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5

        41.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expected that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of Knowledge based economy, and service based economy would affect on economic life of physically-challenged person with no exceptions. There have been some former studies which have been misunderstood the employment of disabled due to the declining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prejudice to the disabled based on biased perspective and public opinion. This study have analyzed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the ordinary workers and disabled workers out of those prejudices and biased opinions. Wage, economic activity ratio,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dustry those 5 parameters are brought for analyzing the two comparison group. Each parameter have compared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f ordinary workers and disabled workers for past 7 years. Weight between each parameter have been drawn by collecting the experts' opinion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utility of employment of two comparison groups have been estimated through progress inclination of each parameter. Through the estimated outcome, present condition and controversial issues and way of improvement of domestic employment of ordinary workers and the disabled is mentioned.
        4,200원
        4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에 의해 상지의 장애를 가지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인터넷의 브라우저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 할 수 있는 컴퓨터 인터페이스로서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무선 자이로 마우스시스템를 개발하고, 임상평가를 통해 그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주안점은, 첫째, 장애인의 경우 휠체어나 침대에 누워서 마우스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무선화하는 것, 둘째, 착탈의 용이성과 미관을 위하여 센서를 헤드 밴드에 삽입하는 것, 셋째, 컴퓨터 운영체제에게 클릭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C5~C6 환자들의 경우에는 클릭 스위치를 사용하고, C4환자의 경우에는 고개의 끄덕임을 검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개발된 시스템을 척수손상으로 인한 상지 장애인을 대상으로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행횟수가 증가할수록 상하/좌우 이동시의 목표위치에 대한 실제위치의 오차가 감소하고, 1분당 클릭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개발된 무선 자이로마우스 시스템은 환자의 반복사용을 통해 그 유용성이 증가할 것을 알 수 있다.
        4,000원
        4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장애유형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차이와 관계를 알아내어,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작업치료 중재방법을 제시하거나 사회적 지원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만 3세부터 7세까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병원, 복지관, 연구소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아동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Parenting Stress Index (PSI)로, 삶의 질은 국내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Quality of Life를 이용하였다. 결과 : 장애유형에 따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정도, 삶의 질의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총점을 비교해보면 정서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스트레스가 정신지체나 신체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점수보다 높은 편이다. 장애유형에 따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 정도차이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서만 나타났다. 정서장애와 신체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성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정서장애보다 신체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상관성이 높았다. 반면에 정신지체 아동을 둔 부모의 경우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성은 없었다. 결론 :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장애유형에 맞는 작업치료 중재방법 제시 및 사회적 지원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44.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상상연습이 성인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의 시각-운동 협응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내 M시의 S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좌측편마비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 중인 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방법은 대상자 선정검사를 하고, 대상자 3명에 대해 기초선 검사 기간을 달리하여 다트게임을 실시하였다. 대상자 1이 기초선 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 중재단계로 들어가 상상연습을 실시한 직후와 1시간 후에 다트게임을 실시하여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 측정값의 평균을 구하였다. 대상자 1이 중재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까지 기초선에 있던 대상자 2도 상상연습 실시 직후와 1시간 후에 다트게임을 실시하여 측정값의 평균을 구했으며, 대상자 3도 대상자 2가 중재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까지 기초선에 있다가 상상연습을 실시, 직후와 1시간 후의 측정값의 평균을 구했다. 수집된 자료는 시각적 그래프와 기술통계량인 평균값을 통해 거리 측정값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대상자 모두 다트게임(신체적 연습)만 한 기초선 때보다 상상연습 직후에 연구대상자가 던진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의 평균값이 감소하여 시각-운동 협응에 있어 향상을 보였다. 둘째, 대상자 모두 다트게임(신체적 연습)만 한 기초선 때보다 상상연습 1시간 후에 연구대상자가 던진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의 평균값이 감소하여 시각-운동 협응에 있어 향상을 보였다. 결론 : 상상연습이 성인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의 시각-운동 협응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상상연습이 학습과 치료에 앞서 시연(demo)이 왜 필요한지를 밝히는 근거로서 제시될 수 있다는 것과 성인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방법에 활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4,600원
        45.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his paper presents an empirical study on the bias toward the disabled by the students studying occupational therapy, who will make an expert group to take care of them in the future. It was investigated how much sense of distance the students ha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Method : Total 128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nd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 were measured as follows: The visibl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were restricted to the disorders of external physical functions based on the Article 29 ‘Classification of the Disabled’ of the Disabled Welfare Ac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were measured by using the FIM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method. Meanwhile, Westie (1952)’s inventory of the sense of distance was adopted for the inventory for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 in the study. Results : The subjects showed the biggest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 in the order of the disabled with encephalopathy, physical handicap, language disorder, visual disturbances and acoustic disturbances. As for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 sense of distance was the greatest in the order of the completely dependent disabled, partially dependent disabled, and completely independent disabled. The average sense of the distance was compared in terms of the subjects’ school and year, and the results reveal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areas except for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completely dependent disabled. Conclusions : The sample needs to be expanded in number, and random sampling is required to secure divers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In addition, the causality verification should be do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ense of distance in a study on it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Finally, an evaluation tool needs to be developed that can be used to measure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
        4,200원
        46.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ccomodations for the disabled children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Suwon and to give helpful information to the parents and teacher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dependence of disabled children at school. We measured the ramps, toilets, doorways and other accomodations in 64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 checklists. The checklists of these facilities were based on the legal requirements of "The Act for the Benefit of the Disabled, Elderly and Pregnant Women".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test. None of the investigated schools satisfied all the legal requirements of the facilities. Fifteen elementary schools had adequate accomodations for the disabled children which allowed them to move independently from the entrance of the school to their classrooms located on the first floor. Only eight of fifteen schools had elevators to access their classrooms upstairs. The schoo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construction dates; before and after April 11th 1998, when "The Act for the Benefit of the Disabled, Elderly and Pregnant Women" took effec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toilets, the width of the toilet entrance, and the slope of the ramps between the two groups (p<.05). We suggest that the accomodations for the disabled children need to be established on a systematic and on-going basis in the future. Th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should be more aware of the legal requirements for appropriate accomodations for the disabled children.
        5,800원
        47.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home care rehabilitation services in rural areas and to collect basic data about disabled persons necessary when for carrying out rehabilitation services. Respondents were selected from six of a total of eight townships (Myon) and one town (Eup) in the Wonju city area. Wonju is in Kangwon Province (Do). Of a total of 338 names provided by the Myon offices, 298 persons were located and included registered and non-registered persons. Conditions included stroke, spinal cord injury, and cerebral palsy in addition to disabilities classified as first, second or third degree, in the case of registered cases. Respond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dical characteristics,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willingness to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 and individual opinions regarding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analys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habilitation services received by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in the rural areas surrounding Wonju city were medical rehabilitation (41.7%), diagnosis (36.5%), rehabilitation assistive devices (7.6%), social assistance (7.1%), rehabilitation counseling (3.0%), vocational rehabilitation (1.8%), educational rehabilitation (1.6%) and housekeeping services (0.5%). The majority of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medical rehabilitation provided at hospitals and oriental medicine hospitals. 2) Sixty point eight percent of respondents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receive home care rehabilitation services. Needs expressed were highest for medical rehabilitation (27.0%), followed by social assistance (19.4%), medical examination (12.4%), physician-generated diagnosis in the home setting (11.6%), soci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9.3%), vocational rehabilitation (7.6%), rehabilitation engineering (6.0%), educational rehabilitation (3.3%), and housekeeping services (3.3%). 3)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were analyzed by severity classification: 65.8% of first degree, 62.7% of second degree and 55.6% of third degree disability classification, and 62.7% of non-registered disabled individuals responded that rehabilitation service was necessary. 4)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were also analyzed by diagnosis: 62.6% of stroke, 85.5% of amputation, 60.0% of spinal cord injury and 52.4% of traumatic brain injury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that they were willing to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 if it were to be provided. Rehabilitation service utilization data of disabled individuals living at home in rural areas were investigated and their rehabilitation needs analyzed. This critical information can be used when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are planned for provision out of a public health center or when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elfare policy is formulated.
        5,700원
        48.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idents of institutional settings for the disabled people are likely to be a potentially nutritional at-risk group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nutrition and foodservice management i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The majority (85%) of the institutions was using a simple pre-set menu that consists of rice, soup or stew, kimchi, and two other side dishes. Some twelve percent of the institutions served only one side dish. The residents were consuming a diet of a low diversity with insufficient amounts of micronutrient rich foods. As a protein source, legumes and soybean curds, and eggs were served 90% and 94% of the time, while beef, pork or poultry, a better iron source, was served less than 2-3 times per month. Fruits were most infrequently served food items in these facilities with 38% of the facilities serving fruits only 2-3 times per month. With regard to the nutrition and health care management, the physical examination on the residents was conducted annually in 88.8%, routine hemoglobin measurement peformed in 66%, and nutrition education was conducted in 10.9% of the surveyed facilities. The foodservice and nutrition management manual will help ensure a safe and better quality foodservice for the disabled people, which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nutrition of these people.
        4,000원
        52.
        2020.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은 8500만 명의 장애인이 있으며 세계에서 제일 장애인이 많은 국가이다. 장애인이 일반인과 동등한 사회적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어떻게 보장하는가는 중국정부의 중요한 과제이다. 장애인 관광권리 의 실현은 우선 국가정책 차원에서 확인과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중국 장애인 관광의 역사, 현황, 부 족 및 개선방안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자면 정책고찰을 접점으로 삼는 것이 최선의 연구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첫째, 중국의 장애인 관광정책이 지금까지는 어떤 역사변천, 어떤 시대특징, 어떤 정책체계를 보여 준다. 수직적으로 장애인 관광정책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찰을 통해 정책 논리를 정리하고자 한다. 둘째, 선진국은 장애인 관광정책에서 어떤 모색과정, 어떤 시행효과, 어떤 입법사례를 보여 준다. 수평적으로 미일 양국의 장애인 관광정책의 비교를 통해 유익한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한다. 셋째, 역사적 변천과 국제적 사례를 바탕으로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중국정부가 고민해야 한다. 이론적으로 검토를 통해 중국의 미래 장애인 관광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장애인 관광정책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이념개선: 유니버설 디자인으로의 전환이다. 둘째, 입법개선: 입법선행체제로의 전환이다. 셋째, 기구개선: 비정부 기구에 대한 중시이다. 넷째, 인지개선: 사회구성원에 대한 홍보이다. 다섯째, 시설개선: 인프라와 서비스에 대한 디자인. 총체적으로 중국의 장애인 사업은 새로운 발전시대에 접어들었고 장애인의 관광권리도 정부와 사회 전체의 관심과 지지를 받아야 한다. 장애인 관광 사업의 발전을 정책적으로 추진하여 사회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평등, 융합, 공유라는 관광 환경과 사회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55.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multimodal 사회기술 훈련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통제군과 실험군으로 나눠, 교사평가와 아동평가로 구분하여 사전·사후로 사회기술 평정체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도구를 사용하여 장애아동의 사회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전·후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군에서는 교사용 사회기술평정체계(SSRS)의 자기통제, 자기주장, 협동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아동용 SSRS에서도 자기통제, 자기주장, 공감, 협동 모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즉 원예치료 실시 전·후 비교 시에 교사용은 3개 항목 중 3개 항목, 아동용은 4개 항목 중 4개 항목 모두 유의한 차가 발생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원예치료 효과가 확실함을 알 수 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실험군의 두그룹을 비교한 결과, 통제군에 비해 실험군이 교사용 SSRS의 자기통제를 제외한 자기주장, 협동에서만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고, 아동용 SSRS에서는 자기주장과 공감에서는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자기통제와 협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통제군과 실험군 비교 시에 교사용은 3개 항목 중 2개 항목, 아동용은 4개 항목 중 2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가 발생함으로써 대체적으로 양호한 원예치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multimodal 사회기술 훈련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켜 낮은 자신감과 사회성으로 기인된 부적응행동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원예치료가 장애아동 뿐만 아니라 사회성 향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8.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예인에 필요한 예인력의 계산과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결과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먼저 예인력의 계산에 있어서는 선박의 마찰저항, 풍압저항, 조파저항을 고려하였다. 아울러 프로펠러가 고착된 상태를 가정하여 프로펠러 저항을 계산하였다. 이와 더불어 예인 시 사용되는 예인삭에 걸리는 부가저항을 노드분석법을 적용하여 계산하였고, 선체 저항과 예인삭에서의 부가저항을 합하여 최종 적인 예인저항을 도출하였다. 계산된 결과값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목포해양대학교 실습선 새유달호를 활용하여 해상에서 예인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론적인 계산 결과와 실험 결과에 대한 비교를 행하였다. 소요 예인력의 이론적인 계산에서 주요한 요소는 예인속력임을 알 수 있 었고, 예인속력의 증가에 따라 프로펠러 고착 저항이 저항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 실험을 통해서는 선박의 요잉에 의한 저항 증가분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9.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거주시설에 입소한 장애유아의 사회 및 정서 발달 향상을 위한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북 익산시 위치한 M장애영유아거주시설에 거 주하고 있는 장애유아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2년 3월부 터 6월까지 주 1회 총 15회기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 전과 후에 사회성 및 정서 발달 척도 질 문지를 사용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원예치료에 참여한 장애 유아 16명은 사회성 및 정서 발달의 하위영역 중 교사와의 상호작 용과 독립성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결 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텃밭활동 및 꽃과 식물을 이용한 원예 치료 프로그램이 거주시설 장애유아의 사회 및 정서 발달에 긍정적 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 거주 시설 장애유아들에게 전문적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 공한다면 유아기에 습득해야 하는 사회 및 정서 발달 과정을 경험 하고 그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