatozoa. However, HOS solutions and experimental conditions have not been determined clearly for assessing canine spermatozo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HOS solutions and assay conditions, including incubation time (30 to 120 min), storage temperature (4, 17 and 20℃), semen status (fresh and frozen). Maximum spermatozoal plasma membrane swelling was obtained in an 150 mOsm Na-citrate/Fructose solutions with an incubation time for 45 min. The storage temperature and semen status affected the percentage of HOS positive spermatozoa. The HOS test adapted to canine spermatozoa in this study was simple and highly consistent assay with good repeatability. The optimal condition of HOST in canine spermatozoa is an 150 mOsm Na-citrate/Fructose solutions with an incubation time for 45 min regardless of semen storage temperature and semen status.
        3,000원
        5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general, water treatment sludge (WTS) had hig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thus it made the reuse or recycling of WTS difficult. The optimal solidification conditions for maximum suppression of heavy metal elution from WTS were decided in this study. Under the optimal solidification conditions (i.e., temperature, 320℃; ratio of WTS and MgO, 9:1; solidification time, 1hr), all of heavy metal including aluminum were not detected. Therefore there are no problems for reuse or recycling of WTS which was solidified under the optimal solidification conditions found in the study.
        4,000원
        5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눈꽃동충하초 분생자경속을 형성하는데 액체배양을 이용한 접종원의 배지는 PDB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분생자경속 형성에 유리한 배양온도는 20℃로 나타났다. 조명은 500lx.에서 가장 양호한 성장을 하였으며 광조사 시간은 18hr이 가장 유리한 분생자경형성 조건을 나타내었다. 알맞은 배지 조건은 번데기와 현미를 50 : 50 의 비율에 증류수를 현미에 1 : 1비율로 첨가한 혼합배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번데기배지는 원형상태와 분쇄상태 중에서는 분쇄된 상태에서 번데기배지의 공극률이 높아 균사의 침입이 용이하여 분생자경속 회수율과 균사의 배지내에 형성이 원형상태의 번데기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균사의 생장도 역시 분쇄한 번데기에서 더욱 빠르고 고르게 나타났다. 종균 접종량은 15㎖의 종균을 접종하면 분생자경속이 잘 형성되었다. 눈꽃동충하초 재배에 가장 안정하게 재배하려면 분쇄한 번데기에 현미와 혼합한 배지에 종균 15 ㎖를 접종하여 24 에서 발이를 시킨 후 20℃의 배양실에서 재배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8.
        202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질과학 분야에서 암석의 생성 시기, 지각과 맨틀 진화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Sr 동위원소비는 열이온화 질량분석기(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TIMS) 혹은 다검출기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 석기(multi-collector plasma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C-ICP-MS)와 같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기술보고에서는, Sr 동위원소비 측정시, 원소의 불완전한 화학적 분리가 Sr 동위원소비의 참값 (true value)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하였다. 실험에는 상업용 레진, NBS987(NIST SRM987) Sr 동위 원소 표준물질 그리고 일본지질조사소의 암석표준시료 JG1a, JB3, JA1를 이용하였다. 비교실험 결과, NBS987 Sr 동위원소 표준시료, 일본지질조사소의 암석표준시료 JG1a, JB3, JA1 모두 불완전한 분리에 의해 Rb이 남 아있는 경우 87Sr/86Sr의 측정값이 변하는 것이 명확하게 관찰된다. 이는 질량분석기 특히 MC-ICP-MS로 동위 원소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동종동위원소의 간섭에 대한 보정에도 불구하고 측정값은 참값에서 벗어나 므로 완전한 분리가 중요한 인자임을 지시해준다. 그러므로 MC-ICP-MS를 이용한 Sr 동위원소비 측정결과를 보고할 때는, 동종동위원소에 의한 영향을 판단할 수 있도록 Sr의 동위원소 전체의 측정강도와 더불어 85Rb의 측정강도도 함께 보고돼야 할 것이다.
        5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rapid production of freesia ‘Shiny Gold’ shoots by using a bioreactor, several cultur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Young shoots (< 1 ㎝) obtained from freesia corm section in vitro were used as plant materials for this experiment. As a basic experimental environment, 20 young shoots were inoculated into a 5 L balloon type bubble reactor which contained 1 L 1/2 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30 g sucrose (3%), and the aeration was 0.1 vvm (vessel volumes per minute). The bioreactors were placed in a growth room with 23℃ temperature, 60% relative humidity and 60 μmol·m-2·s-1 light condition (16 h/8 h, day/night). The concentrations of MS media were set with 1/4, 1/2, 1 strength, medium volume 10, 20, 40%, sucrose concentration 3, 6, 9%, and aeration 0.1, 0.2, 0.4 vvm. After 4 weeks of cultivation, the growth indexes including the fresh and dry weight, and plant height were evaluated. At the same time, the consumption, pH, and EC of medium were estimated 4 weeks after incubating. The best results were achieved when 40 young shoots were incubated in a bioreactor in which 1 L of 1/2 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6% sucrose was used for the rapid production of freesia shoots. The shoots were 17 cm in plant height and 1.0 g in fresh weight only 4 weeks after incubation which could be a good plant material suitable for corm enlargement i
        6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세조류를 바이오 에너지로 활용하는 기술은 3세대 바이오 에너지 생산기술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미세조류는 지구 대부분의 수계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단세포 생물로서, 높은 지질 함량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육상생물에 비해 면적 당 생산수율이 높아 비교적 높은 바이오 디젤 생산효율을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다.(Luisa et al., 2008) 하지만 바이오 에너지로서 미세조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확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미세조류 세포는 크기가 50 ㎛ 이하로 작고, 밀도가 물과 거의 같아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Shin et al., 2011) 이에 미세조류를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으며, 원심분리법은 그러한 미세조류 수확 방법들 중 하나이다. 원심분리를 통해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방법은 규모가 커질수록 많은 비용과 에너지가 들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선호되는 방법은 아니지만(Adam and Chandra., 2013), 회수율이 95% 이상으로 높고, 처리시간이 짧을 뿐 아니라, 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실험실 규모로 미세조류를 농축하고자 할 때 적용 가능하다. 한편, 과도한 원심농축은 미세조류의 활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헌을 찾아볼 수 있으나 (Algal Culturing Techniques., 2005), 실제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수준에 대한 정보는 없다. 또한, 미세조류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적절한 수준의 회수율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원심분리 강도 및 시간에 대한 정보 역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심분리의 강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C. vulgaris 를 농축하였을 때, 적절한 수준의 회수율을 얻기 위한 강도와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또한 각기 다른 원심분리 강도가 C. vulgaris 의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