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2

        4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ll armyworm (FAW), Spodoptera frugiperda J.E. Smith is a noctuid moth endemic throughout the Western Hemisphere that has recently become widespread in sub-Saharan Africa. In Asia, FAW was firstly reported at corn fields in India, SriLanka, Bangladeshi, Miyanmar and Thailand in 2018. In January 2019, FAW was also found in Yunnan province of China. In March 2019, the larvae which could be tentatively identified as FAW were caught at a corn field of Plant Protection Center of Lao PDR, which is located in Vientiane, Laos. Species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by DNA barcoding using the COⅠ segment of the four larvae, which were found to be the haplotype of rice strain (COⅠ-RS). The host strain identity was additionally analysed as a Tpi-C (C-strain allele) by Triosephosphate isomerase gene (Tpi) segment located on the Z sex chromosome. The result shows that the FAW specimens in Lao is the subpopulation of COⅠ-RS/Tpi-C (COⅠ and Tpi haplotype combination). It was reported that COⅠ-CS/Tpi-C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COⅠ-RS/Tpi-C in Western Hemisphere and Western Africa, but COⅠ-RS/Tpi-C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Eastern Africa. It can be supposed that the subpopulation of COⅠ-RS/Tpi-C in Lao is one of the subpopulations which have migrated into the Indochinese peninsula from Eastern Africa, with more detailed analysis for more diverse nationwide specimens left.
        4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충포식성 곰팡이는 선충을 포획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특수한 기관을 사용한다. 국내 성주지역의 참외 경작지 뿌리 주변의 토양에서 3차원 접착 고리를 형성하여 선충을 포획하는 곰팡이를 분리하였다. 곰팡이의 미세형태 구조를 관찰한 결과 분생포자병은 직립형으로 길이는 290~528 (342.8) μm으로 길었으며, 계란형의 30.5 × 20.3 μm 크기를 가진 1~3개의 분생포자를 형성하였다. 균주의 rDNA의 5.8 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rthrobotrys속의 계통군에 속하였으며, 특히 Arthrobotrys sinensis와 99%의 유사성을 보였다. 형태적 특징과 분자생물학적 계통 분석을 바탕으로 본 균주는 A. sinensis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국내 미기록종으로 식물기생성선충의 생물학적 조절을 위한 하나의 자원이 될 수 있다.
        4,000원
        4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is the one of the most popular pets, and the most commonly traded species in the world. It is designated as an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that has been managed in South Korea. To date, no reports of natural or anthropogenic migration and spreading of T. s. elegans in South Korea are available. In the present study, we estimated the expected route and the movable path of one female T. s. elegans found in Namsan-myun, Gyeongsan-si, Gyeongsangbuk-do. Based on the movable path, the potential destination of the female turtle was estimated to be about 282 m and 468 m away. Therefore, the moving distance of the red-eared slider to the nearest water system will be at least 606 m and at most 792 m. Our results provide the first evidence about the natural migration and spreading of exotic turtles.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the management and countermeasures against the introduced of T. s. elegans and other exotic species in South Korea.
        3,000원
        4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리방아벌레과에 속하는 Hylis Gozis, 1886 속의 Hylis harmandi (Fleutiaux, 1923)가 한국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이 종에 대한 재기재와 중요한 형질 사진이 제시되었다.
        3,000원
        4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ursaphelenchus sinensis was first found in Austria from the wood packaging material imported from China. In Korea, B. sinensis was detected from dead branches of Pinus densiflora located in Jinju, Gyeongnam province. Morphology of B. sinensis was characterized by unique male spicule with weak rostrum and squared condylus, and female with small vulval flap and conical shaped tail. Genomic DNA of B. sinensis was extracted and ITS region was fully amplified by PCR. ITS-PCR product was analyzed by RFLP and also directly sequenced. Polymorphism by RFLP-ITS was matched with that of B. sinensis and ITS sequence data was identical to B. sinensis information in GenBank. The Korean isolate of B. sinensis, Bs-Jinju, was submitted to GenBank and acquired the accession number, #MG934676. Host pathogenicity of B. sinensis was tested by artificial inoculation of nematode (30,000/ sapling) on 5-year-old P. densiflora. There were no disease symptoms in all tested pines inoculated by B. sinensis, whereas 100% mortality showed on pine saplings by B. xylophilus inoculation. This is the first report of B. sinensis in South Korea.
        4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번 연구를 통해 작은검정주머니나방속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어 보고한다. 작은검정주머니나방속 내 작은날개검정주머니나방에 대한 암컷 형태 특징, 채집지 정보 등을 포함한 이용가능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신속한 종 동정을 위한 DNA 바코드 정보를 작성하였다.
        4,000원
        4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ybalomiinae is a small subfamily of the family Crambidae, reporting 18 genera, 122 species in the world. However, this subfamily of species are still included in subfamily Pyraustinae in Korea with two species: Trichophysetis cretacea (Butler, 1879) and T. rufoterminalis (Christoph, 1881). Recently, these species transferred to Cybalomiinae by Shaffer et al. (1996). However, it was not considered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the subfamily Cybalomiinae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with a newly recorded genus. Illustrations of adults, male and female genitalia, diagnosis, description are provided.
        4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raspedoxantha genus has been distributed in worldwide as 7 species in Afrotropical and 2 species in Oriental Regions. It is generally known that C. marginalis is preferred Asteraceae including Vernonia spp. for host plant. However, C. marginalis was first found in cut-flower of Phaenocoma prolifera, which was imported from South Africa, under the plant quarantine inspection in Korea. Therefore, we first report that P. prolifera as a new host plant for C. marginalis and provide information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barcoding sequences on male and female for identification.
        49.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epatitis E virus (HEV) is a leading causative agent of acute hepatitis in humans. Zoonotic HEV strains have been isolated from several animal species, including pigs. New HEV variants have been recently isolated from camels in the Middle East. In the present study, fecal samples from fallow deer, formosan deer, alpaca, and guanaco were analyzed for the detection of HEV. One HEV strain was detected from guanaco, a species of camelids. The nucleotide sequence of guanaco HEV was identical to those of deer HEV-3 strains, which implied the cross-species transmission of HEV-3 from deer to guanaco.
        3,000원
        5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미지역에서 저장곡물해충으로 잘 알려진 거저리과의 북미쌀거저리[Cynaeus angustus (LeConte)]가 국내 여러 정미소에 발생하고 있음을 새롭게 보고하며, 이 미기록종에 대한 성충과 유충 사진 및 진단형질과 저장산물을 검역하는 과정에서 검출되는 거저리과 해충 17종에 대하여 도해 검색자료를 제공하였다.
        4,000원
        5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year of 2013, anthracnose disease symptoms were observed on stem of stonecrop in a plant resource field, Southern Forest Resource Research Center, Jinju, South Korea. The disease symptoms were appeared 2-5 cm smudged irregular black spot color on the plant stems. Suspected pathogen was isolated from the lesion with surface sterilization method and identified it a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es. Artificially inoculated the isolated pathogen led to the similar disease symptom as originally observed in the field. The fungal pathogen was re-isolated from the inoculated lesion and it exhibited the sam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original isolat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thracnose of stonecrop grown in open fields,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n Korea.
        4,000원
        52.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집나방과의 상제집나방(신칭, Saridoscelis kodamai Moriuti)을 한국과 중국에서 처음으로 기록한다. 또한, 상제집나방아과(신칭, Saridoscelinae)를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상제집나방의 성충 외형과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 국내에서 상제집나방의 발생에 관해 채집 기기 및 기존의 기주식물 기록과 비교해 논의한다
        3,000원
        53.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적인 양서류 감소의 한 요인으로 다양한 감염성 및 기생성 질병을 들고 있다. 국내에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개구리 양식장이 운영되고 있지만, 개구리 양식장에서 기생충을 포함하는 질병 발생에 대한 연구는 최근까지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제, 괴산, 공주, 보령에 위치한 개구리 양식장 내‧외부에서 채집된 북방산개구리의 구두충 감염률 및 감염 개체수를 체강, 위, 소장과 대장의 신체부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18S rRNA 핵 유전자를 분석하 여 발견된 구두충을 속(genus)단위까지 동정하여 제시하였다. 조사된 북방산개구리의 51.7%가 구두충에 감염되었으며, 감염 구두충은 Centrorhynchus 속에 속한 구두충이었다. 인제 지역이 15%로 다른 세 지역에 비하여 감염률이 유의미하 게 낮았으며, 괴산 역시 55%로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지만, 공주(80%)나 보령(90%) 보다는 다소 낮았다. 양식장 내‧외부 간, 암수 간 감염률과 감염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감염된 구두충 수는 북방산개구리의 건강지수와 음의 상관을 보였으며, 신체부위별로는 위에서 가장 많은 구두충이 발견되었다. 우리의 결과는 국내 양서류에서 Centrorhynchus 구두충 감염의 최초보고로 개구리 양식장 내 구두충의 관리 필요성 및 다양한 지역에 위치한 양식장들 내에서 추가적인 질병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4,200원
        5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계곡산개구리는 2000년 형태적, 유전형질 분석결과를 토 대로 Rana속 유사종과 비교한 결과 별종으로 확인되어 계 곡산개구리로 명명되었다. 계곡산개구리는 주로 산간 계곡 하천의 돌 밑에서 월동하며, 번식기가 되면 웅덩이로 이동 하거나 계곡 물속에 잠겨 있는 바위나 계곡 가장자리에 다 수의 끈적끈적한 알덩어리를 붙여 산란한다. 국내 산개구리 류는 북방산개구리, 한국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3종이 있 으나 계곡산개구리의 번식울음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 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곡산개구리 번식울음의 일주기 및 시간주기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치악산국립공원 구룡계곡 본류의 암반위 물울덩이로 하였다. 계곡산개구리 종 동정은 수컷 성체의 외형적 특징, 알의 특징, 올챙이 DNA 유전적 분석 3단계에 걸쳐 확인하였다. 성체의 외형 및 알 특징은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현장에서 동정하였으며, 올챙이 DNA 유전적 분 석은 물웅덩이 내 올챙이를 채집하여 DNeasy Blood & Tissue Kit (Qiagen)를 이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한 후,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oxidate subunit I (COI) 유전 자 (641bp)를 증폭하여 nucleotide 데이터베이스(NCBI Genbank)에서 기존에 알려진 Rana속의 COI 염기서열과 함께 DNA 분자계통수 분석 (Neighbor joining method)을 시행하였다. 또한, 번식울음 녹음은 Idam PRO U11 Digital voice recorder를 이용하여 번식울음이 시작하기 전부터 종 료시까지 24시간 녹음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2월부터 3월까지이었다. 계곡산개구리 울음의 음향학적 특성은 울음의 우점주파 수를 분석하여 북방산개구리와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계곡산개구리 울음의 일주기 및 시간주기 특성은 Adobe Audition CC (version 6.0)을 이용하여 1시간을 10분 단위로 구분한 후 울음 유무에 따라 점수화한 뒤 기상요인(기상청 국가기후자료센터, sts.kma.go.kr)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 였다. 이를 위한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Version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계곡산개구리 종 동정 결과, 생체는 발가락 끝이 둥글지 않으며, 물갈퀴가 매우 발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턱 밑에 울음주머니가 없었고 앞다리 첫 번째 발가락 에 포접돌기가 있어 북방산개구리와는 구별되었다. 알은 바 위나 계곡 가장자리에 있는 돌 등에 서로 엉겨 붙어 있고, 작고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동정하였다. 올챙이 DNA 유전 적 분석 결과 각각의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한국산 개구리의 명확한 계통 분기(clade)를 확인하였으며, 기존 데 이터베이스에서 동정된 종과 DNA 염기서열이 일치함을 확 인함으로써 분자유전학적인 방법을 통해 계곡산개구리 종 임을 판별하였다. 계곡산개구리와 북방산개구리의 우점주파수 비교분석결 과, 계곡산개구리 제1우점주파수는 최소 474Hz에서 최대 775Hz였고, 평균 637Hz이었다. 북방산개구리 제 1우점주 파수는 최소 609Hz에서 최대 844Hz였고, 평균 713Hz이었 다. 계곡산개구리 제 2우점주파수는 최소 1119Hz에서 최대 1543Hz였고, 평균 1273Hz이었다. 북방산개구리 제 2우점 주파수는 최소 1219Hz에서 1688Hz였고, 평균 1430Hz이 었다. 이러한 결과를 비교해 보면 제1우점주파수, 제2우점 주파수 모두 계곡산개구리가 북방산개구리보다 낮게 나타 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곡산개구리 번식울음 기간은 3월 20일 오전 10시에 시 작해서 4월 5일 오전 7시에 종료되어 총 기간은 17일이었30 기경석 ․ 김지연 ․ 강지현 ․ 이혁제 ․ 이재윤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5(2) 2015 다. 울음기간 중 3월 24일, 3월 26일은 울지 않았고, 3월 23일, 3월 25일은 거의 울지 않았다. 가장 활발히 운 기간은 3월 21일, 4월 1일, 4월 3일, 4월 4일이었다. 국내 산개구리 류의 기존 연구에 의하면 북방산개구리는 13시에서 14시, 18시에서 23시까지 두 번의 울음 피크를 이룬다고 하였으 나,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계곡산개구리 울음은 09시를 기 점으로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13시부터 16시까지 피크를 이 루다가 22시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23시부터 09시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일 울음 누적점수와 기상요인간 상관관계 분석결과, 평 균기온, 최고기온과 일최저기온이 번식울음과 고도 양의 상 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일강수량, 평균습도 및 일조량과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계곡산개구리의 시간대별 누 적울음과 기상 요인간 상관관계 분석결과, 기온과 습도와는 양의 상관관계, 일조량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강 수량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계곡산개구리는 겨울이 끝나 는 이른 봄철에 가장 먼저 번식울음을 시작하는 양서류이면 서 17일 정도의 짧은 기간에 폭발적으로 번식하는 Explosive breeder의 유형에 속하였다. 단 짧은 번식기간임에도 불구 하고 이른 봄철이기 때문에 영하로 내려가는 시기에는 울음 을 멈추어 기온이 번식울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5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otorious lamiine species Asian Longhorn Beetle, Anoplophora glabripennis, is one of the major invasive pests of street trees, which is an endemic species of Korea and China. By far, the distributional range of Korean A. glabripennis population is restricted to only central to northeastern forest region of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found unreported A. glabripennis populations in 4 different port cities and adjacent cities. These new populations are found in very much urbanic regions; Incheon, western part of Seoul, Busan and Ulsan. These populations can be distinctly differentiated with previously reported populations by massive damage on trees, unusual usage of host plant and spotted elytral pattern. To test their identity, we analyse the genetic patterns of the A. glabripennis populations sampled across South Korea based on three mitochondrial genes, Cytochrome Oxidase I – leucin tRNA – Cytochrome Oxidase II (COI-tRNALeu- COII). Additionally, we used available sequences of COI - tRNALeu - COII of 104 Chinese and 15 Korean individuals from NCBI. Here we show that Korean population is distinctly divided into two major clades, namely native populations and non-native ones, with 0.7% ~ 1.2% of genetic divergence. Hence, the non-native ones can be divided into two subgroups, which we call Incheon-Seoul complex and Busan-Ulsan complex. We observed that these newly found groups, Incheon-Seoul complex and Busan-Ulsan complex share perfectly identical COI haplotype within each group.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newly found populations are introduced respectively and these populations might be derived from very small number of introduced founders.
        5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ly recorded species, Nereiphylla hera Kato and Mawatari, 1999 which was originally described from northern Japan, was collected from East Sea in Korea. Our Korean materials of N. hera are distinguished from it congeners b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at agree well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 of the species: the tentacular cirri are flat and spatulate with a narrow and distinct tip, reaching to segment 4-6, and boarder than their cirrophores; the parapodia possess elongated dorsal cirri. We provide a key for distinguishing the species of genus Nereiphylla from Korean waters.
        3,000원
        5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맥문동(Liriope spicata (Thunb.))이 검정주머니나방(Mahasena aurea (Butler))의 새로운 기주식물로 처음으로 확인되었기에 보고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본 종의 유충과 암컷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들의 암컷과 수컷에 대한 외부형태적 특징을 재기재함과 동시에 수컷생식기, 성충, 애벌레, 번데기 등의 특징을 도해하여 제시하였다.
        4,000원
        58.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the only high moor in Korea, is a core area to conserve biodiversity. Even though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is relatively small, various plant species are distributed in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because it includes various habitats showing different environmental gradients.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were identified as a total of 376 taxa that is composed of 73 families, 217 genera, 322 species, 3 subspecies, 44 varieties and 7 forms. For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5 species including Trientalis europaea var. arctica, Lilium dauricum, Halenia corniculata, Lychnis wilfordii and Menyanthes trifoliata were found and 34 taxa were confirmed to be distributed only in the mountainous wetland habitats. Regarding naturalized plants, a total of 11 taxa were distributed, but most of them were distributed in the areas where artificial interference has occurred. And in areas inside the wetlands that are relatively well preserved, 2 species of Bidens frondosa and Erigeron annuus were observed. In this study,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Pseudostellaria baekdusanensis M. Kim, which was recently found in Mt. Baekdu and reported as a new species, were identified in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A wetland is a very vulnerable area to drastic environmental changes and damages to its ecosystem could cause the extinction of rare plant species which are distributed only in the wetlands. Therefore, it is mandatory that current status of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is evaluated and actions to prevent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re taken. Fourteen separat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2013 and another four in 2014, to evaluate current status of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These investigations have provided us th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actions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4,500원
        5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a hybridization between Caretta caretta and Chelonia mydas in South Korea. On 7th May 2012, a sea turtle (Jeju sea turtle 01, JST01) was found in the east coast of Jeju Island, South Korea.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JST01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 caretta and C. mydas that were frequently observed in Korean Seas. Interestingly, JST01 showed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body color, appearance of carapace, shape of upper beak, serration on marginal scute, and two claws with those of C. caretta. On the other hand, JST01 showed also similar patterns in sev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numbers of marginal, inframarginal and costal scute, smooth carapace without keel, no contact between costal scute and nuchal scute with those of C. mydas.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JST01 is one of hybrid animals bred between C. caretta and C. mydas, because JST01 has speciesspecific characters from both species. We anticipate that our study would be useful and have significant impact onto study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n the groups of sea turtle.
        4,000원
        60.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past two decades, European ash trees (Fraxinus spp.) have been severely damaged by ash dieback disease of which causal agent is a fungal species called Hymenoscyphus fraxineus (anamorphic stage Chalara fraxinea). Recent molecular phylogenetic and population genetic studies suggested that this fungus may have been introduced from Eastern Asia to Europe. In the course of fungal biodiversity survey in Korea, H. fraxineus-like apothecia were collected from fallen leaves, rachis and petioles of Korean ash and Manchurian ash trees. The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traits of these materials are provided, supplemented by ITS rDNA sequence comparison of H. fraxineus strains collected from Europe, China and Japa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