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3

        4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evaluated the larvicidal activity of 12 Apiaceae plant essential oils and their components against the Asian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and the inhibition of acetylcholine esterase with their components. Of the 12 plant essential oils tested, ajowan (Trachyspermum ammi), caraway seed (Carum carvi), carrot seed (Daucus carota), celery (Apium graveolens), cumin (Cuminum cyminum), dill (Anethum graveolens), and parsley (Petroselinum sativum) resulted in >90% larval mortality when used at 0.1 mg/mL. Of the compounds identified, α-phellandrene, α-terpinene, p-cymene, (-)-limonene, (+)-limonene, γ-terpinene, cuminaldehyde, neral, (S)-+-carvone, trans-anethole, thymol, carvacrol, myristicin, apiol, and carotol resulted in >80% larval mortality when used at 0.1 mg/mL.
        42.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mulation of the finite element method(FEM) for dynamic interaction between a pantograph and contact wire, including non-linear formulation associated with contact wire stagger in the railway overhead contact line is presented. Penalty method is chosen for modelling contact between a pantograph and contact wire. The formulation is validated by comparing the simulated contact forces with measurements taken from 300 km/h KTX operation.
        4,000원
        4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중가닥 RNA (double-stranded RNA, dsRNA)는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기능으로 해충방제에 응용되었다. 인테그린은 α와 β 단위체로 구성된 이량체 막 단백질이다. 진핵생명체에서 인테그린은 세포-세포 및 세포-세포외기질의 상호연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인 테그린 β 단위체 발현을 억제하는 특정한 dsRNA (= dsINT)는 해당 곤충에 뚜렷한 치사효과를 유발한다. 또한, dsINT를 발현시키는 형질전환 된 대장균도 해당 곤충에 뚜렷한 살충력을 가진다. 그러나 이 세균 살충제의 야외 적용을 위해서는 제형화 기술이 필요했다. 본 연구는 dsINT를 발현하는 재조합 세균을 동결 건조시켜 대상 곤충에 대해 살충효능을 검정하였다. 동결 건조된 세균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종령 유충에 높은 섭식독을 일으켰다. 파밤나방에 대해서 Bacillus thuringiensis 상용 살충제 처리는 불과 60%의 살충력을 보이는 반면, 동결 건조된 dsINT 발현 세균과 혼합 처리할 때 살충력은 크게 증가하였다. dsINT 발현 세균은 해당 인테그린 염기서열 유사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해충 종에 선 택적 독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인테그린에 특이적 dsRNA를 발현하는 세균이 동결 건조 제형화 조건하에서도 살충력을 유지한다는 것을 나타 냈다.
        4,000원
        4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to evaluate how pH and ionic strength (IS) affect the fate (i.e. size and colloidal stability) of an SC formulation containing the pyrethroid β-cyfluthrin. The response surfaces determined under a range of environmentally relevant conditions were then used to assess the toxicity of the SC formulation of β-cyfluthrin to D. magna. The changes in hydrodynamic diameter (HDD) and colloidal stability as determined by zeta potential measurement were closely related to either or both of the change in pH and IS with the linear factor of IS being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ose changes. Thus, the concentration of SC formulation of β-cyfluthrin remaining in the water column was dependent on the pH and IS conditions and highest when the colloidal suspension contained small particles or a lack of agglomeration leading to sedimentation of the particles. The toxicity results show correspondingly higher toxicity to D. magna when exposed to the SC formulation of β-cyfluthrin when pH and IS conditions favor formation of either the smallest HDD or most stable colloidal suspensions.
        4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stern flower thrips, (Pergande) (Thysanoptera: Thripidae) have been recognized as serious pests worldwide. Commercially available chemical pesticides challenges against the resistance of the pest and safety to consumers. Herein we investigated the usability of soil-treatment of entomopathogenic Beauveria bassiana (Bb) ERL isolates in tomatoes. Bb-egfp was highly virulent to western flower thrips in laboratory conditions and colonized in soil, which provided a chance for western flower thrips larvae to contact the colonized fungal mass. In a glasshouse trial, Bb ERL836 and Bb ERL1578 granule (GR) were applied to soil surface and mixed well, and five females were infested to each pot of tomato 3 days after the application. The two treatments significantly reduced thrips population in tomatoes 20 and 40 days post applications, comparable to the control efficacy of clothianidin granule (GR) formulation. In the following field trial, the two ERL fungal treatments showed 69.2% and 61.5% of control efficacy, which were similar to that of clothianidin GR (76.9%). This work suggests that applied B. bassiana colonized in soil well and thrips larvae easily contacted the fungal mass, which possibly enabled the control strategy to be alternative way to the chemical control.
        46.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assess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growing media substituted with a range of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retreated wood and to relate these properties to plant growth responses. For preparing the growing media, each material was combined with rural soil, peat, perlite and pretreated wood. Physicochemical properties studied were similar to ideal substrate ranges for plant growth on growing media, including pretreated wood. Physical properties were also well maintained over time. In comparison to plants growing in 100% rural soil,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in the prepared growing media achieved better growth, especially when using the 50% rural soil + 50% PPW(peat + perlite + pretreated wood, 3:1:6(w/w/w)) and 30% rural soil + 70% PPW (peat + perlite + pretreated wood, 3:1:6(w/w/w)), and showed improved germination percentage. We confirmed the potential use of growing media, including pretreated wood. Furthermore, our results show a correlation amo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physic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rmination and aerial parts. The root length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was correlated with bulk density and organic compound (p<0.01).
        4,000원
        47.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prevalence of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is increasing and has become a social problem. Considering the fact that many Koreans consumed fermented milk,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ositive effect of fermented milk with indigestible dextrin formulation (Dr. Insue) for patients impaired glucose tolerance or potentially metabolic syndrome, diabetic. Long-term drinking of fermented milk, Dr. Insue did not cause the rise in blood glucose after a meal and has no side effects such as discomfort digestive-organ in spite of intake 12 wk. Also, It confirmed that there is no adverse effect about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including glycosylated hemoglobin. It is suggested that fermented milk, Dr.Insue is suitable beverage for potentially diabetic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of impaired glucose tolerance. Additionally, it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mean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ardiovascular risk of ingestion of the fermented milk and research through the increases the amount indigestible dextrin formulation or extending the period of intake. Keywords: fermented
        4,000원
        48.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와 진동수에 따른 거동의 비선형성을 확인하고 정확한 예측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외팔보의 정적 및 동적해석의 수행에서 선형, 비선형 해석의 결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보의 자유단에 수직방향의 정적 및 동적 하중을 가한 상황을 예측하였다. 선형 해석방법으로 고전 외팔보 이론을 적용하였고, co-rotational dynamic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개발하여 비선형 해석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먼저 정적해석에서 외력의 크기가 달라질 때 선형 및 비선형 해석 예측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였다. 그리고 동적해석을 통해 가진 진동수의 변화에 따른 보 끝단의 무차원화된 변위의 양상을 연구하였고, 공진진동수 근방에서의 상당한 변위가 발생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주파수 지연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특정 진동수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보의 변위를 확인하였다.
        4,000원
        4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onsider a late decaying dark matter model in which cold dark matter begins to decay into relativistic particles at a recent epoch (z ≤ 1). A complete set of Boltzmann equations for dark matter and other relevant particles particles is derived, which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evolution of the energy density and density perturbations. We show that the large entropy production and associated bulk viscosity from such decays leads to a recently accelerating cosmology consistent with observations. We determine the constraints on the decaying dark matter model with bulk viscosity by using a MCMC method combined with observational data of the CMB and type Ia supernovae.
        4,000원
        5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느타리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배지를 개발하 기 위하여 미루나무톱밥, 면실피, 면실박, 비트펄프, 콘코 브 등 5종을 혼합하여 혼합비율별 6처리로 시험을 수행하 여 배지조성별 화학성분, 균사생장속도 및 수량특성을 조 사하였다. 배지조성별 화학성분 분석결과 pH는 대부분 pH 5.0 내외로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V배지의 경우 다른 조성에 비하여 pH와 유기물 함량에 있어 각각 5.52, 29.07%로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대질소비는 IV배지가 30.53으로 가장 높았고, I, V, VI배지가 25정도를 나타냈 으며, II, III배지는 20.68, 22.12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시험관 칼럼배지를 이용해서 균사생장속도를 조사한 결과 균접종 28일 조사에서 향산 품종에서는 V배지가 105.0 mm로 가장 빠른 생장을 나타냈고, 호산 품종에서는 II번 배지가 114.3 mm로 가장 빨랐다. 병재배시 배지조성별 생육특성 조사결과 초발이소요일수는 3일, 생육일수는 4 일로 모든 처리에서 동일하였고, 수량에 있어서는 호산 품종의 경우 V배지가 병당 유효경수가 19.1개, 병당 수량 이 198.4 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향산 품종 에서는 IV배지와 V배지가 각각 유효경수 15.3개, 14.4개, 수량은 161.1 g, 163.1 g으로 비슷하였다. 봉지재배에서 호산품종의 경우 초발이소요일수는 IV배지가 7일로서 가 장 빨랐고 다음이 V, VI배지로서 8일, 그 다음이 I배지 9 일 순이었다. 향산 품종에서 초발이소요일수는 I배지가 6 일로서 가장 빨랐고 다음으로 IV, VI, V배지 순이었다. 그리고 생육일수는 4내지 5일로서 품종별, 배지조성별 차 이가 없었다. 수량특성 조사결과 호산 품종의 경우 I배지 가 봉지당 435.7 g으로 가장 높았고, 향산 품종에 있어서 는 V배지가 463.5 g으로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4,000원
        5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X106N은 용안육, 맥문동, 단삼 및 천마 등의 4가지 식물로 구성된 추출물로서, 선행 연구에서 amyloid β peptide에 의한 생쥐의 기억력 저하 및 산화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는 HX106N이 비선택적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로 잘 알려진 스코폴라민(scopolamine)으로 유도한 콜린성 건망증(cholinergic amnesia)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였다. ICR 생쥐에게 스코폴라민(1 mg/kg body weight, i.p.)을 주입하기 1시간 전에 HX106N(100 mg/kg body weight, p.o.)을 투여하였다. 30분 후 수행한 Y-미로 시험(Y-maze test) 및 수동 회피 시험(passive avoidance test)에서 HX106N는 스코폴라민에 의해 감소되는 자발적 변경 행동(spontaneous alternation) 및 지체시간(step-through latency)을 유의미하게 억제하여 건망증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X106N을 투약 1시간 후 생쥐의 해마와 대뇌피질 부위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의 활성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할 때 HX106N은 AD에서 관찰되는 콜린성신경전달 장애로 인한 기억력 저하 억제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친환경 유기농산물과 식품에 대한 안정성이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관심이 되고 있는 시점에서 친환경제제의 개발과 적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벼 재배지의 주요병으로 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친환경방제 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가 미미한 실증으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제제 처리에 의해 변화하는 논토양의 화학적 특성, 미생물 군집 및 벼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정도를 조사하였다.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관행구가 약 pH 5.0로 나타났으며 친환경제제 처리구는 평균 약 pH 5.5로 높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유효인산의 함량의 경우 이앙전에는 27%, 등숙기에는 37%와 수확기에는 5% 높게 나타났다. 치환성 칼슘의 경우 친환경제제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미생물 생체량도 관행구에 비하여 친환경제제 처리구에서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이 각각 친환경제제 처리구에서 69와 43%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균의 경우에도 30%, 고초균도 105%가 친환경제제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벼잎집무늬마름병 발생 억제 효과는 관행구에 비하여 친환경제제 처리구에서 약 75% 발병이 억제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 친환경제제의 처리는 식품안정성과 유기농산물 생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3.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a newly developed flower thinning formulation (FTF) on the vitality of the honey bee Apis mellifera were examined by measuring the activities of various digestive enzymes in adult worker bees. First, direct spraying of the FTF solution did not cause any behavioral changes or lethal effects for the honey bees based on 24 h observation. Second, oral ingestion of a sugar solution containing the FTF did not produce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activities of amylase, proteinases, lipase, or acetylcholine esterase (AChE) in the worker bees 6 h or 24 h after treatment. Meanwhile, a commercial formulation containing sulfur compounds showed slightly reduced activities for several digestive enzymes and AChE, although no behavioral disturbance. Thu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FTF is not toxic for honey bees, in terms of contact and ingestion. Therefore, this newly developed FTF can be used for flower thinning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pollinating insects.
        3,000원
        54.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친환경제제인 미강제제를 처리하였을 때 고추 생육기간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밭토양의 미생물 군집을 조사하였으며, 시들음병과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제조된 미강제제의 이화학적 특성과 유해성분을 조사한 결과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기준인 비료공정규격보다 질소, 인산, 칼륨의 최소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해성분 함량도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미강제제 처리 후 밭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은 고추생육이 끝난 시점에도 유효인산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ospholipid fatty acid (PLFA) 분석에 의한 토양내의 미생물 군집을 조사한 결과 토양내 미생물 군집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전체적인 미생물 생체량이 높게 나타났다. 미강제제 시용은 고추시들음병 방제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고추수확량이 약 2.7배 높게 증수되었다.
        4,000원
        5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120 plant essential oils and control efficacy of six experimental spray formulations (SF) containing the oils (SF-0.25, 0.5, 1, 2.5, 5 and 10% sprays) against both nymph and adult of citrus flatid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was examined using a direct contact application. Reponses varied according to dose (1000 mg litre-1 and 500 mg litre-1). Based on 24 h exposure in leaf dipping assay at 1000 mg litre-1 strong mortality was observed in more than 19 essential oils among 130 was screened. At 500 mg litre-1 very strong mortality (100%) was observed in cinnamon technical, cinnamon green leaf, cinnamon #500, cassia tree, citronella java and penny royal followed by origanum, thyme white, grape fruit, savory, fennel sweet, aniseed and cinnamon bark (93.3- 80%) showed considerable moratality against nymphs of M. pruinosa. The moderate mortality was found in thyme red, tagette, calamus, lemoneucalptus and geranium (73.3-60%). The other oil has low or very low mortality against M. pruinosa. The oil applied as SF-10% sprays provided 100% mortality against adult M. pruinosa. In particular cinnamon technical showed very strong (>SF-0.5= 100%) effect followed by cinnamon #500 (>SF-2.5=100%), cinnamon green leaf (>SF-2.5=100%) and penny royal (>SF-2.5=100%) respectively. Global efforts to reduce the level of highly toxic synthetic insecticid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justify further studies on the active essential oils as potential larvicides for the control of M. pruinosa populations as direct spray with contact action.
        5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병원세균(Bacillus thuringiensis: 비티)의 살충효과를 증가시킨 미생물살충제 “비티플러스”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수화제 형태의 비티플러스는 농가나 산업체에서 높은 단가로 선호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액상 제형의 비티플러스를 개발하는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먼저 비티플러스 제조에 포함되는 두 세균 배양액의 최적 혼합 비율을 결정하였다. 이 최적 혼합액은 10%의 에탄올을 보존제로 사용되었으며, 비티와 또 다른 곤충병원세균인 Xenorhabdus nematophila (Xn)의 배양액 비율이 5:4 (v/v)로 제조하게 했다. 또한 이 액상제형이 1,000 희석배수에서 효과를 보이기 위해 비티 배양액을 10 배 농축하여 최적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액상 제형을 발육 후기 유충의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이 가해를 하는 배추밭에 처리하여 7일 후 약 77%의 방제 효과를 보였는데, 이 처리 효과는 현재 상용화되는 배추좀나방 적용 생물농약들과 비등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저온 및 상온의 저장 분석에서 본 액상 제형은 최소한 한 달 동안 안정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액상 제형의 안정된 방제 효과를 보장하여 주는 품질관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제형 내비티 포자 밀도와 Xn 유래 유용물질의 농도를 판별하였다. 본 연구 분석은 최적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비티플러스 액상 제형에 비티 포자 밀도가 최소 5 × 1011 spores/mL 이고, Xn 세균 대사물질들 가운데 8 종 유효물질의 농도가 품질관리 판별 기준으로 제시되었다.
        4,000원
        57.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nalyzed the viable population changes of Paenibacillus polymyxa E681, a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on seeds and roots after bioformulation at varying time intervals during the storage. The viable population of E681 on tested crop seeds sustained log 4-5 cfu/seed after 300 days of seed treatment. The ability of root colonization and inhibition of fungal mycellial growth was not influenced even after 300 days of seed treatment. The seed-soaking treatment returned better results than powder formulation, in increasing the initial population of E681 on plant roots. Collectively, it was found that E681 is a durable and stable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application to crop seeds.
        4,000원
        58.
        201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전에서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고화처리 방법 중 하나인 유리화기술이 일부 가연성폐기물에 대해 적용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효과적인 감용과 안정적인 처분을 위해 다양한 폐기물에 대한 유리화기술 적용방안이 확대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연성폐기물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금속과 같은 비가연성폐기물에도 유리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공기조화계통 (HVAC)에는 주로 필터가 이용되고 있으며, 사용 후 필터는 여과재 (유리섬유 및 알루미늄)를 이용하여 배기체를 흡착하기 때문에 방사성폐기물로 처리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필터에 대한 처리기술 연구를 위해 유도가열식 저온용융로 (Cold Crucible Induction Melter: CCIM)를 이용한 유리화 타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후 필터에 대한 유리화 (Vitrification)는 먼저 유리섬유 및 알루미늄 함량을 고려한 최적의 유리조성을 개발 하였으며, 개발된 유리조성을 이용하여 최적의 폐기물 저감을 위한 용융변수와 최종 생성된 유리고화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용후 필터 유리화용 조성유리는 주로 SiO2와 B2O3로 구성되어 있다. 전기로를 이용한 용융물 특성시험에서는 폐기물 투입률 및 최종 생성물인 유리고화체의 특성이 검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금속과 유리섬유로 구성된 필터에 대한 유리조성 개발과 이를 통해 생성된 유리고화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유리화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59.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sur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ing product should be considered essential. Reliability process is lacking compared to its importance, especially in the field of domestic medical devices. In this paper is Reliability process formulation ofnear-infrared solid microscope for ophthalmic surgery, based on a variety of existing practices and other product process to ensure product reliability, reliability process was established.Togethe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s were investigated that essential in order to maintain a high level of reliability and quality. In this paper,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learned about the medical equipment needed to ensure quality and reliability standards. Second, reliability ensure process design and formulation were studied.
        4,000원
        60.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하학적 비선형성을 고려한 두 개의 비선형 프레임요소의 co-rotational 정식화 과정을 제시한다. 운동학적으로 엄밀한 첫 번째 프레임요소는 변형된 상태의 총 변형성분으로부터 부재력을 산정하며, 정확한 접선강성행렬을 적용한다. 아울러 total Lagrangian 및 updated Lagrangian 정식화에 따른 첫 번째 요소의 엄밀한 접선강성행렬이 동일하다는 것을 보인다. 이에 반하여 두 번째 프레임요소는 절점과 절점사이의 변형을 무시하고 직선으로 가정하여 근사적인 접선강성행렬을 산정 하고, 반복계산 시 증분변위로 부터 증분부재력을 구하여 총부재력을 산정한다. 두 개의 수치예제를 통해 첫 번째 프레임 요소가 기하비선형 거동을 추적하는데 있어서 더 정확하고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특히 케이블부재의 비선형해 석 예제를 통하여 첫 번째 프레임요소가 휨강성을 고려한 케이블요소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