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

        42.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asaponins A1 , DDMP-conjugated group B soyasaponins αg~;and~;βg , non-DDMP counterpart soyasaponin I, II+III, and DDMP moiety were quantified in the large-, midium-, and small-seed soybean varieties. Protein contents were ranged from 38.1% to 41.8%, and oil contents were ranged from 15.5% to 18.9%, respectively. Oil contents in the large-seed varie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edium- and small-seed varieties. Among detected soyasaponin peaks, βg was a major soyasaponin in DDMP-conjugated group B soyasaponins followed by soyasaponin I, DDMP moiety and A1 . Soyasaponin concentration among different seed size soybean varieties. The soyasaponin concentration of mediumseed (4014.5~mug/g )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largeseed (3755.0~mug/g ) and small-seed varieties (3620.3~mug/g ), however, the differences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e composition rates of soyasaponins in the large-size seeds were 9.4% of soyasaponin A1 , 26.5% of DDMP-conjugated soyasaponins, 49.9% of non-DDMP counterpart soyasaponins, and 14.2% of DDMP moiety, respectively.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composition ratios of middle- and small-size seeds. Oil content and C:N ratio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otal soyasaponin concentration, while the 100-seed weight, fiber, and ash contents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s with total soyasaponin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t was noted that protein contents didn't have any relationship with group A, group B, DDMP moiety, and total soyasaponin. This fact suggested that protein contents are not affects the variation of soyasaponin concentration.
        43.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s contain abundant oil and antioxidative lignans related to the seed quality. To evaluate the potential effects of drought stres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esame seeds, eighteen cultivars were imposed water-deficit condition by withholding irrigation during 15 days at podding and maturing stage, compared with well-watered plants as control in seed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Drought treatments showed great decrease of seed yield with not affecting seed weight. The contents of sesamin and sesamolin decreased while lignan glycosides inversely increased in response to drought stress. Oil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drought treatment in spite of its slight decrease. In case of fatty acid com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rease of oleic acid while inverse decrease of linoleic acid under drought stress condi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esame seed may be modified with drought stress. In particular, the increase of sesaminol glucosides with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was observed.
        44.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재래 야생콩 70계통들의 종실 성분들을 분석하여 활용 가능한 야생콩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나물콩 품종 육성의 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단백질 함량 범위는 35.6-47.9~% , 평균은 42.3~% 였으며, 13계통은 45~% 이상인 고단백 계통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2.8-18.0~% , 평균 10.2~% 로 3~% 이하인 2계통을 찾을 수 있었다. 2. 지방산 조성에서 16:0은 11.1-44.6~% , 18:0은 3.0-11.4~% , 18:1은 11.1-30.6~% , 18:2는 12.4-59.5~% , 18:3은 1.1-17.3~% 범위였는데 특히 18:3 조성이율이 극히 낮은 2계통을 발굴하였다. 3. 조단백질은 조지방 및 지방산과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고, 조지방은 16:0, 18:0함량과 고도의 부의 상관이, 18:2와 고도의 정의 상관을 그리고 16:0과 18:0, 18:1 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18:2와 18:3과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6.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long-term study initiated in 1989 at San-born Field, Columbia, Missouri,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nitrogen application, and crop rotation on soybean (Glycine max [L.] Merr.) seed composition. Soybeans were grown as part of a four- year rotation which included corn (Zea maize L.), wheat (Triticum aestivum L.), and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Results from soil tests made prior to initiation of the study and subsequently every five years, were used to calculate application rates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necessary for target yield of pursuant crops. In the experimental design, nitrogen was applied to one-half of the plot on which the non-leguminous crop, either corn or wheat was grown. Analysis of soybean seed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collected over an 11-year period revealed a linear increase in protein and decrease in oil content.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to non-leguminous crops did not have an apparent effect on total protein or oil content of subsequent soybean crop. Analysis of soybean seed proteins by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in conjunction with computer­assisted densitometry revealed subtle changes in the accumulation of seed proteins. Immunoblot analysis using antibodies raised against the β-subunit of β-conglycinin showed a gradual increase in the accumulation of the 7S components during successive years of the experiment. A linear increase in temperature and decrease in rainfall was observed from the onset of data· collection. Higher temperatures during the growing season have been linked to increased protein and diminished oil content of soybean, thus changes observed in this study are possibly related to climatic conditions. However, crop rotation and subsequent changes in soil ecology may contribute to these observed changes in the seed composition.
        47.
        2002.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129 soybean genotypes were collected in 43 island locations from January to May 2001. Seeds of 129 genotypes collected were analyzed for crude protein and fatty acid composition contents.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averaged to 41.1 % and ranged from 37.4% to 44.4%. The average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content were 12.0%, 4.0%, 23.2%, 55.5%, and 7.9%, and the ranges of those were 10.0% to 15.0%, 3.0% to 4.8%, 21.7% to 25.5%, 50.2% to 58.3% and 7.0% to 12.0%, respectively. Heritabiliries of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crude protein were higher, but that of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were relatively lower. The g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rude protein and oleic acid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ut that of linoleic acid showed highly opsitive correlation, but that of linoleic acid showe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and also palmitic acid,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48.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남해안 부근의 섬에서 재배되고 있는 재래종 검정콩 유전자원 45품종(135점)의 조단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 함량 변이는 34.70-44.20%(평균 40.75%),지방산 조성 변이는 palmitic acid에서 9.00-14.40%(평균 11.41%) stearic acid에서 2.90-5.00%(평균 3.93%), oleic acid에서 22.25-26.50%(평균 22.75%), linoleic acid에서 50.30-57.20% (평균 53.55%), linolenic acid에서 6.70-11.20%(평균 8.35%)의 변이를 보였다. 지방산에 대한 유전력은 oleic acid에서는 높았으나 stearic acid와 linolenic acid에서는 낮았으며 palmitic acid, linoleic acid는 조단백의 유전력과 같은 경향으로 중정도 이었다. 형질상호간의 상관 계수에서 조단백은 oleic acid와는 고도의 유의차로 정의 상관을, linoleic acid와는 고도의 유의 차로 부의 상관을 보였고 기타의 지방산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49.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초유 전지질 분획에서 주요 구성지방산 조성은 eicosenoic acid 30.88%, linoleic acid 23.4%, oleic acid 19.94%, palmitic acid 10.52% 순으로 나타났으며, n-9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이 약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산초유의 각 지질 분획의 구성지방산 조성에서는, triglyceride 분획에서 eicosenoic acid가 41.16%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 분획들에서는 olei
        50.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duction of medicinal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characterized with black seed, white stripe at hilum border, yellow cotyledon and small seed, is increasing with increasing consump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edicinal soybean seed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se soybeans among genetic resources. Forty-four lines of medicinal soybeans collected from Korea and two control cultivars, 'Hwangkeumkong' (Yellow seed coat) and 'Geomjeongkong l' (Black seed coat) were planted at the Research Farm of the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Korea University, located at Namyangju City on May 25, 1996. Seeds of these lines were harvested at full maturity and analyzed for protein, oil, sugar, starch and mineral contents. Mean protein and oil content of the medicinal line seeds were 42.6 and 16.1%,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control cultivars were in the middle range for protein and oil content. However, sugar and starch content of the medicinal line seeds appeared to be in the lower range of the distribu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cultivars and were 10.0 and 1.68%, respectively. Mean P, K, Ca, and Mg contents of the seeds of medicinal soybean lines were 15.9, 21.5, 3.11, and 2.81 mg/g,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se lines had higher P, K, and Mg and lower Ca content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cultivars. Mean Na and Fe contents were 671 and 224 mg/kg, respectively, showing lower Na and similar Fe contents. The observed results provided that chemical compositions of medicinal soybean were, on averag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eneral soybean cultivars.
        51.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피복 재배조건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 그리고 종실의 단백질과 지방함량,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무피복 재배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대광땅콩, 대풍땅콩을 공시하고 흑색 비닐 피복재배와 비교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대광땅콩, 대풍땅콩 모두 피복재배보다 6일정도 지연되었으며 개화기는 각각 9일, 6일 지연되었고 입모율도 각각 3.7%, 16%감소되었다. 2. 분지장은 피복재배보다 대광땅콩 24%(11.2cm), 대풍땅콩 17%(6.9cm) 감소되었으나 분지수는 감소되지 않았다. 3. 성숙협수,100립중, 협실비율, 주당 종실수량등은 피복재배보다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밀식재배로 인한 재식밀도의 증가로 1ha당 종실수량은 대광땅콩의 경우 피복재배와 비슷하였고 대풍땅콩의 경우는 26% 증수되었다. 4. 단백질함량은 대광땅콩의 경우, 피복재배보다 4% 증가하였으나 대풍땅콩은 3% 감소하였으며 지방함량은 두 품종 모두 각각 7%, 9% 감소되었다. 5.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는 대광, 대풍땅콩 모두 피복재배보다 증가하였으나 linolelc acid는 감소하였으며 O/L비율도 작아졌다.
        52.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의한 탄저병과 모자이크병 모두에 저항성인 단엽콩을 강독 계통 SMV-G5H로 포장 및 온실에서 인공접종시켜 생육 및 종실성분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차 저항성을 이용한 약독 바이러스 개발과 저항성 콩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MV-G5H 계통의 나병시 포장 및 온실시험에서 조사된 생육특성 모두 감소를 보였으며 두 시험장소 평균 감소정도는 수량 52%, 엽수 36%, 백립중 22%, 경장 17% 순이었으며 수량의 감소가 가장 컸다. 2.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SMV-G5H의 나병시 포장 및 온실시험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나 기름함량은 줄어들어 SMY-G5H의 나병에 따른 두 성분간의 변화는 서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SMV-G5H의 나병에 따른 콩 기름의 지방산 조성변화는 포장과 온실의 시험장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포장시험의 경우 linoleic, linolenlc acid 함량은 감소하고 stearic, of oleic acid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palmitic acid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는 다르게 온실시험의 경우 linolenic, oleic acid함량이 증가하였고 palmitic, linoleic acid함량이 감소하였으며 stearic acid 함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포장 및 온실시험을 실시한 시기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53.
        199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발아기에 있어 1대 잡종벼의 종실내성분함량 변화, 발아율 및 생육에 대한 Heterosis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1대잡종벼인 V20A/청청벼, IR62829 A/청청벼와 이들의 양친(유지계통;V20B, IR628 29B, 회복계통:청청벼)및 비교품종으로 삼강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대잡종벼는 양친(유지계통, 회복계통)이나 비교품종보다 발아율이 높아 발아잡종강세를 나타내었으며 잡종강세 정도는 발아초기가 발아후기 보다 켰고, 1대잡종벼 조합간에는 IR62829 A/ 청청벼가 V20A /청청벼보다도 켰다. 2. 발아 중 현미내 유리아미노 산 함양에 있어 1대잡종벼는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높았으며 또한 치상후 24시간에서 48시간 사이에 감소되는 양도 많았다. 질소함양(Amnonia-N, Nitrate-N, Nitrite-N)에 있어서는 IR62829A/청청벼 조합은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대체로 높으나 V20A/청청벼 조합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3. 현미중 무기성분함양은 치상전보다 치상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P2O5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K2 O, MgO함량은 감소되었고 CaO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P2O5 는 치상후,K2 O, MgO함량은 치상전후 1대잡종벼가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잡종강세를 보였으나 CaO함량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4. 치상전, 후 전당함양은 1대잡종벼가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치상전에 비하여 치상후 48시간째 증가율에 있어서도 높았는데 V20A/청청벼 보다는 IR62829A/청청벼 조합이 전당 증가율 및 전분 감소율이 월등히 켰다. 5. 치상후 현미중 a-amylase활성에 있어 1대잡종벼가 양친 및 비교품종보다 활성이 커 잡종강세를 나타내었으며 발아율과 a-amylase 활성과는 고도의 정의 유의상관이 있었다. 6. 파종 10일후 묘의 생육에 있어서도 1대잡종벼가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건물중, 초장 등에서 잡종강세를 나타내었으며 묘의 생육과 a-amylase 활성간에는 유의한 정의상관이 있었다.
        54.
        199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의 유질특성을 조사하여 품질 개선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보존 및 일본도입 100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으며 Glycerides조성 분석에는 3품종을 공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대두 100품종의 기름함량은 12.1~23.0% 범위에 있었다. 2. 국내 육성종이 일본 도입종에 비하여 기름함량이 높은 품종이 많았고, 국내종 중에서는 추대두 품종이 하대두 품종에 비하여 기름함량이 높았다 3. 지방산 조성은 oleic과 linoleic산이 76 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4. 국내 품종들이 일본 도입종에 비하여, 그리고 추대두 품종들은 하대두 품종에 비해서 oleic산은 낮은 반면에 linoleic산은 높은 함량을 보였다 5. 공시품종들의 기름함량 증가는 palmitic산의 감소를 그리고 linoleic산의 상승을 나타내는 상관관계였다. 6. 종실중은 oleic산과는 정의 그리고 linoleic 및 linolenic산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7. 대두 3품종의 평균 Triglycerides 구성비율은 82.8%였는데 품종간에 차이가 컸다.
        55.
        199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채, 계자 등 Brassica속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유채 양질 다수성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수행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Brassica속 유전자원의 단백질 함량은 15.3%에서 36.2%까지의 넓은 변이폭을 보였으며, 평균 단백질 함량은 23.2%로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캐나다 유래의 B.hirta인 Ochre였으며 가장 낮은 품종은 B. napus인 Mirado였다. 2. 종실이 소립으로 가벼울수록 단백질 함량은 높은 경향이었다. 3. Brassica속 작물의 단백질 함량 변이는 B.napus에서 15.3-30.2%의 범위를 보여 주었으며, B.juncea, B.carinata, B.hirta, B.nigra등은 31%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4. 단백질 함량과 유박내 유해성분함량간에는 뚜렷한 경향은 없었으나 단백질과 기름 및 1,000립중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56.
        199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수도장려품종 1988년 및 '89년산 미와 중ㆍ남부평야지대 6개소(수원, 남양, 이천, 이리, 계화, 밀양)에서 생산된 7개 품종(자포니카 5, 통일형 2)과 중북부 및 남부중산간지와 고랭지 4개소(철원, 진부, 화서, 운봉)에서 생산된 6품종에 대하여 쌀 단백질 함량의 품종 및 환경변이를 분석ㆍ조사하고 단백질 함량에 차이를 보이는 화성벼, 농백 및 용주벼의 세 품종에 대한 아미노산조성을 조사하였던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벼 장려품종의 백미 단백질 함량은 '88년산미는 평균 7.93%에서 5.5-10.2%의 변이, '89년산미는 평균 9.17%에서 6.3-12.0%의 변이로 현저한 년차간 변이를 나타내었고 자포니카 품종군의 평균 단백질 함량 8.22%에 비해 통일형 품종군이 9.3%로 약 1%정도 높았다. 백미 단백질 함량이 높았던 품종은 자포니카에서는 농백, 도봉벼, 치악벼 등이었고, 통일형 품종군에서는 용문벼, 용주벼, 칠성벼 등이었다. 2. 자포니카 저단백 품종인 화성벼는 자로니카 및 통일벼 고단백 품종인 농백 및 용주벼에 비해 필수아미노산 함량의 절대함량은 낮았으나 질소 16.8g당(단백질 100g에 해당)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31.7%로 다른 두 고단백 품종과 비슷하였으며 아미노산중에서 화성벼는 arginine, 농백은 alanine과 lysine, 용주벼는 leucine이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중에서 세 품종 모두 글루타민산 함량이 가장 높았고 필수아미노산중에는 leucine이 가장 높았으며 methionine이 가장 낮았다. 3. 쌀 단백질 함량은 한생종일수록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고 백미투명도가 떨어지고 Mg함량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K/Mg율, 알칼리붕괴도 및 아밀로즈 함량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자포니카 품종군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4. 쌀 단백질 함량은 중부평야지산미가 평균 6.74%로 남부평야지산미의 평균 7.54%에 비해 약 1%정도 낮았고 단백질 함량의 품종간 변이와 산지간 변이의 전분산에 대한 기여율이 각각 55.8%와 28.1%로 품종간 변이가 산지간 변이보다 두배정도 컸다. 5. 중북부 중산간지 및 고랭지산미의 쌀 단백질함량은 평균 5.95%로 남부 중산간지 및 고랭지산미의 6.8%보다 약 0.8% 정도 낮았고 단백질 함량의 품종간 변이와 산지간 변이의 전분산에 대한 기여율은 각각 16.7%와 56.4%로 산지간 변이가 품종간 변이보다 약 4배 가까이 컸다.
        57.
        198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해종과 금릉종의 들깨 2 재래종을 공시하여 채엽시기와 채엽정도를 달리하였을 때 생육, 수량 및 함유량 그리고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씩 이들 삼자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거나, 적어도 둘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채엽방법을 모색하고자 1985년과 1987년의 2개년에 걸쳐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일수, 성숙일수 및 경장, 경직경과 분지수는 채엽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2 채엽정도가 심해질수록 천립중이 감소 하였으며 그 결과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조기 채엽에서는 수량감소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채엽과 종실을 목적으로 들깨를 재배할 경우에는 조기 채엽이 적절한 것으로 보였다. 3. 채엽정도가 심할수록 함유량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4.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조성비는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으나 채엽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서 불포화지방산이 약간 감소되었다. 채엽정도가 25%일 때 들깨 유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종실수량, 함유량, 그리고 지방산 조성면에서 고려해 볼 때 개화기 이전에 25% 정도로 가볍게 채엽을 하면 수량감소를 줄이면서 함유량과 지방산 조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었으며, 채엽시기가 이르거나 아주 늦을 때에는 수량을 크게 감소 시키지 않으면서 양질유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1 2 3